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1100

풍향수(楓香樹)

알팅기어과(Altingiaceae) - 풍향수(Liquidambar formosana Hance) 2025년 8월 2일(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계룡스파텔 비룡재 출입구 옆에 새로 심은 나무가 미국풍나무처럼 보여서 궁금하던 차에 오늘 황톳길 맨발걷기를 하는 중에 조경을 담당하시는 분이 제초작업을 하고 계셔서 다가가 여쭤보니, 풍향수라고 한다. 조경을 담당하시는 분이 울산시에서 자라고 있는 풍향수 교목에서 직접 씨를 받아와서 계룡스파텔에서 발아시켜 키우고 있다고 한다. 학명까지 말씀하시며 본인이 키우고 있는 세 그루의 풍향수를 직접 보여주시면서 자세히 설명을 해주셨다. 계룡스파텔에 귀한 식물들이 많이 자라고 있는 이유를 이제야 알 것 같았다. 자세한 설명을 해주신 선생님께 깊..

서양측백나무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서양측백나무(Thuja occidentalis Linnaeus) 2025년 7월 5일(토)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잎이 수직으로 향하는 측백나무 같기도 하고, 잎이 수평으로 향하는 편백나무 같기도 해서 동정하기가 쉽지않았는데, 네이버 렌즈에 물어보니 서양측백나루라고 한다.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상록교목으로 미국측백나무라고도 하는데 북아메리카 원산이며 높이 20m, 지름 60cm에 달하고 향기가 난다. 측백나무와 달리 열매가 별도로 엽액에서 자라는 특징이 있다. 연한 노란빛을 띤 갈색이며 군데군데 얇게 벗겨지고 가지는 수평으로 퍼진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갑자기 뾰족해진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3mm로 선점이 있고 가지의 잎은 선점이 ..

원예종 칸나의 멋진 모습

홍초과(Cannaceae) - 칸나(홍초)(Canna generalis Bailey)2025년 7월 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우리말 품명 홍초보다 칸나라는 이름이 더 널리 불리고 있는 꽃이다. 관상용으로 널리 심고 있는 칸나는 키가 크고 붉은 꽃을 피운다. 유성온천 소공원에 식재된 칸나는 키가 작은 왜성이면서도 꽃잎은 크고, 무엇보다도 노랑꽃과 붉은꽃이 물감을 들인 것처럼 선명하다. 육종가들의 노력에 찬사를 보낸다.칸나는 다년초로서 고구마 같은 굵은 근경이 있고 원줄기는 높이 1~2m 원주형이며 홍자색 또는 녹색이고 자르면 점액이 나온다. 잎은 넓은 타원형이며 높이 30~40cm로서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원줄기를 감싸며 측맥이 평행하다.꽃은 여름부터 가을까지..

대왕참나무(핀 참나무)

참나무과(Fagaceae) - 대왕참나무(Quercus palustris Munchh.)2025년 6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림공원에서 담았다. 북아메리카 동부가 원산이며, 영미권에서는 Pin Oak(핀 참나무)라고 부른다. 높이가 20~25m까지 자라는 활엽낙엽수로 비교적 빨리 자라며 수명은 120년 정도이다. 1980년대 이후에 한국에 들여와 조경수와 가로수로 심고 있으며, 가을에 단풍이 아름답고 겨울에도 잎이 가지에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잎은 길이 7~15cm 정도이고 깊게 갈라진 깃 모양이며 깊게 패여 王(왕)자 처럼 보여서 대왕참나무라고 명명한듯하다. 열편의 끝이 가늘고 뾰족하며 갈고리처럼 보이는 돌기가 있다.꽃은 4~5월에 잎이 나올 때 같이 피며, 한 나무에 수꽃과 암꽃이 따로 핀..

공작단풍(세열단풍, 수양단풍)

단풍나무과(Aceraceae) - 공작단풍(Acer palmatum var. dissectum (Thunb.) Miq.) 2025년 6월 28일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 무궁화아파트에서 담았다. 일본에서 육종한 품종으로 잎이 가늘고 길게 갈라지며 아래로 축 처지므로 세열단풍, 수양단풍이라고도 불린다. 높이 10m에 달하는 낙엽교목이며 잎은 호생하고 7~11개로 가늘게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이 처음부터 붉은색을 띠는 것을 특별히 공작홍단풍이라고 부른다. 꽃은 5월에 짙은 붉은색으로 피며 산방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5개의 흔적이 있고 수꽃은 꽃잎과 흔적이 없고 수술이 8개이다. 열매는 시과이고 털이 없으며 날개는 긴 타원형이고 9~10월에 익는다.

중국단풍

단풍나무과(Aceraceae) - 중국단풍(Acer buergerianum Miq.) 2025년 6월 9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장대중학교 울타리에서 담았다. 잎이 세 갈래 갈라지므로 단풍나무 중에서 동정하기가 가장 쉬운 품종이다. 중국 원산으로 높이가 15m에 달하는 낙엽교목이며 잎은 손바닥 모양이고 호생하고 아랫부분에서 3맥이 발달하고 잎이 3개로 얕게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잎 열편은 삼각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회백색이다. 꽃은 4월 말에 피며 연한 노란색이고 산방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털이 있고 꽃받침잎은 5개로 황록색이고 난형이며,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로 연한 황색이고 피침형으로 길이 2mm이고, 수술은 8개이다. 열매는 시과이고 ..

홍단풍

단풍나무과(Aceraceae) - 홍단풍(Acer palmatum ‘Shojo-Nomura’) 2025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일본의 왕단풍(Acer palmatum var. amoenum (Carriere) Ohwi)에서 엽록체가 적은 개체로 일본에서 육종한 품종이다. 잎이 돋아나는 새잎부터 붉은 색을 띠는 단풍나무이다. 높이가 7~13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어린 가지는 녹색이나 자라면서 차츰 회색빛을 띤다. 잎은 대생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6cm이고 잎자루는 길이 3~5cm이다. 꽃은 산방화서에 달리고 잡성 또는 1가화로서 5월에 피며 열매는 시과(翅果)로 두 개의 날개가 거의 평행으로 달린다.

당단풍

단풍나무과(Aceraceae) - 당단풍(Acer pseudosieboldianum (Paxton) Kom.) 2025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품명과 달리 우리나라 원산으로 잎이 5~7개로 갈라지는 단풍나무(A. palmatum Thunb.)와 달리 잎이 9~11개로 갈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높이가 8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잎은 대생하고 길이 7~10cm로서 9~11개로 갈라지며 표면에 털이 약간 있거나 없고 뒷면은 엽맥에 따라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처음에 부드러운 털이 있다. 꽃은 산방화서에 정생으로 달리고 10~20개의 꽃이 달리지만 양성화는 2~3개이며 5월에 피고 길이 1cm 정도이다. 꽃받침은 털이 있으며 5~6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4개이다...

아기단풍(애기단풍)

단풍나무과(Aceraceae) - 아기단풍(Acer micro-sieboldianum Nakai) 2025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단풍나무(A. palmatum Thunb.)에 비해 잎이 길이가 32~65mm 정도로 작고 꽃자루에 털이 있고 열매가 적게 달린다. 단풍나무와 같이 높이가 10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잎은 대생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단풍나무에 비해 크기가 작다. 꽃은 산방화서에 달리고 잡성 또는 1가화로서 5월에 피며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없고 수술은 8개, 꽃받침잎은 5개이다. 열매는 길이 1cm 정도로서 9~10월에 익고 날개는 장타원형이다. 시과의 날개가 일직선이다.(인용문..

단풍나무

단풍나무과(Aceraceae) -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2025년 6월 10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서 담았다. 높이가 10m에 달하는 낙엽교목으로서 잔가지는 털이 없으며 적갈색이다. 잎은 대생하고 원형에 가깝지만 5~7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넓은 피침형이고 길이 5~6cm로서 뒷면에 털이 있으나 없어지며 잎자루는 길이 3~5cm이다. 꽃은 산방화서에 달리고 잡성 또는 1가화로서 5월에 피며 암꽃은 꽃잎이 없거나 2~5개의 흔적이 있지만 수꽃은 없고 수술은 8개, 꽃받침잎은 5개이다. 열매는 열매 껍질이 자라서 날개처럼 되는 시과(翅果)이고 길이 1cm 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9~10월에 익고 날개는 장타원형이다.(인용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2판. 향문사)..

아프리카 봉선화(서양 봉선화, 뉴기니 봉선화, 임파첸스)

봉선화과(Balsaminaceae) - 아프리카 봉선화(Impatiens walleriana Hook.f.) 2025년 6월 2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동부 아프리카 탄자니아 동부 원산으로 원예종으로 재배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화단이나 분화용 화초로 많이 재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프리카 봉선화 외에도 뉴기니아 봉선화, 서양 봉선화로도 불리며 학명에 따라 임파첸스로 불리고 있다. 아마 학명 Impatiens(임페이션스)를 일본인들이 임파첸스로 부르기 시작한 것을 종자를 수입한 원예가들이 그대로 따라 부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같은 봉선화과의 봉선화와는 달리 잎이 짧고 둥글며 홑꽃이 대부분이고 원예종은 왜성으로 키우는 것이 많다. 아프리카 원산으로 열대성 식물이므로 추위에 ..

전나무(젓나무)

소나무과(Pinaceae) -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im) 2025년 6월 23일(월)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 반석천변에서 담았다. 흔히 전나무라고 불고 있으나,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서는 젓나무(전나무)로 표기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도 젓나무와 전나무 모두 등재되어 있고 같은 나무라고 표기하고 있다. 사찰 등에서도 많이 기르고 있다. 높이 40m, 지름 1.5m에 달하는 고산성 상록교목으로서 풍치수로 흔히 심는다. 수피는 잿빛이 도는 암갈색으로서 거칠고 잔가지는 회갈색이며 털이 없거나 간혹 있고 얕은 홈이 있다. 겨울눈은 난형이며 털이없으나 수지가 약간 있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4cm, 너비 2mm로서 끝이 뾰족하며 뒷면에 흰 기동조선(氣孔條線)이 있고 횡단..

노랑낮달맞이꽃

바늘꽃과(Onagraceae) - 노랑낮달맞이꽃(Oenothera fruticosa 'Fyrverkeri') 2025년 6월 8일 대전광역시 중구 태평동에서 서대전역으로 가는 길에서 담았다. 요즘에 피는 노랑꽃 중에서 어쩌면 가장 화려한 꽃이다. 저녁에 꽃을 피우는 달맞이꽃과 달리 낮에 꽃을 피우는 달맞이꽃이라 하여 낮달맞이꽃(sundrops)라고도 부르며, 분홍색 꽃이 피는 분홍낮달맞이꽃과 노란색 꽃이피는 노랑낮달맞이꽃이 있다. 노랑달맞이꽃은 황금낮달맞이꽃이라고도 부른다. 가끔씩 달맞이꽃의 변종인 큰달맞이꽃으로도 불리나 큰달맞이꽃은 저녁에 꽃을 피우는 달맞이꽃의 형질을 갖고 있어서 구분이 된다. 북 아메리카 동부지방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들여와 원예농가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고 전국적으로 급속하게 퍼지고..

주름조개풀

벼과(Poaceae) - 주름조개풀(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Roem. et Schult.) 2025년 6월 7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갈마공원에서 담았다.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0~30cm이고 밑부분이 옆으로 벋으면서 뿌리가 내려 퍼진다.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cm, 너비 1~1.5cm로서 잎집 및 꽃차례와 더불어 털이 있고 잎혀는 매우 짧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꽃차례는 길이 6~12cm로서 6~15mm의 가지가 갈라지며 소수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mm 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포영은 까락이 있고 둘째 것은 보다 길며 3맥이 있다. 첫째 소화의 호영은 길이 3mm 정도로서 짧은 까락이 있고 둘째 소..

뽕나무

뽕나무과(Moraceae) - 뽕나무(Morus alba Linnaeus)2025년 6월 6일 대청호오백리길 16구간을 걸으며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2리에서 담았다.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잔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백색이고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며 3~5개로 갈라지고 길이 10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표면은 거칠거나 평활하며 뒷면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잎자루도 길이 2~2.5cm로서 잔털이 있다.꽃은 2가화로서 6월에 피고 웅화서는 새가지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서 밑으로 처지는 미상화서에 달리며 자화서는 길이 5~10mm이고 암꽃의 암술대는 거의 없으며 암술머리는 2개이고 길이 2mm이다. 씨방은 털이 없으며 열매는 길이 1..

꾸지뽕나무

뽕나무과(Moraceae) -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Bureau)2025년 6월 6일 대청호오백리길 16구간을 걸으며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2리에서 담았다. 황해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가지에 가시가 있으며 잔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3개로 갈라지는 것과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난형인 것이 있다. 3개로 갈라지는 잎은 둔두 원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한 것은 예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6~10cm, 너비 3~6cm로서 표면에 잔털이 있고 뒷면에 융모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5~25mm로서 털이 있다.꽃은 이가화로서 5~6월에 피며 웅화서는 소화(小花)가 많이 모여 달리고 둥글며 황색이고 지름 1cm 정도로서 짧고 연한 털이 밀포한 길이 10~12mm 의 ..

비늘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비늘고사리(Dryopteris lacera (Thunb.) O. Kuntze)2025년 6월 6일에 대청호오백리길 16구간을 걸으며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소전리에서 담았다. 약간 햇빛이 드는 곳에서 자라는 반상록초본으로서 짧고 덩어리같은 근경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은 길이 60cm 내외이며 잎자루는 잎새보다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길이 2cm에 달하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면서 난상 장타원형, 피침형 또는 좁은 피침형으로 된다.잎새는 난상 장타원형이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표면은 밝은 황록색이고 들어간 엽맥 때문에 주름이 지며 뒷면은 흰빛이 돈다. 우편은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대가 짧다. 소우편은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고 너비..

엉겅퀴

국화과(Asteraceae) - 엉겅퀴(Cirsium japonicum var. ussuriense Kitamura)2025년 6월 6일 대청호 오백리길 16구간을 걸으며, 충북 보은군 회남면 거구리에서 담았다. 높이 50~100cm로서 전체에 흰털과 더불어 거미줄 같은 털이 있으며 가지가 갈라진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고 줄기에 달린 잎보다 크며 타원형 또는 좁은 타원형이고 길이 15~30cm, 너비 6~15cm로서 밑부분이 좁으며 6~7쌍의 우상으로 갈라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결각상의 톱니와 더불어 가시가 있고 줄기에 달린 잎은 피침상 타원형이며 원줄기를 감싸고 깃처럼 갈라진 가장자리가 다시 갈라진다.꽃은 6~8월에 피며 지름 3~5cm로서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

가시상추

국화과(Asteraceae) - 가시상추(Lactuca serriola Linnaeus) 2025년 4월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유럽 원산으로 서울을 비롯한 중부 이남의 논둑, 밭둑, 빈터 등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혹은 두해살이풀이며, 상추의 야생종으로 우리나라에는 1980년에 임양재(任良宰), 전의식(全義植)에 의해 보고되었다. 줄기는 단단하며 곧추서고 높이 20~80cm애 달하며, 윗부분에 원추상으로 가지를 찬다. 잎은 상추와 비슷하지만 뒷면의 주맥 위에 가시가 열을 지어 달려 있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잎이 줄기를 감싼다. 상추와 같이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며, 꽃은 7~9월에 핀다. 지름 1.2cm 정도로 노랑색의 6~12개의 허상화로만 핀다. 총포는 원통형이며 높이 ..

솜대꽃

벼과(Poaceae) - 솜대(Phyllostachys nigla var. henonis Stapf.) 2025년 6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대나무가 어쩌다 꽃을 피우고 나면 죽는다는 이야기가 회자하지만, 꽃이 핀 솜대를 비교적 자주 접할 수 있다. 높이 10m 이상, 지름 3~10cm이고 처음에는 흰가루로 덮여 있지만 황녹색으로 된다. 잎은 1~5개(보통 2~3개)씩 달리며 피침형이고 길이 6~19cm, 너비 10~15mm로서 잔톱니가 있으며 뒷면에 주맥을 따라 잔털이 있는 것이 있고 견모는 5개 내외로서 점차 떨어진다. 꽃차례를 둘러싼 포는 넓은 피침형으로서 2~5개의 양성화와 단성화가 들어 있다. 첫째 포영은 길이 12mm이며 둘째 포영과 더불어 털이 있고 내영은 3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