부산 성북전통시장 웹툰이바구길에 다녀오다.
2024년 8월 18일(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코리아 둘레길 남파랑길 부산 구간 1코스를 걸으며, 부산 동구 범일동 1430-6에 위치한 성북전통시장에 있는 웹툰이바구길을 걸었다. 이바구는 경상도 사투리로 ‘이야기’라는 말이다. 경상도 친구들한테서 이바구 깐다는 말을 들은 기억이 있을 것이다. 성북시장의 상점마다 상점의 특색에 맞는 만화 캐릭터를 그려 놓은 웹툰이바구길은 부산광역시 동구에서 조성한 이바구길의 하나이다.
이바구길은 독자 홈페이지도 개설하고 있다. 이바구길 홈페이지(http://www.2bagu.co.kr/index.bsdonggu )에서 소개하고 있는 이바구길의 소개글을 옮기면 아래와 같다. “부산 최초의 근대식 물류창고였던 ‘남선창고’부터 층계마다 피란민들의 설움이 밴 ‘168계단’, 영화 한 편으로 울고 웃게 했던 ‘범일동 극장 트리오’, 가냘픈 어깨로 부산의 경제를 지탱했던 신발공장 여공들의 발길이 오가던 ‘누나의 길’까지 이바구길은 근현대 부산의 옛 기억이 고스란히 스며있는 곳이자, 역동적인 세월을 깊이 받아들인 동구의 상징적인 자취입니다. 뿐만 아니라 낯선 여행객들의 정감 있는 쉼터 ‘이바구 충전소’와 ‘까꼬막’, 막걸리 한잔과 따스한 국밥 한 그릇으로 애환의 그 시절로 돌아가게 하는 ‘6·25 막걸리’와 ‘168 도시락국’ 등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시간의 가교’이기도 합니다. 이렇듯 지난 이야기들을 통해 우리의 과거를 새롭게 만날 수 있는 곳이 바로 이바구길입니다.”
남파랑길 1코스를 걸으며 여기저기에서 나타나는 이바구길에 대한 안내판에 약간은 혼란스럽기도 하였다. 이바구길에 관한 전체적인 그림을 한눈에 알 수 있는 안내판 등을 못 봐서 궁금했다가 부산광역시 동구청 홈페이지와 이바구길 홈페이지를 통해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부산 동구에 조성된 이바구길은 초량 이바구길, 부산포 개항가도, 범일 이중섭거리, 한일 교류의길, 호랭이 어슬렁길, 성북웹툰이바구길로 조성되어 있다.
성북웹툰이바구길은 증산공원 정문에서 성북시장쪽으로 내려오면 만나는 삼거리 좌우로 펼쳐진 부산시 동구 성북로 길이다. 삼거리에는 이바구길 포토존이 마련되어 있고 성북시장쪽으로 가면 건물마다 만화 캐릭터들이 그려져 있다. 이 거리의 명칭은 “1960 성북전통시장 웹툰이바구길”라고 쓰여진 시장 거리에 걸려 있는 표지판의 타이틀인 듯하다. 웹툰이바구길의 시작점 삼거리에 있는 서울농산물 과일가게 아주머니께 “이 만화들을 누가 그려 주었어요?”라고 물으니, “내가 그렸어요~~ㅎㅎ.”라고 말하며 웃음을 지으신다. 구청에서 그려주었다고 한다. 부산 동구에서는 유명한 명소인 듯하다.
성북전통시장은 1960년부터 활성화된 듯하다. 부산 동구의 유명한 전통시장으로는 초량전통시장, 부산진시장, 자유도매시장이 있다. 성북시장은 증산공원 바로 아래에 위치해 있어서 서민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전통시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부산 동구청 홈페이지에서는 “하늘 아래 첫시장 성북시장은 고지대 전통시장”으로 소개하고 있다. 웹툰을 소재로 한 특화거리 조성으로 관광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고 상권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고 한다. 남파랑길 1코스 명소 중의 하나이다.
성북시장의 웹툰이바구길을 걷다 보면 부산광역시 동구 성북로42번길 4에 있는 3층 건물인 만화체험관을 만날 수 있다. 이바구길 홈페이지에서 소개한 글을 보면, 성북시장 웹툰거리 내에 위치한 전시 체험시설로 2020년 1월에 3층 규모로 문을 열었으며 1883년 근대 만화 도입기부터 현재 웹툰까지 우리나라 만화의 시대적 변천사를 한 눈에 볼 수 있다. 황미나 등 유명 만화작가가 실제 사용한 연필과 붓 등도 전시하고 있을 뿐만아니라 방문객이 직접 색칠한 동물 그림이 살아 움직이는 3D 애니메이션을 감상할 수 있고, 직접 웹툰을 그려볼 수도 있어 만화에 대한 추억이 있는 어른과 웹툰 작가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시대별 만화와 웹툰이 전시되어 있어 아이들에게도 친숙하고 어른들에게 어린시절 추억의 향수를 제공하는 이색적으로 공간으로도 인기를 끌고 있다.(출처: 이바구길 홈페이지 – 만화체험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