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즐거운 여행 /문화유산탐방

남양주시 정약용 유적지에 다녀오다.

아진돌 2024. 5. 18. 19:52

2024년 5월 12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의 5월 문화탐방 활동으로 세 번째 탐방지로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 747번길 11(능내리 95-3)에 있는 정약용 유적지에 다녀왔다. 이곳 정약용 유적지는 조선 최고의 실학자이신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태어나고 돌아가신 곳이다. 선생의 생가터인 여유당이 있고 정약용 선생의 묘가 복원된 생가터 바로 뒤 언덕에 모셔져 있으며, 문도공 정약용 선생의 시호를 딴 사당인 문도사(文度祀)와 다산기념관과 다산문화관 등이 있다.

 

유적지 입구의 삼문에는 실학연수(實學淵藪)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남양주시에서는 바로 이곳이 조선시대 실학의 모든 것이 모여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 조성한 곳인 듯하다. 다산 선생에 관한 유적지로는 18년간의 유배생활을 했던 전남 강진이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는 것에 비해, 이곳은 다산 선생의 탄생지이며 묘소가 있는 곳이고 정씨 후손들이 살고 있는 곳인데도 별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 못내 아쉬웠던 것 같다.

 

생가터에는 여유당 터라는 표지석이 있고 ㅁ자형 건물이 복원되어 있었다. 집 뒤로는 다산 선생의 묘가 자리 잡고 있다. 묘에 가보면 왕족의 묘도 아닌데 묘 뒤로 곡장이 설치되어 있고 묘 앞의 명당 부분을 넓게 복토하여 높여 놓고 있었다. 비석의 글씨도 우측에 부인의 이름이 좌측에 선생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서 통상적인 비석과는 다르다.

 

남양주시에서 복원하면서 그랬는지 문중에서 그랬는지 너무 일탈한 감이 있었다. 나중에 문화관광해설사님이 전하는 말에 의하면, 예전에 이 동네에서 오랫동안 살았던 노인의 말로는 예전에는 이 묘에서 미끄럼을 타며 놀았다고 하니, 원형을 너무 많이 훼손한 것이 확실하여 아쉬웠다. 묘의 입수(入首) 부분이나 주변을 싸고 있는 청룡과 백호가 조금씩 짧은 아쉬움은 있지만, 나름대로 잘 갖춰져 있었다.

 

기념관에는 경기도 수원 화성 축조 모형과 거중기 등이 전시되어 있었고, 정약용 선생의 가계도, 학문계통, 저작물 등이 잘 전시되어 있었다. 특히 정약용 선생의 과거시험 답안지 등을 볼 수 있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의 시대정신과 저서들을 통해 피력하신 사상들이 꽃을 피우지 못한 상황이 결국 조선이 멸망의 길로 접어드는 길이 된 듯하여 너무 아쉬웠다. 선생의 평등사상과 애민정신 등은 지금도 우리에게도 필요한 덕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봤다.

 

정약용 선생은 나주 정씨이고 호는 다산(茶山), 삼미(三眉), 여유당(與猶堂) 등 여럿이지만 주로 다산과 여유당으로 불린다. 선생은 이곳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현재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에서 태어나고 돌아가셨다. 다산 선생은 선생을 아끼셨던 정조대왕이 돌아가신 후 1801년(순조 1년) 3월에 영조의 계비인 정순왕후와 노론에 의해 주도되었던 대규모 천주교 박해인 신유박해(辛酉迫害)에 연루되어 형과 함께 경상도 장기현(현재 포항시 남구 장기면)으로 유배되었다가, 11월에 강진으로 유배지가 변경되었다.

 

다산 선생은 외가가 있던 강진에서 18년간의 유배생활을 하면서 많은 저서를 남기셨다. 1818년 8월에 18년 동안의 귀양살이를 끝내고 고향으로 돌아왔으며 저술 활동에 힘쓰며 여생을 보내다 1836년 2월 22일에 74세의 나이로 돌아가셨다. 다산 선생의 문도공 시호는 대한제국이 멸망하기 9일 전인 1910년 8월 20일에 내려졌다고 한다.

 

참고로 정순왕후는 15세의 어린 나이로 51세 연상인 66세의 영조와 결혼한 후 손자인 정조가 돌아가신 후 세도정치를 하면서 노론과 손잡고 신유박해를 일으킨 분이다. 생가는 충청남도 서산시 음암면 유계리에 있다. 서산에 가는 길이면 한 번쯤 들려볼 만한 곳이다.

 

▲ 정약용 유적지 삼문 - 실학연수(實學淵藪) 현판
▲ 강진에 있는 천일각 재현
▲ 다산 선생 집터 - 여유당터
▲ 복원한 여유당 사랑채 앞에 앉아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듣는 한밭문화원 가족
▲여유당 안채
▲여유당 사랑채
▲ 다산 선생 묘에서 내려다본 여유당
▲ 묘 뒤쪽의 입수(入首) 부위
▲ 사당 문도사
▲ 경기도 수원 화성 건설장면 모형
▲ 강진에서 유배가 풀려 돌아오신 후의 행적
▲ 대표적 저서 1표2서 - 정세유표, 목민심서, 흠흠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