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즐거운 여행 /행복찾아 가본곳 204

속초 영랑호 호반 산책길을 걷다.

2024년 6월 2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의 마지막 코스인 45코스를 걸으며 해파랑길에 포함되어 있는 영랑호를 호반 산책길을 걸었다. 영랑호는 속초 동북쪽에 자리잡고 있다.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장사동 산 313-1 일대에 있는 석호이다. 영랑호는 둘레 7.8km에 달하는 석호이다. 영랑호 북쪽 호반에는 단독 전원주택처럼 조성된 리조트 건물들이 세워져 있었는데 지난 2019년 강원도 산불로 소실되어 지금은 폐허가 되어 있었다. 신라 화랑 영랑이 벗들과 함께 금강산으로 수행을 다녀오다 호수의 아름다움에 반해 오래 머물렀다는 영랑호를 한 바퀴 도는 것도 힐링이 된다. 처음 입구에서 볼 때는 경포호보다 훨씬 작아 보이는데 막상 들어가면 무척 컸다. 중간에 물범을 닮은..

양양군 수산항을 둘러보다.

2024년 5월 5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3코스(하조대 해변-수산항)를 걷는 중에 43코스 종점인 수산항을 둘러보았다.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손양면 수산1길 46-12(수산리 89-32) 인근에 있다. 동해대로에서 수산항으로 들어가면 제일 먼저 요트 형상의 조형물이 있는 아치형 다리와 빨간 등대와 하얀 등대가 준에 들어온다. 시골 항구에 이런 멋진 관광용 다리가 설치되어 있다니 하면서 놀라움을 갖고 항구로 들어간다.  수산항은 그동안 보아오던 동해안의 어촌마을 항구가 아니고 외국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요트 계류장이 있는 고급스러운 항구이다. 60척의 요트를 정박할 수 있는 동해안 최고의 요트항이라고 한다. 깨끗하게 정비된 항구와 여러 모양의 요트들이 정박해 있어서 이국적인 느낌을 준다...

양양 하조대에 다녀오다.

2024년 4월 21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강릉 구간)의 41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북면 하광정리 산3 외에 있는 하조대에 다녀왔다. 2009년 8월 22일 고등학교 동창 친구들과 함께 민박집을 빌려 머물었던 기억이 난다. 하조대에서 일박하고 설악산 등반을 갔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15년이나 지난 일이 되었다.  양양군의 양양 여행 리플렛에 따르면 하조대는 양양 10경 중에서 제5경에 속하는 명승지이다. 안내도를 따라 오른쪽으로 가서 하조대 정자와 무인등대를 구경하고, 나중에 해변으로 내려와 하조대 둘레길과 하조대 전망대를 구경하게 되어 있으나, 해변길에서 하조대 전망대로 가는 길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어서 보지 못했다. 하조대 입구를 지나 먼저 하조대 전..

양양 죽도정과 죽도 전망대에 다녀오다.

2024년 4월 21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강릉 구간)의 41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새나루길 26(현남면 인구리 1-1)에 있는 죽도정과 죽도 전망대에 다녀왔다. 죽도는 인구리 해수욕장에 있는 둘레 1km, 높이 53m의 원래 섬이었으나 지금은 육지와 연결되어 있다. 섬에 송죽이 사철 울창한 섬이고,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는 산책로가 만들어져 있다. 죽도 정상부에는 철제로 만들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서 근처의 해변과 바다 풍경을 즐길 수 있다. 전망대 조금 아래 쪽에는 양양군에서 양양 여행 리플렛에서 소개하고 있는 양양 10경 중 제6경에 속하는 죽도정이 있다. 섬 둘레를 따라 산책로가 조성되어 있어서 해안 풍경을 조망하며 삼림욕을 즐길 수도 있고, 높..

휴휴암에 다녀오다.

2024년 4월 21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강릉 구간) 41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현남면 광진2길 3-16(현남면 광진리 1)에 있는 휴휴암(休休庵)에 다녀왔다. 2020년 7월 31일에 왔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4년이 다 되어 간다. 휴휴암은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로 홍련암과 함께 관음도량으로 많은 사람들이 찾는 암자이다. 휴휴암은 1995년에 홍법 스님이 기도 수행처를 찾아다니던 중에 자리를 잡고 세운 암자이다. 해파랑길 41코스를 걸을 때는 남쪽 산길을 통해 후문으로 들어오게 되어 있다. 7번 국도 옆에 있는 주차장에서 넘어오면 불이문(不二門)을 지나 암자 내로 들어오게 되어 있다. 불이문으로 향하는 고개를 넘자마자 노란 목련이..

주문진 향호를 둘러보다.

2024년 4월 7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을 따라 해파랑길 41코스를 걸으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향호리 산 58-7에 있는 석호인 향호 산책길을 걸었다. 향호는 경포호 등과 같이 모래가 해안을 따라 운반되다가 바다 쪽으로 계속 밀려 나가 쌓여 형성되는 둑 모양의 지형인 사취(砂嘴)와 해안이나 호안 근처의 수면상에 나타난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진 지형을 말하는 사주(砂洲) 등에 의하여 바다와 거의 분리되면서 생긴 호수인 석호(潟湖)이다. 향호에는 동해 사면에서 흘러드는 담수와 동해 바다의 염수가 혼합되어 있다고 한다. 향호(香湖)라는 지명은 고려 충선왕 때 동해 사면을 흐르는 계곡의 하류와 바닷물이 만나는 지점에 향나무를 묻는 매향 풍습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디지털 강릉문화대전에서 향호를 소개하고 ..

주문진 아들바위공원을 둘러보다.

2024년 4월 7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을 따라 해파랑길 40코스를 걸으며,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주문진읍 주문리 소돌항 아들바위공원을 둘러보았다. 아들바위공원에는 괴암 괴석들이 보는 사람들의 눈을 즐겁게 한다. 어떻게 지각변동으로 저런 바위가 솟아오르고 바닷물에 침식되어 멋진 조각품을 만들어 놓고 있을까 경이롭다. 아들바위라고 해서 아들의 형상이 있는 것이 아니고, 아들을 낳고자 하는 사람들이 소원을 빌면 아들을 낳게 해준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아들바위에 부착되어 있는 안내판을 보면, 공룡이 살았던 일억오천만년 전 쥐라기 시대에 바닷속에 있다가 지각변동으로 지상에 모습을 드러낸 바위로 수세기 전 자식이 없는 부부가 백일기도로 아들을 점지 받은 후 아들을 원하는 부부가 기도를 하면 소원을 성취..

주문진 등대 해양문화공간을 둘러보다.

2024년 4월 7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을 따라 해파랑길 40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옛등대길 24-7(주문진읍 주문리 187-2)에 있는 주문진등대 해양문화공간을 둘러보았다. 주문진 등대는 백두대간으로부터 뻗어져 나온 산줄기가 바다와 만나는 해발 30m 높이의 언덕에 세워져 있다. 주문진항이 끝나는 삼거리에서 왼쪽 석축 위로 조성된 지그재그식 길인 등대길을 따라 올라가면 만날 수 있다. 주문진항을 드나드는 배들의 길라잡이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에게 등대는 언제나 묘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아마 등대지기라는 노래가 우리에게 각인시켜준 것이리라. 등대가 있는 공원에는 인어상과 갈매기상이 설치되어 있다.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바다 조망과 주문진항 쪽의 조망이 멋지다. 해파랑길을 걸으며 많은 ..

세종시 습지생태원을 둘러보다.

2024년 3월 30일 세종시 원수산과 전월산 산행을 시작하면서 원수산 등산로 초입에 있는 습지생태원을 둘러보았다.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734-4(세종동 734-4)에 위치하고 있는 원수산 습지생태원은 덕성서원에서 좌측으로 집입하는 원수산 등산로를 따라가면 만난다. 원수산 중턱에 있는 습지에 조성되어 있다. 다양한 동식물들이 자생하고 있어 시민과 전문가가 함께 하는 생태탐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습지생태원 내에는 보존습지, 수생식물습지, 건생습지, 조류관찰공간, 생태학습장, 단풍나무숲, 산책로 등이 갖춰져 있다. 데크 탐방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가족과 함께 즐기기 좋은 곳이다.

세종시 무궁화공원에 다녀오다

2024년 3월 30일 세종시 원수산과 전월산 산행을 하면서 원수산에서 전월산으로 넘어가기 전에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세종리 646-1에 있는 무궁화공원을 둘러보았다. 겨울철이라 썰렁한 느낌이 있었으나 많은 종류의 무궁화 묘목들이 심어져 있고 각각의 품명들이 적힌 명패가 설치되어 있어서 무궁화를 공부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는 곳이다. 무궁화 품종이 엄청 많다. 무궁화에 관하여 공부하려면 이곳이 가장 좋은 교육장일 것 같다. 주차장에서부터 무궁화에 관한 설명과 우리나라 꽃이 된 역사와 품종 등을 공부할 수 있는 안내판들이 세워져 있다. 소중한 안내판들이 주기적으로 보수가 되었으면 좋겠다. 300여 종의 무궁화 품종이 심어져 있고 명패가 설치되어 있어 공부하기에 딱 좋은 곳이다. 아직은 어린 묘목들이 심어져 ..

강릉 경포호를 둘러보다.

2024년 3월 17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39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도 강릉시 저동 에 있는 경포호((鏡浦湖)를 둘러보았다. 경포대 호수로 알려져 있으며, 호숫물이 거울과 같이 맑다고 하여 경호(鏡湖)라고도 불린다. 경포호와 강문해변은 온 적이 있었어도 오늘처럼 경포호를 한바퀴 돌은 것은 처음이다. 바람이 불어 물결이 크게 일어서 그런지 물은 황토물이다. 호숫가에 설치한 조각품들을 감상하며 산책하기에 딱 좋은 길이다. 벚꽃이 피면 많은 사람들이 모일 것 같다. 홍길동전을 지은 허균의 호인 교산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교산교를 건너 송림 속을 지나 허난설헌 생가터와 허균·허난설헌 기념관을 둘러보고 다시 호숫가로 나온다. 가시연 습지에서 1960년대 논으로 바뀌었다가 2008년에 다시 복원한 ..

강화도 조양방직 카페에 다녀오다

2024년 3월 10일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3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향나무길5번길 12, 1층 조양방직(강화읍 신문리 587)에 다녀왔다. 2021년 1월 23일 저녁에 방송된 KBS1 '김영철의 동네 한 바퀴'에서 소개된 곳으로 거대한 카페이면서 갤러리이다. 커피를 파는 카페가 이렇게 거대(?)할 수도 있다는 것이 놀랍다. 지난해 해파랑길을 걸으며 만났던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에 있는 테라로사(TERAROSA) 커피공장에 있는 카페의 규모에 놀랐던 기억이 난다. 조양방직 카페는 예전의 조양방직 공장을 1년여에 걸쳐 수리하여 카페로 리모델링한 곳이라고 한다. 카페 사장은 본업인 골동품 수집도 접고 조양방직 카페에만 매달렸다고 한다. 조양방직은 1937년에 홍재용..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을 걷다.

□ 바다부채길(2.86km) 코스 요약 - 심곡매표소(11:28) -> 심곡전망타워(11:30) -> 부채바위(11:49) -> 투구바위(12:01) -> 거북바위 -> 몽돌해변(12:10) -> 해안단구 입구(12:13) - 정동진 매표소(12:21) □ 트레킹 후기 2024년 3월 3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36코스를 걷기 전에 심곡항에서 내려 정동심곡바다부채길을 걸었다. 심곡매표소에서 출발하여 정동진매표소를 지나 정동진항까지 걸었다. 해파랑길을 따라 부산 오륙도에서부터 올라온 우리로서는 다른 곳에 비해 크게 절경이라는 생각이 안 들었다. 강릉시에서 바다부채길 홈페이지도 만들어 홍보하고, 날씨에 따라 매일 개방 여부를 OPEN, CLOSE로 공지하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의 이목을 모으는..

강릉 장현저수지 성불사를 둘러보다.

2024년 2월 28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서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8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진재골길 102(장현동 379-4)에 있는 성불사를 둘러보았다. 장현저수지 가에 자리잡고 있는 작은 암자로 고택을 그대로 살려서 암자로 사용하고 있는 절이다. 고택의 안채에 해당하는 곳에는 아미타부처님과 지장보살, 관세음보살을 모신 불단이 조성되어 있었다. 한참 정원을 꾸미는 불사를 하고 있었다. 정원에는 관세음보살과 포대화상이 계신다. 반배를 올리고 구경하는 동안 인기척을 느끼시고 공양을 준비하시던 비구니 스님께서 얼굴을 내미신다. 고택을 사용하고 있어서 최근에 생긴 줄 알았는데 스님 말씀으로는 벌써 40여년 전에 설립한 사찰이라고 한다. 스님께 합장하며 인사를 올리고 사찰이 번..

묵호등대와 논골담길 벽화마을에 다녀오다.

2024년 1월 7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4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해맞이길 289(묵호진동 2-541)에 있는 묵호등대해양문화공간에 다녀왔다. 1968년 정소영 감독의 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 촬영지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문화공간이다. 이곳에는 하얀 등대인 묵호등대와 묵호등대 전망대,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스카이워크 등이 있고, 올라가는 길에 조성된 논골벽화마을이 있다. 도째비는 도깨비의 사투리이다. 묵호항 수변공원 건너편에서 시작하는 등대오름길을 따라 올라가면 묵호등대와 전망대 등이 있다. 묵호등대가 있는 작은 동산에는 많은 집들이 들어서 있고, 등대오름길, 논골1길, 논골2길, 노골3길로 조성되어 있는 동네길에는 많은 벽화들이 그려져..

삼척시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9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2코스를 걷기 시작하기 전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 119-5에 있는 덕봉산(德峰山, 54m) 해안생태탐방로와 산 정상에 있는 전망대를 둘러보았다.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는 삼척시내와 가까운 맹방해수욕장과 덕산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해 있다. 덕봉산은 2021년 4월에 삼척시에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 개장한 곳이다. 덕산해변에서는 모래톱을 걸어서 접근이 가능하고, 맹방해수욕장 쪽에서는 외나무다리를 건너야 한다. 지난 여름에 태풍으로 외나무다리가 유실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개설되었다. 덕봉산은 1968년 울진ㆍ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이 발생한 뒤 경계 철책을 설치하면서 일반인 출입이 금지되었던 곳으로 군 경계 철책의 ..

진주시 진양호 전망대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2일 대전 한밭문화원의 1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로 1번길 96-6(판문동 산 171-1)에 있는 진양호공원에 있는 전망대에 다녀왔다. 진주성 관람을 마치고 경상국립대학교 후문 근처 식당에서 식사를 마친 후 진양호공원으로 향했다. 우악정 정자가 있는 주차장에서 내려 편백나무 숲길을 따라 걸어 올라가면 전망대에 도착한다. 넓은 호수와 댐을 볼 수 있고 멀리 지리산 천왕봉까지 보이는 명소이다. 왜 진주시에 있는 댐인데 진주호가 아니고 진양호일까? 네이버에게도 물어봐도 답이 없다. 공원에 도착하여 주차안내하시는 분에게 여쭤보니 “진양에 있기 때문에 진양호란다.” 알고보니 이곳은 예전에 진양군이었다 한다. 지금은 진주시에 편입되어 없어진 지명이지만 댐에 건설될 때는 진양군이..

초곡용굴촛대바위길을 다녀오다.

2023년 11월 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0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236-4에 있는 초곡용굴촛대바위길을 다녀왔다. 삼척시 관광안내지도에 소개된 글을 옮기면, “초곡 해안은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과 6·25의 아픔을 간직한 용굴과 그 일대의 아름다운 괴암괴석이 어우러져 해금강이라는 애칭을 가진 곳으로 그동안 접근로가 없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야만 볼 수 있었던 해안 절경을 출렁다리, 전망대 등이 조성된 야외탐방로(660m)를 통해 가까이서 감상할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파도가 바위에 부딪혀 만들어 내는 하얀 포말도 보고, 기암절벽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와 해국 등을 볼 수 있는 절경이다. 이곳 초곡촛대바위는 추암촛대바위와 함께 ..

황영조기념공원과 기념관을 다녀오다.

2023년 11월 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0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176에 있는 황영조기념공원과 황영조기념관을 다녀왔다.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마라톤으로 금메달을 딴 마라톤 국가대표 황영조 선수의 인간 승리 과정과 우승의 감격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공원이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스타디움이 있던 몬주익 언덕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언덕 위에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바로 옆에 기념관이 있다. 초곡항은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인 황영조 선수의 고향이다. 황영조 기념공원에는 황영조 선수가 뛰는 형상의 조형물이 있고 초곡항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도 있다. 바로 옆에는 있는 황영조 기념관에는 황영조 선수에 관한 자료들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