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치과(Borraginaceae) -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Linnaeus)
2014년 10월 8일 충남 태안군 원북면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담았다. 모래 언덕에서는 보지 못했고 해안사구 입구에 있는 신두리사구센터 앞에 심어져 있는 것을 담았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해안사지(海邊沙地)에 자생한다.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25-35cm 이고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복모(伏毛)가 빽빽이 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주걱 모양이고 엽병이 없으며 길이 4-5cm, 너비 7-30mm로서 질이 두껍고 양면에 복모가 있다.
6-8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聚繖花序)에 달리고 소화경은 짧다. 꽃받침잎은 길이 4mm 정도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고 겉에 퍼진 털이 있으며 열편은 피침형이고 길이 3-5mm이다. 화관은 통부의 길이가 6-7mm이며 겉에 복모가 있고 현부는 지름 8mm이며 5개로 갈라져서 퍼지고 후부가 황색이다. 5개의 수술은 밖으로 나오지 않고 자방은 4실이며 갈라지지 않는다.
8월에 열매가 성숙되며 핵과는 4개의 둔한 능선(稜線)이 있고 길이 8mm, 지름 5-7mm이며 끝이 오목하고 짧은 암술대가 남아 있다(김태정(1996). 한국의 자원식물.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꽃들의 모습 > [초본]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피루스 (0) | 2017.04.21 |
---|---|
자주광대나물 (0) | 2017.04.15 |
좀보리사초 -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만난 좀보리사초 (0) | 2014.10.09 |
갯방풍(2) -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만나 갯방풍 (0) | 2014.10.09 |
갯쇠보리 - 신두리 해안사구에서 만난 갯쇠보리 (0) | 201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