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목본]야생꽃나무 180

산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산수국(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 et Z.) Wils.) 2024년 6월 29일 대전광역시 시경계걷기를 하면서 유성구 신동 소문산성에서 담았다. 경기도 및 장원도 이남의 산골짝이나 전석지(轉石地)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며 잔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다. 길이 5~15cm, 너비 2~10c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의 축맥과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화는 지름 2~3cm이며 똧받침잎은 꽃잎 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

굴피나무

가래나무과(Juglandaceae) -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e S. et Z.) 2024년 5월 26일(일)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갈마공원에서 담았다. 경기도 이남의 산지, 특히 수성암 겉에서 많이 자라고 높이 12m, 지름 53cm이지만 보통 높이 3m, 지름 10cm이다, 잔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며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서 뚜렷한 피목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홀수 우상복엽이고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과 잎자루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cm로서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지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양면에 흰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웅화수는 길이 5~8cm이..

대팻집나무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 대팻집나무(Hex macropoda Miq.) 2024년 5월 11일 대전광역시 경계걷기를 하면서 안평산에서 담았다. 언뜻 보기에 쥐똥나무라고 생각하고 지나치려다 꽃이 엽액 근처에 몰려 있어서 자세히 보니 대팻집나무였다. 감탕나무와 달리 잎이 넓은 난형이고 잎맥이 뚜렷하다, 목질이 단단하여 대팻집으로 주로 사용되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충청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5m에 달하고 가지가 짧으며 잔가지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지만 짧은 가지에서는 총생하고 얇으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3~10cm, 너비 3~4.5cm로서 표면에는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 위에 끝까지 털이 남아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문드문 있다..

땅비싸리

콩과(Fabaceae) -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Maxim.) 2024년 5월 1일 대전광역시 중구 어남동에서 담았다. 산기슭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소관목으로서 높이가 1m에 달하며 뿌리가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잔가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4cm로서 양면에 복면(腹面)으로 붙어 있는 누운 털이 있다. 총상화서는 액생하며 길이 12cm 정도로서 잎과 거의 같은 길이이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2cm 정도로서 장미색이고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이며 피침상의 꽃받침잎에 털이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 열매는 원주형이..

가막살나무

인동과(Caprifoliaceae) - 가막살나무(Viburnum dilatatum Thunb.)  2024년 4월 27일에 대전광역시 중구 정생동 대전시 경계길에서 담았다. 덜꿩나무(Viburnum erosum Thunb.)와 비슷하여 동정하기가 어렵다. 잎자루가 길고 턱잎이 없는 것을 보고 가막살나무로 동정한다. 황해도와 강원도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3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성모와 선점이 있다. 잎은 대생하며 아원형,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갑자기 좁아진 점첨두이며 원저 쪼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6~12cm로서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6~20mm이도 턱잎이 없다.  복산형화서는 밑부분에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

신나무

단풍나무과(Aceraceae) - 신나무(Acer ginnala Maxim) 2024년 4월 27일에 대전광역시 중구 정생동 대전시 경계길에서 담았다. 높이가 8m에 달하는 낙엽소교목으로서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며 난상 타원형이고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4~8cm, 너비 3~6cm로서 표면은 윤채가 있으며 뒷면은 털이 없거나 약간 있고 하반부에서 흔히 3개로 깊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결각과 더불어 뾰족한 겹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1~4cm로서 연한 홍색이다. 복산방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7cm이고 꽃은 잡성으로서 5월에 피며 황백색이고 향기가 있다. 수꽃은 지름 4.5mm로서 5개씩의 꽃받침잎과 꽃잎 및 8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장란형이고 꽃잎은 ..

층층나무

층층나무과(Cornaceae) - 층층나무(Cornus controversa Hemsl.) 2024년 4월 2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충남대학교 공학관 앞에서 담았다. 예전에도 올린 적이 있는 나무지만 꽃이 피는 시기를 참고하기 위하여 다시 한번 더 올린다. 계곡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20m에 달하고 수피는 얇게 세로로 홈이 져서 터지며 가지는 계단상으로 윤생하며 수평으로 퍼지고 붉은빛이 돈다. 잎은 호생하며 넓은 난형 또는 타원상 난형이고 급한 점첨두이며 원저이고 길이 5-12cm, 너비 3-8cm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어릴 때 누운 털이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으로서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5-12cm로서 털이 있거나 없고 꽃자루는 길이 1-3cm이다. 꽃..

순비기나무

마편초과(Verbenaceae) - 순비기나무(Vites rotundifolia Linne fil.) 2023년 8월 6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 25코스 트레킹을 하면서 경북 울진군 망양해변에서 담았다. 경북 및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잔가지는 약간 네모가 지며 흰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읜 가루로 덮여 있는 것 같다. 잎은 대생하고 두꺼우며 난형 또는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2~5cm, 너비 1.5~3cm로서 표면에 잔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이 돌면 뒷면은 은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5~7mm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수상 원추화서는 가진 끝에 달ㄹ며 길이 4~7c..

박쥐나무

박쥐나무과(Alangiaceae) - 박쥐나무(Alangium platanifolium var. macrophyllum (S. et Z.) Wanger) 2023년 6월 6일에 대청호오백리길 15구간을 걸으며 보은군 회남면에서 처음 담았고, 2023년 6월 9일에 직장 동료와 함께 다시 찾아가 꽃과 잎들을 다시 담았다. 꽃 모양도 생소하고 이름도 생소하다. 나뭇잎의 모양과 엽맥 등이 박쥐의 날개를 닮았다고 하는 설명도 있지만, 꽃이 나무 가지에 달려 있는 모습도 박쥐와 유사하다. 전석지(轉石地, 암반에서 떨어져 물 따위의 작용으로 원위치에서 밀려 나간 돌이 쌓여 있는 곳)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잔가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고 4각상 심원형(心圓形) 또는 원형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7..

낭아초

콩과(Fabaceae) - 낭아초(Indigofera pseudotinctoria Matsumura) 2023년 6월 6일에 대청호오백리길 15구간을 걸으며 보은군 회남면에서 담았다. 식물도감에서는 경상도 및 전북의 해안지대와 제주도에서 자라는 낙엽반관목이라고 하는데, 이곳 충북 보은군 회남면에서 자라고 있었다. 502번 지방도로를 정비하고 포장하면서 심어 놓은 것 같다. 길이가 2m에 달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자라고 잔가지는 누운 털이 있으며 가늘다. 잎은 호생하고 홀수 1회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5~11개이고 타원상 도란형,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6~25mm로서 둔두 원저이지만 끝에 작은 돌기가 있고 양면에 누운 털이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총상화서는 액생하고 길이 4..

족제비싸리

콩과(Fabaceae) - 족제비싸리(Amorpha fruticosa Linnaeus)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0코스를 걸으며 영덕군 영덕읍 임도에서 담았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낙엽관목으로서 1930년 경 만주를 거쳐 들어왔으며, 절개지 등에 주로 심는 수종이다. 높이가 3m에 달하고 잔가지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11~25개씩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이고 끝이 둥글지만 주맥 끝은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이고 길이 1.5~3cm로서 둣면에 잔털이 없거나 약간 있다. 수상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7~15cm로서 꽃이 배게 달리고 꽃은 5~6월에 피며 길이 6mm로서 자줏빛이 도는 하늘색이고 향기가 강하다. 꽃받침에 선..

마가목

장미과(Rosaceae) -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제법 큰 나무들이 가로수처럼 심어져 있었고 마침 하얀꽃들이 산방화서로 피어 있었다. 전남, 제주도, 강원도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 6~8m이고 잔가지과 겨울눈에 털이 없으며 겨울눈에 점성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한녹색이다,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겹톱니 또는 홑톱니가 있고 턱잎이 일찍 떨어진다.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꽃은 5~8mm로서 백..

다릅나무

콩과(Fabaceae) -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앞에서 솔비나무를 올리고 나니, 솔비나무와 잎과 꽃이 비슷한 다릅나무를 비교할 수 있게 같이 올린다. 막 잎이 올라오고 있는 다릅나무라 솔비나무와 구분이 어렵다. 다릅나무는 육지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5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며 짧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8cm로서 영면에 털이 없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로서 길이 10~20cm이며 위로 향한다. 꽃은 7월에 피며 지름 8mm로서 밀착한다. 꼬투리..

솔비나무

콩과(Fabaceae) - 솔비나무(Maackia fauriei (Lev.) Takeda)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흔히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가 8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9~17개(보통은 13개 이상)이고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6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며 처음에는 솜털이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없어지고 소엽병은 길이 5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4mm 정도로서 화서축과 더불어 갈색의 누운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길이 5mm 정도로서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색의 누운 털이 있다. ..

가장 늦게 잎이 피는 회화나무

콩과(Fabaceae) -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innaeus) 2023년 4월 초순부터 5월 초순까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경찰서 앞에 있는 회화나무를 관찰하였다. 다른 나무들은 모두 잎이 나오는데도 이 회화나무는 죽은 나무인 듯이 잎이 올라오지 않아 궁금했었다. 이팝나무 꽃이 필 때인 4월 25일경에 새싹이 조금 올라왔었고, 이팝나무꽃이 떨어질 때인 5월 9일경이 되어서야 잎이 무성해졌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이라는 말을 연상하게 한다. 회화나무는 흔히 부락 근처에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5m까지 달하고 가지가 퍼지며 잔가지는 녹색이고 자르면 냄새가 난다. 회화나무 꽃을 특별히 괴화(槐花)라 하고 열매를 괴실(槐實)이라고 한다. 원래 중국 주(周)나라 때의 예절인 주례(周禮)에..

다정큼나무

장미과(Rosaceae) -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천리포수목원에서 본 적 있었는데 그때는 포스팅을 안한 것 같다. 정식 학명은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이고 학명이명으로는 Raphiolepis umbellata (Thunb.) Makino이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는 학명이명으로 명명하고 있다. 남쪽 해안에서 자라는 상록관목으로서 높이 2~4m이고 잔가지는 윤생하며 처음에는 솜털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 총생한 것같이 보이고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3~10cm..

좀굴거리나무(좀굴거리)

대극과(Euphorbiaceae) - 좀굴거리나무(Daphniphyllum glaucescens Blume.)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붙여놓은 명패에는 학명이 D. teijsmannil로 표기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라 명명하였다.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 Miq.)와 유사하나 잎의 길이가 짧다. 굴거리나무 옆에 있어서 같이 비교해 보니 확실히 차이가 났다. 굴거리나무에 비해 잎의 길이가 10cm 이하이고 잎의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맥 사이의 거리가 5~8mm인 점이 다르다. 참고로 굴거리나무(D. macropodu Miq.)에 관한 설명을 요약하면, 바닷가로는 안면도, 육지로는 전북 내장산까지 올라오는 상록소..

굴거리나무(굴거리)

대극과(Euphorbiaceae) -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 Miq.)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붙여놓은 명패에는 굴거리나무과(Daphniphyllaceae)로 분류되어 있으나, 바로 옆에 있는 좀굴거리나무 명패에는 대극과로 표지하고 있고,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도 대극과(Euphorbiaceae)로 분류되어 있어서 대극과로 동정하였다. 명패에 표지된 학명에 오타가 있어서 조금 아쉽다. 예전에 내장산 국립공원에 관상수로 심어져 있는 굴거리나무를 담아서 포스팅한 적이 있다. 바닷가로는 안면도, 육지로는 전북 내장산까지 올라오는 상록소교목으로서 높이가 10m에 달하고 잔가지는 굵으며 녹색이지만 어린 것은 붉은빛이 돌고 털이 없다. 잎..

고광나무

범의귀과(Saxifragaceae) -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ckii Ruprecht)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에서 담았다. 산야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2~4m이고 잔가지에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로서 길이 7~13cm, 너비 4~7cm이지만 과지(果枝)의 것은 길이 4.5~7.5cm, 너비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총상화서에도 잔털이 있고 5~7개의 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꽃은 지름 3~3.5cm로..

홍괴불나무

인동과(Caprifoliaceae) - 홍괴불나무(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2023년 4월 22일 대청호오백리길 14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내면 신촌리 버스정류장 근처의 농장에서 담았다. 언뜻보면 꽃봉오리가 붉은인동을 닮았는데, 활짝 핀 꽃은 다섯 개 열편으로 깊게 갈라져 있고, 나무도 관목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중국, 러시아, 한국 원산이며 전국의 깊은 산 산비탈이나 골짜기에서 서식한다. 높이 3m이고 가지의 골속이 차 있으며, 작은가지는 2~4각형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넓은 예저이며 길이 3~8cm, 너비 2~3.5cm로서 뒷면 주맥을 중심으로 백색 털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짙은 자홍색이며 새 가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