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배움의 기쁨/명리학 공부 23

[스크랩] 장동순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한반도 국가정책 방향에서 실기해서는 안 될 중대한 전환의 시기 직면”

장동순 충남대 환경공학과 교수 “한반도 국가정책 방향에서 실기해서는 안 될 중대한 전환의 시기 직면” 충청투데이 cctoday@cctoday.co.kr 2018년 01월 02일 화요일 제27면 승인시간 : 2018년 01월 01일 19시 55분 외연 확장·새영역 도전 기운심장 기운 약할 땐 질병 우려가뭄탓에 포화성 강..

[논문]『『子平眞詮』의 刑․沖․會․合論에 關한 硏究』를 읽다.

張英美(2014). 『『子平眞詮』의 刑․沖․會․合論에 關한 硏究』. 문학 석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동양사상학과. 2014.2. 2016년 8월 20일에는 『子平眞詮』의 刑․沖․會․合論에 關한 張英美(2014)의 논문을 읽었다. 이 논문의 저자는 수년 동안 실제 임상을 통..

[논문]『『子平三命通變淵源』의 看命入式에 관한 硏究』를 읽다.

朴在奎(2015). 『子平三命通變淵源』의 看命入式에 관한 硏究 -『子平眞詮』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동양학과. 2015.2. 2016년 8월 15일 광복절 연휴 기간에 『子平眞詮』 관련 논문을 읽기로 작정한 후 2016년 8월 15일에 두 번째로 읽은 논문이다. 『子平三..

[논문]『사주학의 역사와 격국용신론의 변천과정 연구』를 읽다.

李容俊(2004), 『四柱學의 歷史와 格局用神論의 變遷過程 硏究』,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동양철학과, 2004.12. 명리학과 관련하여 주변 학문을 기웃거리면서 진화심리학 책들을 보다보니 어느새 여름방학이 다 지나가고 있다. 명리학 공부를 너무 소홀히 하는 듯 하여..

경북 김천시 부항면 대야리의 대야농장을 두 번째 방문하다.

2015년 8월 22일(토) 오후에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명리학 도반들과 함께 난곡 차윤득 선생님께서 운영하시는 야생 블루베리 농장인 대야농장을 다녀왔다. 대야농장은 경북 김천시 부항면 대야길 44-109에 있다. 김천시 황악산을 지난 백두대간이 민주지산 삼도봉 쪽으로 향해가는 백두대간..

소재학 박사의 학위논문인 「五行과 十干十二支 理論 成立에 관한 硏究」를 읽다.

o 蘇在學(2008), 「五行과 十干十二支 理論 成立에 관한 硏究」, 박사학위청구논문, 동방대학원대학교. 2015년 8월 8일에 동방대학원대학교 미래예측학과 명리인상학 전공으로 수학하신 소재학(蘇在學) 박사의 2008학년도 박사학위창구논문인 「五行과 十干十二支 理論 成立에 관한 硏究」..

경북 김천시 부항면 대야리의 블루베리 농장인 대야농장을 방문하다

2015년 6월 1일(월) 오후에 휴가를 내어 충남대학교 평생교육원 명리학 도반들과 함께 난곡 차윤득 선생님께서 운영하시는 대야농장을 다녀왔다. 블루베리를 야생으로 키워 유기농 블루베리를 생산하는 농장을 견학하는 목적도 있었지만, 명리학 스승님이신 성철재 교수님의 스승님인 난..

[논문]「명리학에서 월지중심의 간명법과 격국운용에 관한 연구」를 읽다.

鄭大鵬(2013), 「명리학에서 월지중심의 간명법과 격국운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5년 5월 17일에 정대붕 박사의 학위논문을 읽었다. 정대붕(鄭大鵬) 박사는 성철재 교수님의 명리학 도반이시다. 성함부터가 예사롭지 않다. 우리가 공부하고 있는 격국론을 월..

공주대학교 정신문화연구소 논문집 사주명리학 총론을 읽었다.

공주대학교 정신문화연구소 편저(2010), 공주대학교 동양학과 교열, 사주명리학 총론(四柱命理學 總論), 서울: 명문당. 2015년 2월 13일에 공주대학교 정신문화연구소에서 사주명리학 논문집 형태로 발간한 책인 사주명리학 총론(四柱命理學 總論)을 읽었다. 공주사범대학이 종합대학으로 ..

宋志成 박사의 학위논문인 『命理正宗』 硏究를 다시 읽다.

2014년 9월 6일 추석 연휴가 시작되었다. 오랜만에 조용히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 명리학 관련해서 복습하는 기회에 작년 년말에 송지성 박사께서 주신 박사학위논문을 다시 읽었다. 송지성 박사는 현 시대에 명리학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은 원인 중의 하나로 하나뿐인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