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즐거운 여행 /여행중 접한 풍경 154

속초등대 전망대에 다녀오다.

2024년 6월 2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의 마지막 코스인 45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속초시 영금정로5길 8-28(속초시 영랑동 1-7)에 있는 속초등대를 둘러 보았다. 예전에는 등대로서의 역할만 했었으나 요즘은 개방되어 속초항과 앞 바다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는 명소이다. 속초 8경 중 제1경으로 손꼽히는 명소가 되어 있다. 속초관광 리플렛에 따라면 2022년 섬문화연구소 설문조사 결과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등대 4위로 선정된 등대이다. 전망대에 서면 짙은 쪽빛을 머금은 동해 바다와 철새들이 날아드는 청초호, 병풍처럼 둘러쳐진 설악산의 수려한 풍경까지 모두 담을 수 있다. 1957년 처음 불을 밝힌 속초등대는 지금도 여전히 밤바다를 지키는 생명..

홍천강 휴게소를 들르다.

2024년 6월 2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5코스 트레킹을 가면서 중앙고속도로 홍천강 휴게소에서 잠시 쉬는 동안 휴게소를 둘러보았다. 서웅-양양 고속도로가 개설되기 전까지는 많이 붐비던 휴게소인데 지금은 조금은 한산하다. 홍천 시내 도로에 차가 밀리고 속초까지 가는 동안 쉴 곳이 마땅하지 않아 이곳 휴게소에 들렀다. 휴게소 바로 앞으로는 홍천강이 흘러서 조망이 멋지다.  남쪽에서 설악산이나 동해안으로 가는 차들이 중앙고속도로를 타고 오다가 홍천에서 국도로 빠졌다가 다시 양양 고속도로를 타게 되므로 휴게소를 비껴가게 된다. 중앙고속도로에서 춘천JC까지 위로 올라갔다가 양양 고속도로를 타면 길이 조금 멀어서 그렇다.

설악해맞이공원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9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 44코스를 걸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64(대포동 178-9)에 있는 설악해맞이공원에 다녀왔다. 설악해맞이공원은 설악산 입구와 설악항에 설치된 소공원으로 2000년 10월 20일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양양군에서 속초시로 진입하는 쌍천교를 건너면 여러 작가의 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설악해맞이공원에 도착한다. 사랑의 길과 연인의 길을 따라 설치된 조각품들을 감상하면서 진행하면 화합의 광장에 도착한다. 설악산 쪽 사거리에는 설악산 입구임을 알리는 아치가 있고, 관광안내소 옆에는 해파랑길 44코스 종점과 45코스 시작점을 알리는 안내판과 함께 45코스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스탬프함이 설치되어 있다..

첫나들이 나와 어리둥절한 어린 까치

2024년 5월 8일 아침에 출근하는 길에서 만난 어린 까치이다. 아마 오늘 어린 새끼가 성장하여 둥지를 떠나는 이소를 해서 첫 나들이로 나온 것 같다. 가까이 접근해도 날아갈 생각을 안하고 가만히 앉아만 있다. 이제 막 둥지를 떠나 이곳 나뭇가지에 와 앉은 모양이다. 귀엽기도 하고 안쓰럽기도 하다. 나름대로 성장통을 겪는 중인데 잘 커주기를 바란다.

2024년 2월 22일 선릉에서 눈꽃을 담다

2024년 2월 22일(목) 아침에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많은 눈이 내렸다. 5호선 전철 등이 지연 운행되고 길이 미끄러워 출근길이 무척 힘들었다고 한다. 그래도 너무나 멋진 눈꽃을 볼 수 있어서 기분이 좋았을 것 같다. 마침 서울 강남에 출장을 갈 일이 있어서 선릉역에 내린 후 잠시 성종대왕 릉인 선릉에 들렀다. 시간이 없어 담 너머로 설경을 구경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발을 돌려야 했다. 담장과 담장 너머에 멋지게 쌓여 있는 눈 꽃을 담아 보았다.

동해휴게소에서 바라본 동해

2023년 12월 3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32코스를 가면서 마지막 휴게소로 들른 동해휴게소이다. 그동안 당진-영덕 고속도로를 통해 영덕까지 갔다가 영덕에서 해파랑길 트레킹 시작점으로 이동하였으나, 이제는 영동고속도로를 이용하게 되어 오랜만에 동해휴게소를 둘러 볼 수 있었다. 경치가 좋기로 소문난 휴게소라서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사진 몇 장을 올린다.

신탄진 휴게소의 군장비 전시장

2023년 9월 17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7코스를 가면서 아침 식사를 위해 들른 신탄진 휴게소에서 담았다. 대전광역시 소재 고속도로 휴게소라 들를 일이 거의 없는 휴게소라서 너무 모르고 있었다. 휴게소 남쪽 진입구 쪽에 있는 트럭들이 주로 주차하는 곳에 군장비 전시장과 반려동물 놀이터가 있었다. 군장비 전시장에는 M48 전차의 개량형인 M48A2C형 전차와 M110 8인치(203mm) 자주포가 전시되어 있었다. 우리 동네에 있는 고속도로 휴게소를 둘러보는 기회가 되었다.

죽변항 후정리 향나무

2023년 9월 3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6코스를 마치고 죽변항으로 가는 길에서 담았다. 경북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297-2에 있는 이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15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나이가 500년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곧고 바르게 서 있는 것은 높이 약 13.5m이고 옆으로 비스듬히 서 있는 것은 높이 10m에 이른다.

울진 연호공원을 둘러보다.

2023년 9월 3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6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울진군 울진읍 연지리에 있는 연호공원을 둘러 보았다. 자연 호수인 연호(蓮湖)를 정비하여 연꽃을 식재하는 등 조성공사가 지난 2019년 12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진행되었다고 한다. 울진군에서는 이곳을 연꽃 관람지로 조성하고 있는 듯하다. 전면 3칸, 측면 2칸의 정자인 연호정(蓮湖亭)이 있고, 호수 가운데에는 월연정(月連亭)이 있고, 월연정을 잇는 인도교인 어락교(魚樂橋)가 있다. 다리 이름은 장자의 ‘물고기의 즐거움’이란 사유 세계를 담아 지은 이름이라고 한다. 연꽃잎이 짙은 초록을 띠고 매우 큰 것을 보면 잘 가꾼 흔적이 보인다. 커다란 연꽃은 띄엄뜨엄 몇 송이가 피어 있지만 많은 연밥..

왕피천공원을 둘러보다

2023년 9월 3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6코스를 걸으며 출발지인 수산교를 건너면 지나가게 되는 소공원이다. 경상북도 울진군 근남면 엑스포로 25(수산리)에 있는 왕피천공원은 2005년과 2009년 2회에 걸쳐 울진세계친환경농업엑스포가 성공리에 개최되었던 곳이다. 왕피천 하구에 조성된 왕피천공원은 유전자보호림으로 지정된 200년 이상의 소나무 1,000그루가 자생하고 있는 생태공원이며 공원내에는 다양한 모양의 조형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2년 전만해도 이 공원은 울진 엑스포공원으로 불렸으나, 2021년 5월 24일자로 왕피천공원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황씨 도시조(都始祖) 황락(黃洛) 유허지 숭덕사

2023년 7월 2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4코스를 걷는 중에 다녀왔다. 일송정 주차장 앞에 있는 송림에는 평해 황씨(黃氏), 장수 황씨, 창원 황씨, 우주 황씨, 회덕 황씨 등 우리나라 황씨의 공통 도시조(都始祖)이신 황락(黃洛) 유허지인 숭덕사(崇德祠)가 있다. 황락은 서기 28년(신라 유리왕 5년)에 중국에서 사신으로 현재의 베트남인 교지국(交趾國)에 가던 중에(다녀오던 중이라는 설도 있다) 표류하여 경상북도 평해면 월송정 인근에 상륙하였다. 황락은 세 아들을 두었는데, 장남 황갑고는 평해 황씨의 시조, 둘째 황을고는 장수 황씨의 시조, 황병고는 창원 황씨의 시조이다. 숭덕사 옆의 연지에는 커다란 꽃봉오리를 뽐내는 백련이 막 피기 시작하고 있었다. 홍살문 ..

후포 등기산공원에 다녀오다.

2023년 7월 2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4코스를 걸으며 다녀왔다. 몇 년 전에 울진 백암온천에서 묵은 후 대전으로 돌아오는 길에 후포항에 들른 적이 있었으나, 남재현 의사의 처가가 있는 후포항을 소개하던 백년손님 프로그램 촬영지라는 지식만으로 그냥 훌쩍 스치고 지나갔던 것이 아쉬워 여기에 소개하기로 한다. 등대공원이라는 부재가 붙어 있는 등기산공원은 울진군 후포면 후포리에 있다. 후포항이 내려다 보이는 공원으로 실제 등대인 후포 등대와 함께 이집트 파로스 등대, 영국 벨록 등대, 독일의 브레머하펜 등대, 프랑스 코르두앙 등대와 우리나라의 인천항의 팔미도 등대 모형이 있어서 이국적인 면도 있다. 신석기 유적관도 있고, 느티나무를 바라보는 사랑의 키스 조형물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