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가시나무 참나무과(Fagaceae) - 종가시나무(Quercus glauca Thunberg) 2019년 11월 11일 경남 진주시 남해고속도로 진주휴게소에서 담았다. 참가시나무(Q. salicina Bl.)와 구분하기 어려우나 열매가 새가지 중앙부에 달려 있어서 종가시나무로 동정했으나 확실하지 않다. 중국, 대만, 일본,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1.12
구골나무(1) 물푸레나무과(Oleaceae) - 구골나무(Osmanthus heterophylla P.S. Green) 2019년 11월 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에서 담았다. 아파트에 있는 은목서가 꽃을 피기 시작하여 생물탐구관에 있는 금목서 꽃을 찍으러 갔다가 구골나무 꽃만 담았다. 금목서는 꽃이 이미 졌는지 벌써 전지 작업을 완료한 상태였다. 구골나무는 남쪽 해안지대에서 심고 있는 상록관목으로서 가지가 무성하고 연한 회갈색이며 어릴 때 돌기같은 누운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난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며 두껍고 길이 3-5cm, 너비 2-3cm로서 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채가 있고 뒷면은 연한 녹색 또는 황록색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지만 어린 것과 맹아의 것은 날카로운..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1.08
풀명자(장수매) 장미과(Rosaceae) - 풀명자(장수매)(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2019년 11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에서 전시된 한밭분재사랑 전시회에서 담았다. 분재가들 사이에서는 꽃이 오랫동안 핀다고 하여 장수매라고 불린다.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낙엽소..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1.08
노아시(애기감나무) 감나무과(Ebenaceae) - 노아시(애기감나무)(Diospyros rhombifolia Hemsl.) 2019년 11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에서 전시된 한밭분재사랑 전시회에서 담았다. 중국 원산으로 중국의 호북성, 강소성, 절강성 등지에 분포한다. 노아시(老鴉柿)라고도 불리며, 영..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1.08
소사나무 자작나무과(Betulaceae) - 소사나무(Carpinus turczaninowii Hance) 2019년 11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에 있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에서 전시된 한밭 분재사랑 전시회에서 담았다. 북에서부터 경기도 해안과 남쪽 섬까지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잔가지와 잎자루에 털이 밀생한다. 턱.. 꽃들의 모습/[목본]야생꽃나무 2019.11.06
덴마크 무궁화(Hibiscus, 히비스쿠스) 아욱과(Malvaceae) - 덴마크 무궁화(Danish Hibiscus) 2019년 10월 19일에 대전광역시 서구문화원의 제23차 서람이 역사문화탐사에 참여하여 첫 번째 방문지로 답사한 경상남도 산청군 단성면 묵곡리 175번지에 있는 성철스님 생가지에서 담았다. 안채 앞에 예쁘지만 약간은 생뚱맞게 수입 원예종인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0.26
양하(蘘荷) 생강과(Zingiberaceae) - 양하(Zingiber mioga (Thunb.) Roscoe.) 2019년 10월 1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 노은도서관 근처에서 담았다. 처음에는 생강과 비슷한 잎사귀를 가진 풀 옆에 버섯이 자라는 줄 알고 다가가 보니 땅에서 꽃이 피어 있었다. 나로서는 처음 접하는 초본이었다. 일본 생강이라고.. 꽃들의 모습/[원예종 초본]꽃들 2019.10.16
유칼립투스(하트잎 말리) 도금양과(Myrtaceae) - 유칼립투스(Eucalyptus websteriana Maiden) 2019년 10월 10일 점심 식사후에 은구비공원 쪽으로 산책하러 가는 길에 가게 앞에서 반가운 나무를 만났다. 지난 다도·예절 아카데미 교육에서 찻자리 꽃장식을 배누면서 알게 된 유칼립투스(Eucalyptus)를 만났다. 향기가 나는 허브 종..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0.16
깨꽃(샐비어) 꿀풀과(Lamiaceae) - 깨꽃(Salvia splendens Ker) 2019년 10월 1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서 담았다. 일본식 발음인 사루비아라고도 부르며, 영어식 발음인 샐비어로 부르기도 한다. 브라질 원산의 다년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초로서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있으며 높이 60-90cm이고 곧추.. 꽃들의 모습/[원예종 초본]꽃들 2019.10.03
달리아(다알리아)(2) 국화과(Asteraceae) - 달리아(Dahlia pinnata Cav.) 2019년 9월 2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서 담았다. 다알리아라고도 불리며 멕시코 원산의 다년초로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고구마 같은 굵은 덩이뿌리로 번식하고 원줄기는 높이 1.5-2m로서 털이 없으며 원주형이다. 잎은 대생.. 꽃들의 모습/[원예종 초본]꽃들 2019.10.03
대추나무(2) 갈매나무과(Rhamnaceae) - 대추나무(Zizyphus jujuba Miller var. inermis Rehder) 2019년 9월 25일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서 담았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심는 대추나무는 묏대추(Zizyphus jujuba Miller)를 열매의 과육이 많은 대추나무로 육종한 변종이다. 낙엽관목으로 가지 끝과 잎 뒷면에 털이 약간 있고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10.03
황금실화백(1)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황금실화백(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Aurea') 2019년 9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 상록교목인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의 변종으로 잎이 황금색을 띤다.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9.15
화백 ‘블루바드’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화백 ‘블루바드’(Chamaecyparis pisifera 'Boulevard') 2019년 9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 상록교목인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의 변종이다.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9.15
화백 ‘마니아 바리에가타’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화백 ‘마니아 바리에가타’(Chamaecyparis pisifera 'Minima Variegata') 2019년 9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 상록교목인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의 변종이다.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9.15
서양측백 ‘유럽 골드’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서양측백 ‘유럽 골드’(Thuja occidentalis 'Europe Gold') 2019년 9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상록교목인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 Linnaeus)의 변종이다. 서양측백은 높이 20m, 지름 30-100cm이고 가지가 짧으며 수평으로 발달하여 좁..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9.15
뚝향나무 ‘바 하버’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뚝향나무 ‘바 하버’(Juniperus horizontalis - ‘Bar Harbor') 2019년 9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상록관목으로 알래스카, 카나다, 미국 동부 뉴욕에서 오대호 지방이 원산이며, 높이 15-45cm까지 자라고 옆으로 1.2-3m까지 넓게 퍼진다. 향나무(Juniperus c..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9.15
으름덩굴 열매 으름덩굴과(Lardizabalaceae) - 으름덩굴(Akebia quinata (Thunberg) Delaisne) 2019년 9월 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국립중앙과학관 생물생태관에서 커다랗게 익어가고 있는 으름덩굴 열매를 담았다. 으름덩굴에 대한 네 번째 포스팅이다. 으름덩굴의 열매가 탐스럽게 익어가고 있었다. 으름덩굴 꽃.. 꽃들의 모습/[목본]야생꽃나무 2019.09.08
상사화의 변신 2019년 4월 7일부터 2019년 7월 27일까지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 아파트 화단에서 상사화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담았다. 상사화라 불리는 것은 꽃이 필 때는 잎이 없고 잎이 있을 때는 꽃이 피지 않으므로 꽃은 잎을 생각하고 잎은 꽃을 사랑한다는 데서 온 뜻이다. 전북 고창의 선운사 등.. 꽃들의 모습/[원예종 초본]꽃들 2019.08.04
편백(扁柏) 측백나무과(Cypressaceae) - 편백(Chamaecyparis obtusa (Sieb. et Zucc.) Endlicher) 2019년 7월 20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구즉국민체육관 옆 공원에서 담았다. 측백나무와의 차별성을 보고자 담았다. 측백나무 잎은 수직방향으로 잎이 퍼지고 편백 잎은 수평방향으로 퍼진다. 편백은 일본 원산으로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8.02
측백나무(側栢) 측백나무과(Cypressaceae) -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innaeus) 2019년 7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 울타리에서 담았다. 편백나무와의 차별성을 보고자 담았다. 측백나무 잎은 수직방향으로 잎이 퍼지고 편백 잎은 수평방향으로 퍼진다. 측백나무는 중국 및 우..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