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초는 어떤 식물체의 한 종(種, species)이 집단적으로 인간의 활동, 건강 또는 기쁨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거나 방해작용을 하게 될 때 그 식물체를
잡초(雜草, weed)로 간주한다. 어떤 식물 또는 식생이 인간의 목적이나 필요조건 등을 방해할 때 잡초로 정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인간이 농경지에서
농업을 영위하는 경제행위에 직∙간접으로 피해를 주어 생산을 감소시키고, 농경지의 경제적 가치를 저하시키는 작물 이외의 식물이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잡초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지니고 있다.
o 제자리에 발생하지 않는 식물
o 인간이 원하지 않거나 바라지 않는 식물
o 인간과 경합적이거나 인간의 활동을 방해하는 식물
o 작물적 가치가 평가되지 않는 식물
o 경지나 생활지 주변에서 자생하는 초본성 식물.
잡초가 존재함으로써 예상되는 피해 또는 손실은 다음과 같다.
o 작물의 수량 감소
o 병, 곤충의 서식처 역할
o 농작물의 품질 저하
o 농작업의 방해
o 관개수로 및 운하 등의 물 이용 저하
o 인축에 유해
그러나 잡초도 식물자원으로서 단점만 있는 것은 아니고 다음과 같은 이로운 점이 있다.
o 토양침식의 방지
o 잡초의 자원식물화(사료작물, 구황식물, 약료식물 등)
o 내성식물 육성을 위한 유전자원
o 토양물리 환경 개선
(김길웅∙신동현. 2007. 『최신 잡초방제학 원론』. 경북대학교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