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1028

삼나무 ‘요시노’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삼나무 ‘요시노’(Cryptomeria japonica ‘Yoshino’)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예전에는 낙우송과(Taxodiaceae)로 분류되었으나 지금은 측백나무과 낙우송속으로 분류된다. 일본원산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L. fil.) D.Don)의 개량종이다. 삼나무는 상록교목으로 높이 40m 안팎이고 지름은 1-2m에 달한다. 잎은 침형으로 3-4개의 모가 나고 끝이 날카로우며 길이 6-20mm 이다. 3-4월에 꽃치 피고 황갈색이며 1가화이다. 일명 일본 시더(Japanese cedar)라고도 부른다. 일본, 중국 원산으로 침엽수이고 절 주위에 심는다. 9-12미터 안팎으로 자라며, 6-..

튜립 신시아(Tulipa Cynthia)

백합과(Liliaceae) - 튜립 신시아(Tulipa clusiana Redouté 'Cynthia')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일명 레디 튜립(Lady Tulip)이라고도 부른다. 이라크, 이란,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지역 원산으로 구근으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높이 30cm 안팎으로 자라며 20cm 정도 퍼진다. 꽃은 4월에 피며 꽃이 연한 노랑색이며 하나의 꽃대가 올라와 한 개의 꽃이 핀다. 꽃잎은 2-5개로 갈라지며 좁은 피침형이다. 꽃받침잎은 빨간색이며 해가 있을 때 피고 저녁에는 꽃봉오리가 오므려진다(참고 사이트 : www.missouribotanicalgarden.org).

카스피 주엽나무

콩과(Fabaceae) - 주엽나무(Gleitsia caspica Desfontaines)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이란이 원산이며 낙엽교목으로 높이 12미터 안팎이다. 일부 식물학자들은 아시아 원산인 주엽나무(Gle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의 파생종으로 보기도 한다. 주엽나무에 대해서는 바로 아래에 게시한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천리포 수목원에서 설치한 안내문에 따르면, 낙타가 이 나무잎을 좋아하는데 낙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가시를 내며, 가시는 나무 전체가 아니라 낙타의 키가 자라는 위치까지만 돋아나 있다고 적혀있다. 한국 등 아시아 원산의 주엽나무도 어쩌면 말이나 소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가..

주엽나무

콩과(Fabaceae) - 주엽나무(Gleitsia japonica Miquel var. koraiensis Nakai) 2020년 5월 1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연구단지내 탄동천변에서 담았다. 지난 2017년 1월에 대전광역시 탄동천을 답사하는 중에 대덕연구단지 내의 천변에서 처음 이 나무를 만났다. 그때는 나무 줄기에 가시가 많이 돋아있는 모양이 신기하였으나, 정확한 품명을 모르고 있었는데, 2020년 4월 26일에 천리포수목원에서 카스피 주엽나무(Gleitsia caspica)를 보고나서야 이 나무가 주엽나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지에 자생하는 낙엽교목이며 높이 20m 안팎이고 꿁은 가지가 나와서 퍼지며 새가지는 녹색이고 군데군데에서 자갈색의 얇은 막이 벗겨지고 소지같은..

세열단풍 ‘디섹텀 니그럼’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세열단풍 ‘디섹텀 니그럼’(Acer palmatum var. dissectum 'Dissectum Nigrum')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공작단풍이라고도 불린다.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erg)의 변이종이다. 예전에는 단풍나무과(Aceraceae)로 분류되었으나 지금은 단풍나무과와 칠엽수과가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로 통합되었다. 식물도감을 참조할 때 유의할 필요가 있다. 세열단풍 'Dissectum Nigrum'은 낙엽교목으로 높이 1.5-2.5m 안팎이고 옆으로도 1.5-2.5m 정도 퍼진다. 잎이 진한 구리색을 띤다. 잎은 대생하고 가늘게 갈라진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자주색이며 산방호..

삼지닥나무 '그랜디플로라(Grandiflora)'

팥꽃나무과(Thymeleaceae) -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 'Grandiflora')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삼지닥나무 그랜디플로라는 꽃이 일본, 중국 등 아시아 지역 원산인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 Siebold et Zuccarini)보다 크다. 삼지닥나무에 대해서는 바로 전에 포스팅한 삼지닥나무를 참조하기 바란다.

삼지닥나무

팥꽃나무과(Thymeleaceae) - 삼지닥나무(Edgeworthia chrysantha Siebold et Zuccarini)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일본,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 관상수로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낙엽관목이며 높이 1-2m이고 가지가 3개로 갈라져서 삼지닥나무라고 한다. 예전에는 학명이 Edgeworthia papyrifera Siebold et Zuccarini 이었으나 지금은 Edgeworthia chrysantha Siebold et Zuccarini로 사용된다. 어떤 학자들은 닥나무의 특성을 살려 E. papyrifera 학명이 맞다고 하고, 어떤 학자들은 노란색 꽃의 별명으로 E. chrysantha ..

홍가시나무 ‘레드 로빈’

장미과(Roaceae) - 홍가시나무(Photinia x fraseri 'Red Robin')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나무가 이렇게 붉은 색을 띨 수 있다는 것이 놀랍다. 이른 봄에 물푸레나무의 어린 잎이 자색을 띠기는 하나 이렇게 붉지는 않다. 중국, 일본 원산이며 상록소교목으로 높이 5m 안팎이고 가지는 흑회색이다. 홍가시나무 ‘레드 로빈(Red Robin)는 뉴질랜드(New Zealand)에서 육종되었으며 새로운 잎의 빨간색이 더 진하다. Photinia x fraseri 계열의 품종이며 레드 팁(Red Tip) 또는 레디 톱(Red Top)으로 불리기도 한다. Photinia x fraseri 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서도 관상수로 재배하는 홍가시나무인 Ph..

참죽나무 ‘플라밍고’(Toona sinensis 'Flamingo')

멀구슬나무과(Meliaceae) - 참죽나무 ‘플라밍고’(Toona sinensis 'Flamingo')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중국 원산이며 우리나라 평양 이남에서 심고 있는 귀화식물인 참죽나무(Toona sinensis)의 원예종이다. 낙엽교목으로 높이 2-10미터까지 자라며, 옆으로는 1-3미터 정도 퍼진다. 기후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봄철의 어린 잎은 자색을 띠며 한두 달 동안 빨간색에 가까운 자색을 유지한다. 중국 참죽나무, 향춘(香椿), 참가중나무라고도 불린다. 어린 잎을 식용하며 어린 잎이 양파 냄새와 비슷한 향을 갖고 있어서 중국에서는 향춘(香椿)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이 참죽나무 재목은 단단하고 붉은 색을 띠어 시더 재목(cedarwood)이라고 ..

붓순나무(2)

붓순나무과(Illiciaceae) - 붓순나무(Illicium anisatum Lourreiro)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에도 큰 나무가 있으나 온실 속이라 그런지 꽃이 그리 많이 피지 않았는데, 천리포 수목원에 있는 붓순나무는 꽃을 많이 피우고 있었다. 꽃이 붓을 연상시킨다. 천리포 수목원과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설치한 명패에는 학명이Illicium anisatum L.로 표기되어 있고 이창복 교수와 김태정 교수의 식물도감에는 Illicium religiosum Siebold et Zuccarini로 표기되어 있다. 일본 학자들은 중국과 한국에서 일본으로 들어와 일본에서 많이 자라고 있는 붓순나무(Illicium re..

만병초 ‘스미스 그룹’('Smithii Group')

진달래과(Ericaceae) - 만병초 ‘스미스 그룹’(Rhododendron 'Smithii Group')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1830-1840년대 스미스에 의해 육종된 후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교잡하여 동일한 이름의 다양한 품종들이 존재한다. 모계는 R. ponticum이고 부계는 R. arboreum인 하이브리드 교잡종이다(R. ponticum x R. arboreum)(참고문헌: Royal Horticultural Society(2004), The International Rhododendron Resgister and Checklist, Vol. 2). 상록관목이며 이 품종은 비교적 키가 크게 자라며 높이가 1.2미터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호생하지..

만병초 ‘그레이스 시브룩’('Grace Seabrook')

진달래과(Ericaceae) - 만병초 ‘그레이스 시브룩’(Rhododendron 'Grace Seabrook')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1965년 시브룩(Seabrook)에 의해 육종되었으며, 모계는 R. ‘The Honourable Jean Marie de Montague’이고 부계는 R. strigillosum인 하이브리드 교잡종(The Honourable Jean Marie de Montague x strigillosum)이다(출처 : The American Rhododendron Society, https://www.rhododendron.org) 상록관목으로 높이는 1.2미터 안팎으로 자라며 잎은 호생하고 잎이 두껍고 진한 녹색을 띤다. 꽃은 깔대기 모..

만병초 ‘알라딘’('Aladdin')

진달래과(Ericaceae) - 만병초 ‘알라딘’(Rhododendron 'Aladdin')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만병초(萬病草, Rhododendron)는 북반구에 주로 많이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높이는 2미터 안팎이고 추위에 강하다. 만병초 알라딘(R. 'Alladin')은 모계는 R. griersonianum이고 부계는 R. auriculatum인 하이브리드 교잡종(R. griersonianum x R. auriculatum)으로 크로스필드(Crosfield)에 의해 육종되었다.(참고문헌: Royal Horticultural Society(2004), The International Rhododendron Resgister and Checklist, Vol...

브루네라(시베리아 지치)

지치과(Boraginaceae) - 브루네라(Brunnera macrophylla 'Hadspen Cream’)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시베리아 지치(Siberian bugloss)라고도 불리며 30∼45cm 안팎으로 자라고 옆으로는 45∼60cm까지 퍼진다. 지표 식물로 많이 키운다. 브루네라 ‘Hadspen Cream'은 4월에서 5월까지 연한 남색의 꽃이 피며, 잎은 불규칙한 크림 색을 띤다. 뿌리를 잘라 옮겨 심는 방법으로 번식시킨다. 브루네라(Brunnera)라는 품명은 스위스의 식물학자 브루너(Samuel Brunner, 1790-1844)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이름이다(참고 사이트 : www.missouribotanicalgarden.org).

줄리언 매자나무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 줄리언 매자나무(Berberis julianae Schneid)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언뜻 보기에 당매자나무라고 생각하고 정확한 품명을 알아보지 않고 집에 와서 동정(同定)해 보니 당매자나무와는 잎 모양 등이 달랐다. 정확한 품명을 알고자 천리포수목원 홈페이지를 통해 문의한 결과, “문의하신 매자나무의 학명은 Berberis julianae Schneid 입니다.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나와 있는 국명은 줄리언 매자나무라고 나와 있습니다.”라고 친절한 답변을 달아 주셨다. 중국 원산으로 키가 3미터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 낙엽관목으로 우리나라 자생종인 매자나무(B. koreana Palbin)나 중국 우너산의 당매자나..

큰별 목련 ‘도나’(Magnolia x loebneri ‘Donna’)

목련과(Magnoliaceae) - 큰별 목련 ‘도나’(Magnolia x loebneri ‘Donna’)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큰별 목련으로 불리는 Magnolia x loebneri 는 중국 원산의 목련(M. kobus A.P. De Candolle)과 별 목련(M. stellata)의 하비브리드 교잡종이며, 염색체 구조는 2배체 구조이다. 큰별 목련에 대한 설명은 발로 아래에 게시된 큰별 목련 ‘맥신 메릴’에 대한 설명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큰별 목련 ‘라드베리 펀’(Magnolia x loebneri ‘Raspberry Fun’)

목련과(Magnoliaceae) - 큰별 목련 ‘라드베리 펀’(Magnolia x loebneri ‘Raspberry Fun’) 2020년 4월 26일에 충남 태안군 천리포 수목원에서 담았다. 큰별 목련으로 불리는 Magnolia x loebneri 는 중국 원산의 목련(M. kobus A.P. De Candolle)과 별 목련(M. stellata)의 하비브리드 교잡종이며, 염색체 구조는 2배체 구조이다. 큰별 목련에 대한 설명은 발로 아래에 게시된 큰별 목련 ‘맥신 메릴’에 대한 설명 글을 참조하기 바란다. 큰별 목련 ‘라즈베리 펀’(Magnolia X loebneri ‘Raspberry Fun’)은 높이 8미터까지 자라며, 가지들이 옆으로도 6미터까지 퍼지는 낙엽교목이다. 꽃은 이른 봄에 잎이 나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