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996

부들

부들과(Typhaceae) - 부들(Typha orientalis Presl.) 2024년 6월 29일 대전광역시 시경계걷기를 하면서 세종시 금남면 박산리 고래뜰마을에서 담았다. 원주형 화수에서 수꽃과 암꽃 사이가 6~20cm 정도 떨어져 있는 애기부들(T. angustata Bory et Chaub)과 달리 수꽃과 암꽃이 바로 붙어 있는 것으로 쉽게 구분이 된다.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벋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너비5~10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 3~10cm이고 자화수는 바로 밑에 발리며 ..

산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산수국(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 et Z.) Wils.) 2024년 6월 29일 대전광역시 시경계걷기를 하면서 유성구 신동 소문산성에서 담았다. 경기도 및 장원도 이남의 산골짝이나 전석지(轉石地)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며 잔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다. 길이 5~15cm, 너비 2~10c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의 축맥과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화는 지름 2~3cm이며 똧받침잎은 꽃잎 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

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or. geoides (S. et Z.) Wils.) 2024년 6월 25일 대전광역시 둔산동 서구청 근처의 샘머리공원에서 담았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식하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며 겨울동안 윗 부분이 고사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두꺼우며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7~15cm, 너비 5~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7월에 줄기 끝에 크고 둥글며 지름 10~15cm인 산방화서가 달리고 꽃은 무성화이며 꽃받침잎은 4~5개로서 꽃잎모양이고 처음에는 연한 자주색이던 것이 벽색으로 되었다가 다시 연한홍색으로 된다. 꽃잎은 극히 작으며 4~5개이고 수술은 10개 정도이며 암..

나무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Sieb.) 2024년 6월 24일 대전광역시 시청 근처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일본에서 들어온 관상용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2~3m이다. 잎은 대생하지만 때로는 3윤생하는 것도 있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익ㅎ 길이 5~12cm, 너비 3~8cm로서 표면에 처음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연한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큰 원추화서가 달리고 꽃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같은 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하고 타원형 또는 원형이며 꽃잎과 모양이 같다. 꽃은 쓰러진 다음에도 모양이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겨울까지 달려 있다. 꽃이 중..

얼룩억새

벼과(Poaceae) - 얼룩억새(Miscanthus sinensis for. variegatus Nakai) 2024년 6월 23일 대전시 경계걷기를 하는 중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안산동에서 담았다. 억새(M. sinensis Anderss.)의 변종으로 잎에 노란 줄이 주기적으로 그어져 있다. 다년초로서 높이 1~2m이고 근경은 옆으로 벋는다.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너비 1~2cm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 톱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노란 띠가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꽃은 9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꽃차례 분지 길이의 1/2 이하이다.(참고문헌: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타래난초

난초과(Orchidaceae) - 타래난초(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잔디밭이나 논둑 근처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0~40cm이고2024년 6월 23일 대전시 경계걷기를 하는 중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안산동 길마재산에서 담았다. 뿌리가 다소 굵으며 큰 근생엽은 길이 5~20cm, 너비 3~10mm로서 주맥이 들어가고 밑부분이 짧은 잎집으로 되며 경생엽은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5~8월에 피며 나선형으로 꼬인 수상화서에 옆을 향해 달리고 분홍색이며 포는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4~6mm로서 점점 좁아지고 꽃잎은 꽃받침보다 다소 짧으며 위 꽃받침잎과 더불어 투구처럼 된다. 순판은 색깔이 연하고 도란형으로서 꽃받침보다 다소 길며 끝부분이 다소 뒤집어지고 가장..

까치수영(가치수염)

앵초과(Primulaceae) - 까치수영(Lysimachia barystachys Bunge,) 2024년 6월 23일 대전시 경계걷기를 하는 중에 우산봉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도감에서는 까치수영으로 명명되어 있고, 김태정 교수 도감에는 까치수염(까치수영)으로 표기되어 있다. 마디풀과의 수영(Rumex acestosa Linnaeus)과 비슷하여 까치수영이라고 했다는 설이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약간 습한 풀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며 지하경이 퍼지고 전체에 잔털이 있으며 원줄기는 원주형으로서 밑부분에 붉은빛이 돌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지만 총생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며 좁은 타원형이고 길이 6~10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

일본목련

목련과(Magnoliaceae) -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Thunb,) 2024년 6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6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 오호항에서 담았다. 일본에서 들어온 낙엽관상수로서 중부 이남에서 재식하고 원산지에서는 높이 20m, 지름 1m 정도 자란다. 잎은 호생하거나 가지 끝에서 총생하며 도란형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으로 좁아진다. 길이 20~40cm, 너비 13~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잔털이 있다. 꽃은 5월에 잎이 핀 다음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연한 누른 빛이 도는 백색으로서 지름 15cm이며 향기가 강하다. 꽃받침잎은 3개이고 꽃잎과 비슷하지만 짧으며 꽃잎은 6~9개이고 도란형이며 길이 6c..

털딱지꽃

장미과(Rosaceae) - 털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var. concolor Fr. et Sav.) 2024년 6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6코스를 걸으며 고성 해변에서 담았다. 꽃은 양지꽃과 비슷하나 잎이 깊게 갈라지고 줄기가 바닥에 깔리는 특징이 있다. 양지에서 자라는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Ser.)비해 잎 표면에 털이 많고 바닷가에서 자란다. 다년초로서 높이 30~60cm이고 총생하며 뿌리가 굵고 줄기에 달린 잎에 털이 많다.  잎은 우상복엽이며 뿌리에서 돋은 잎이 옆으로 퍼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호생하며 소엽은 15~29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점차 작아지고 윗부분의 것은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2~5cm, 너비 8~15mm오..

솔나물

꼭두서니과(Rubiaceae) - 솔나물(Galium verum var. asiaticum Nakai) 2024년 6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6코스를 걸으며 고성 해변에서 담았다. 전국 각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70~100cm이고 곧추 자라면서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8~10개가 윤생하며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2~3cm, 버니 1.5~3mm로서 뒷면은 마디 및 꽃차례와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피고 지름 2.5mm 정도로서 4개로 갈라며 황색이고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의 원추화서에 달리며 4개의 수술이 있다. 열매는 2개씩 달리고 겉에 털이 없으며 분과는 타원형이다.(참고문헌: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솔장다리

명아주과(Chenopodiaceae) - 솔장다리(Salsola collina Pall.) 2024년 6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6코스를 걸으며 고성 해변에서 담았다. 중부 이북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가 30cm에 달하고 밑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곧추서거나 비스듬히 자라고 처음에는 연하지만 점차 딱딱해진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육질로서 원주형이지만 굳어지면서 끝이 가시처럼 되며 길이 3cm이다. 꽃은 양성으로소 7~8월에 피고 잎겨드랑에 1개씩 달리며 화병이 없고 2개의 소포가 있다. 소포는 난형이며 끝이 ㅊㅁ같이 뾰족하고 단단하다. 화피 열편과 수술은 각각 5개이며 피침형이고 열매가 익을 때는 뒷면 중앙부가 비후해져 날개로 된다. 씨방은 둥글며 2개..

억새 리틀제브라

벼과(Poaceae) - 억새 리틀제브라(Miscanthus sinensis “Littel Zebra”) 2024년 6월 10일 대전광역시 서구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억새(Miscanthus sinensis Anderss.)의 변종인 얼룩억새(M. sinensis for. variegatus Nakai)의 원예종으로 얼룩말(Zebra)처럼 잎에 노란 줄이 주기적으로 그어져 있다. 다년초로서 높이 1m 내외이고 근경은 옆으로 벋는다.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너비 1~2cm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톱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며 노란 띠가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꽃은 9월에 핀다.(참고문헌: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미국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미국수국(Hydrangea arborescens Linnaeus) 2024년 6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에서 담았다. 미국산의 낙엽관목으로서 1957년에 미국 보스턴에서 들여왔다. 높이가 1m 내외에 달하고 어린 잔가지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6~20cm, 너비 4~8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밖으로 향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6cm로서 밑부분이 다소 넓다. 꽃은 6~7월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5~15c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똧자루가 길다. 중성화는 소수이고 지름 1.5~2cm로서 백색이며 양성화는 작고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10개의 능선과 끝에 5개의 열편이 있고 씨방은 하위..

노랑어리연꽃

용담과(Gentianaceae) - 노랑어리연꽃(Nymphoides peltata (Gmel.) O. Kunitze) 2024년 6월 9일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양산 통도사 산내 암자인 사명암에 있는 일승대 아래 연못에서 담았다.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영년생 수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원줄기가 물속에서 비스듬히 자란다. 잎은 긴 잎자루가 물위에 뜨고 난형 또는 원형이며 지름 5~10cm로서 밑부분이 2개로 갈라지지만 붙어 있는 것도 일부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밝은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라고 소화경은 길이 3~12cm이다. 꽃받침잎은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둔하고 꽃부리는 지름 3~4cm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으며 끝이 퍼지고 수술은 5개이다. 삭과는 타원형이며..

자주개자리(알팔파)

콩과(Fabaceae) -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Linnaeus) 2024년 6월 4일에 대전광역시 경계걷기를 하는 중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세동로 절개지에서 담았다. 알팔파 또는 앨팰퍼(Alfalfa)로 알려져 있는 목초로 절개지에 피복용으로 심은 것 같다. 지중해 연안 원산의 다년초로서 목초로 재배하고 있으며 높이 30~90cm이고 곧추서며 털이 거의 없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호생하며 소엽은 3개이고 장타원형 또는 도피침형이며 끝이 절두 또는 요두이고 주맥의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예저이고 길이 2~3cm, 너비 6~10mm로서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턱잎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꽃자루가 있고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7~8mm로서 연한 ..

스파티필룸

천남성과(Araceae) - 스파티필룸(Spathiphyllum patinii (R.Hogg) N.E.Br.)  2024년 6월 3일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지하도 미세먼지 프리존에서 담았다. 콜롬비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하지는 않는 듯하다.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다년초로 잎은 피침형이고 잎꼭지가 길다. 긴 꽃줄기 끝에 순백색의 불염포(佛焰苞)가 있는 꽃이 피는데 박하향이 난다. 1963년에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고 한다. 불염포라는 단어가 무척 어렵다. 한문을 보면 부처님 뒤의 광배처럼 생긴 꽃받침을 말하는 것 같다. 해로운 화학물질들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으며, 생명력이 강해 쉽게 죽지 않고, 잘 자리기 때문에 이곳에 식재한 것 같다. 포름알데히드뿐 아니라 벤젠, 아세톤, 알코올, 트리클로로..

잉글리쉬 라벤터(English Lavender)

꿀풀과(Lamiaceae) - 잉글리쉬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Miller) 2024년 6월 2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10구간(고성 구간) 46코스를 걸으며 까리타스 마테오 요양원 입구에서 담았다. 잉글리시 라벤더(English Lavender)는 기다란 꽃대 위에 이삭 모양의 자잘한 꽃들이 줄지어 달린다. 스파이크 라벤더나 트루 라벤더라고도 불린다.  꿀풀꽃과 비슷한 꽃대 위에 기다란 보라색 꽃잎 한 쌍이 돋아나서 피는 프렌치 라벤터(French Lavender)(L. stoechas)보다는 향기가 약하나 유독성분이 적은 편이어서 에센셜 오일을 추출할 때 주로 쓰인다.  지중해 연안이 원산이며 잉글리쉬 라벤더라 하여 영국이 원산지는 아니다. 상록성 관목으로 ..

굴피나무

가래나무과(Juglandaceae) -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e S. et Z.) 2024년 5월 26일(일)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갈마공원에서 담았다. 경기도 이남의 산지, 특히 수성암 겉에서 많이 자라고 높이 12m, 지름 53cm이지만 보통 높이 3m, 지름 10cm이다, 잔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며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서 뚜렷한 피목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홀수 우상복엽이고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과 잎자루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cm로서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지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양면에 흰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웅화수는 길이 5~8cm이..

만첩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만첩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for. plena Schneid)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빈도리와 같은 특성이며 꽃이 만첩꽃이 피는 것만 다르다. 아래 설명은 빈도리(D. crenata S. et Z.)와 같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

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진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 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 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