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30

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or. geoides (S. et Z.) Wils.) 2024년 6월 25일 대전광역시 둔산동 서구청 근처의 샘머리공원에서 담았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식하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며 겨울동안 윗 부분이 고사한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두꺼우며 짙은 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7~15cm, 너비 5~1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6~7월에 줄기 끝에 크고 둥글며 지름 10~15cm인 산방화서가 달리고 꽃은 무성화이며 꽃받침잎은 4~5개로서 꽃잎모양이고 처음에는 연한 자주색이던 것이 벽색으로 되었다가 다시 연한홍색으로 된다. 꽃잎은 극히 작으며 4~5개이고 수술은 10개 정도이며 암..

나무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나무수국(Hydrangea paniculata Sieb.) 2024년 6월 24일 대전광역시 시청 근처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일본에서 들어온 관상용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2~3m이다. 잎은 대생하지만 때로는 3윤생하는 것도 있으며 타원형 또는 난형익ㅎ 길이 5~12cm, 너비 3~8cm로서 표면에 처음에는 털이 약간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뒷면은 연한녹색으로서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큰 원추화서가 달리고 꽃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같은 꽃차례에 달리며 꽃받침잎은 백색이지만 약간 붉은빛이 돌기도 하고 타원형 또는 원형이며 꽃잎과 모양이 같다. 꽃은 쓰러진 다음에도 모양이 변화되지 않고 그대로 겨울까지 달려 있다. 꽃이 중..

일본목련

목련과(Magnoliaceae) - 일본목련(Magnolia obovata Thunb,) 2024년 6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46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 오호항에서 담았다. 일본에서 들어온 낙엽관상수로서 중부 이남에서 재식하고 원산지에서는 높이 20m, 지름 1m 정도 자란다. 잎은 호생하거나 가지 끝에서 총생하며 도란형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으로 좁아진다. 길이 20~40cm, 너비 13~25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잔털이 있다. 꽃은 5월에 잎이 핀 다음 가지 끝에 1개씩 달리고 연한 누른 빛이 도는 백색으로서 지름 15cm이며 향기가 강하다. 꽃받침잎은 3개이고 꽃잎과 비슷하지만 짧으며 꽃잎은 6~9개이고 도란형이며 길이 6c..

미국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미국수국(Hydrangea arborescens Linnaeus) 2024년 6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대동에서 담았다. 미국산의 낙엽관목으로서 1957년에 미국 보스턴에서 들여왔다. 높이가 1m 내외에 달하고 어린 잔가지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6~20cm, 너비 4~8cm로서 털이 없거나 뒷면에 털이 다소 있고 가장자리에 밖으로 향한 치아상의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2~6cm로서 밑부분이 다소 넓다. 꽃은 6~7월에 피고 산방화서는 지름 5~15cm로서 털이 다소 있으며 똧자루가 길다. 중성화는 소수이고 지름 1.5~2cm로서 백색이며 양성화는 작고 꽃받침통은 털이 없으며 10개의 능선과 끝에 5개의 열편이 있고 씨방은 하위..

만첩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만첩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for. plena Schneid)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빈도리와 같은 특성이며 꽃이 만첩꽃이 피는 것만 다르다. 아래 설명은 빈도리(D. crenata S. et Z.)와 같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

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진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 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 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고 ..

서양골담초(애니시다)

콩과(Fabaceae) - 서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L.) Link)  2024년 5월 5일에 해파랑길 43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양양군 동호해변의 ’Cafe In 동호리‘라는 카페 입구에 있는화분에서 담았다. 우리나라에서는 금작화 또는 양골담초라고도 부르나 애니시다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카페 사장님한테 꽃 이름을 배웠는데 전혀 기억이 나지 않았다. 네이버 렌즈에게 물어보면 골담초라고 우겨서 헷갈렸었는데 알고보니 서양골담초였다.  어떤 사유로 품명이 애니시다가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인터넷에서 검색해보면, 애니시다는 유통명인데 유사한 다른 종인 French Broom(Genista monspessulana (L.) L.A.S.Johnson)의 종명 Genista를 일본식으로 발음한 것..

삼지닥나무 꽃

팥꽃나무과(Thymeleaceae) - 삼지닥나무(Edgeworthia pay-rifera S. et Z.) 2024년 4월 7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을 따라 해파랑길 40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강릉시 주문진읍 옛등대길 24-7(주문진읍 주문리 187-2)에 있는 주문진등대 화단에서 담았다. 지난 2024년 2월 18일 해파랑길 32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있는 강릉 조철현 가옥과 강릉 정의윤 고택에서 겨울동안에 꽃망을을 맺고 있는 삼지닥나무를 담았었는데 이번에 활짝 핀 꽃을 담았다. 꽃 향기가 정말 진하고 좋다. 전라도와 경상도 이남에서 심고 있으나 경기도에서도 월동이 가능한 낙엽관목으로 높이 1~2m이고 가지는 굵으며 황갈색이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어릴 때는 누운 털이 있다. 잎은 ..

삼지닥나무

팥꽃나무과(Thymeleaceae) - 삼지닥나무(Edgeworthia pay-rifera S. et Z.) 2024년 2월 18일 해파랑길 32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에 있는 강릉 조철현 가옥과 강릉 정의윤 고택에서 담았다. 전라도와 경상도 이남에서 심고 있으나 경기도에서도 월동이 가능한 낙엽관목으로 높이 1~2m이고 가지는 굵으며 황갈색이고 흔히 3개로 갈라지며 어릴 때는 누운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막질이며 넓은 피침형 또는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의며 길이 8~15cm, 너비 2~4cm로서 양면, 특히 뒷면에 털이 있고 표면은 밝은 녹색이며 뒷면은 흰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길이 5~8mm로서 누운 털이 있다. 가을철 잎이 떨어질 무렵에 가지끝에서 1~2개의 ..

꽃댕강나무

인동과(Caprifoliaceae) - 꽃댕강나무(Abelia grandiflora Rehder) 2023년 6월 25일에 대전공역시 서구 정부대전청사 서문쪽 울타리에서 담았다. 요즌 길가에 관상수로 많이 심으며 향기가 진한 꽃을 피운다. 반상록관목으로서 중국 댕강나무의 한 잡종이며 높이 2m에 달하고 잔가지에 털이 다소 있다. 잎은 난형이며 길이 1.5~3.5cm이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택이 나고 털은 주맥의 밑부분에 약간 돋는다. 꽃은 여름에 피며 분홍빛이 도는 흰색이고 꽃부리는 길이 2cm 내외의 종모양이다. 꽃받침잎은 2~5개로서 일부 붙었으며 자주색이다. 반짝이는 잎과 긴 개화기로 인하여 관상수로 가꾸고 있다.(인용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2판. 향문사).

능소화

능소화과(Bignoniaceae) - 능소화(Campsis grandiflora (Thunb.) K. Schum.) 2023년 6월 17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중국 원산으로 낙엽덩굴식물로서 중부 이남에서 심고 있으며 길이 10m에 달하고 가지에 흡근(吸根)이 생겨서 벽에 붙어 올라간다. 잎은 대생하며 홀수1회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7~9개이며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이고 길이 3~6cm오서 양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톱니와 더불러 털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8cm로서 황홍색이지만 겉은 적황색이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에 5~15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cm이고 꽃받침잎은 피침형 첨두로서 털이 없으며 꽃부리는 깔때기 비슷한 종모양이고 ..

일본조팝나무

장미과(Rosaceae) - 일본조팝나무(Spiraea japonica L. f.) 2023년 6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명동에서 담았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1m에 달하고 가지에 능각이 없으며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또는 난형이며 길이 1~8cm, 너비 0.8~4cm로서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거나 또는 결각상의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원저 또는 예저이며 뒷면은 색깔이 연하거나 백색이고 양면 또는 뒷면에 털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길이 1~5mm로서 털이 있거나 없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3~6mm로서 연한 분홍색이고 가지 끝의 산방화서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소화경과 더불어 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점차 뒤로 젖혀지며 꽃잎..

칼잎조팝나무 - 일본조팝나무 '크리스파'

장미과(Rosaceae) - 칼잎조팝나무(일본조팝나무 '크리스파')(Spiraea japonica ‘Crispa’) 2023년 5월 3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명동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의 일본조팝나무(Spiraea japonica L. f.)의 원예종 "Crispa"로 원예가에서는 칼잎조팝나무 또는 갈퀴홍조팝나무 등의 상품명으로 팔고 있다. 꽃은 일본조팝나무와 비슷하나 잎 가장자리에 심하게 깊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60~90cm 정도이며, 가지에 능각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형 잎에 예리한 톱니가 있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3~6mm로서 연한 분홍색이고 가지 끝의 산방화서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은 소화경과 더불러 털이 있거나 없으며 꽃받침잎은 난형이다. 수술은 꽃잎보다 훨..

삼색버들(삼색버드나무)

버드나무과(Salicaceae) - 삼색버들(Salix integra Thunberg.)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그동안 이름을 몰라 궁금했었는데 명패를 보니 삼색버들이라고 소개되어 있었다.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원산인 버드나무의 변종으로 육종된 품종이다. 낙엽활엽관목이며 1.5~4m까지 자라며, 새잎이 나올 때 잎이 초록색, 흰색, 분혹색 무늬가 나타나서 조경수로 심는다. 잎은 길이 2~10cm, 너비 1~2cm이지만 새잎이 나오도록 계속 전지를 해주므로 작은 잎들이 꽃처럼 보인다.

다양한 장미꽃 -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만난 장미꽃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장미축제가 열리고 있는 곡성기차마을의 장미공원에는 1,004 품종이 75,000㎡의 부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우수한 장미 품종들을 수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04종의 장미를 식재하여 조성되었다고 한다. 장미 종류가 너무 많아서 다 담을 수는 없었고 37종의 장미 품종을 명패와 함께 담았다.

수국 - 다양한 수국꽃 구경하기

범의귀과(Saxifragaceae) -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 et Z.) Wils) 2023년 5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의 수국들이 전시되고 있다. 최근 재배하고 있는 품종들은 다양한 색깔의 꽃과 다양한 모양의 꽃잎을 자랑하고 있다. 육종가들의 노고에 찬사를 보낸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식하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1m에 달하고 겨울동안 윗부분이 고사한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두꺼우며 짙은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7~15cn, 너비5~10cm로서 예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

호주매화(호주매, 렙토스페르뮴)

도금양과(Myrtaceae) - 호주매화 ‘단심’(Leptospermum scoparium J.R.Forst. & G.Forst.) 2023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 호주매화이다.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 원산이며 통상 마누카(manuka)라고 부르지만 우리 원예가에서는 호주매화, 호주매 등으로 부른다. 관목 상록수로 높이 2~5m까지 자라며, 작은 잎이 많이 달린다. 잎은 길이 7~20mm이고 너비 2~6mm이다. 꽃은 흰색 또는 핑크색이며 지름 8~15mm 정도이고 열편은 5개이다. 원예종으로 육종된 것은 홑꽃뿐만 아니라 겹꽃도 있고 흰색 꽃, 홍자색 꽃 등 다양..

황매화

장미과(Rosaceae) - 황매화(Kerria japonica (L.) DC.) 2023년 4월 9일에 전남 구례군 마산면에 있는 화엄사에서 담았다. 대체로 우리 주변에는 원예종으로 겹꽃이 피는 죽단화(K. for plena Schneid)를 흔하게 볼 수 있으나, 꽃잎이 5개인 황매화를 보기가 더 어렵다. 한밭문회원의 4월 문화탐방지로 지리산 화엄사에 갔다가, 화엄사의 적멸보궁으로 올가는 계단 옆에서 담았다. 중부 이남의 습한 꼿에서 잘 자라지만 그늘에는 약하며, 흔히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2m 에 달하고 총생하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고 길이3~7cm, 너비 2~3.5cm로서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엽맥이..

꽃사과나무

장미과(Rosaceae) - 꽃사과나무(Malus prunifolia (Willd.) Borkh.) 2023년 4월 7일부터 10일 사이에 충남대학교 교정과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꽃은 사과나무와 같으나 열매는 체리 정도로 작고 많은 원예종이 있는 꽃사과나무이다. 꽃사과나무는 중국이 원산으로 다양한 모양과 색깔의 꽃이 피는 원예품종이 육종되어 수많은 품종이 있다. 키가 5~8m 정도인 교목으로, 꽃은 4월에서 5월에 핀다. 우리 주변에서는 사과나무에 가까운 원예종(Malus prunifolia)과 꽃잎의 아랫부분이 아주 가느다란 아그배나무에 가까운 원예종(Mauls floribunda)이 유통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어명으로는 크랩 애플(Crab Apple)이라고 불린다. 게(Crab)와 연관이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