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90

각시붓꽃

붓꽃과(Iridaceae) - 각시붓꽃(각씨붓꽃)(Iris Rossii Baker) 2021년 5월 1일 대전시 경계걷기 3구간 산행 중에 정기봉 근처에서 담았다. 유성구 우산봉, 도덕봉 등에서 흔히 보이는 넓은잎각시붓꽃은 꽃이 필때 약간 넓은 잎이 크게 자란 상태에서 꽃이 피는 것과 달리 이 각시붓꽃 잎의 길이와 화경의 길이다 같다.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 15cm 안팎이고 근경은 약간 총생하며 갌객 섬유로 덮ㅇ여 있다. 꽃이 필때의 잎은 화경과 길이가 거의 같지만 꽃이 진 다음 자라며 길이 30cm, 너비 205mm로서 중늑이 뚜렷하지 않고 뒷면은 분녹색이며 가장자리에 잔 돌기가 있다. 4-5월에 꽃피 피고 꽃은 자주색이며 지름 3.5-4cm로서 4-5개의 포가 있으나 가장 위의 포에서 1개의 꽃이 핀..

철쭉

진달래과(Ericaceae) - 철쭉(Rhododendron schlippenbachii Maxim.) 2021년 5월 1일 대전시 경계걷기 3구간 산행 중에 정기봉 근처에서 담았다. 붉은색의 산철쭉(R. yedodense var. poukhanens (Lev.) Nakai)는 이미 다 진 상태인데도 연분홍의 철쭉은 아직도 여기저기 피어 있다. 낙엽관목으로 높이 2-5m 이고 어린 가지에 선모가 있으나 없어지며 회갈색으로 된다. 잎은 호생 하지만 가지 끝에서는 4-5개씩 총생하고 도란형이며 끝은 둥글거나 다소 파지고 밑은 좁으며 뒷면은 연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잎과 덥ㄹ어 5월에 피고 향기가 있으며 3-7개씩 가지 끝에 달리고 꽃받침잎은 난형이며 길이 5mm로서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

[1차 대전시 경계걷기] 3구간(닭재-태조대왕태실-만인산휴게소)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경계걷기 제1차 산행 3구간(닭재-태조대왕태실-만인산휴게소) o 산행일자 : 2021년 5월 1일(토) o 교 통 편 : 출발-대전역(대한통운 앞) 정류장에서 501번 시내버스/삼괴동 덕산마을 정류장 하차 귀가-만인산휴게소 정류장에서 501번 시내버스 o 산행시간 : 약 6시간(점심시간 20분 포함) - 덕산마을 정류장(09:34) -> 닭재(09:56) -> 국사봉(10:29) -> 머들령(11:32) -> 삼림욕장 삼거리(11:54) -> 542M 삼각점(12:22) -> 왼쪽가지만 있는 소나무 쉼터(12:42)(점심식사 후 출발(13:00) -> 청소년수련관 삼거리(13:57) -> 정기봉(14:28) -> 태조대왕태실(15:09) -> 만인산휴게소 버스 ..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2구간 찬샘마을길(이현동 두메마을-직동 냉천골)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2구간 찬샘마을길(이현동 두메마을-직동 냉천골) o 산행일자 : 2021년 4월 24일(토) o 교 통 편 : 출발-신탄진역 정류장(농협앞 정류장)에서 71번 시내버스/이현동 마을정보센터 정류장 하차 귀가-직동 냉천골 종점에서 71번 시내버스(15:40 출발)/판암역 하차(2구간 종점인 냉천골에 13:20분경에 도착하여 노고산성/쇠점고개를 넘어 직동 찬샘마을로 가서 61번 시내버스(14:30 출발)를 이용하여 판암역 하차) o 산행시간 : 냉천골 종점까지 4시간(점심시간 25분 포함)/찬샘마을까지 4시간 50분 - 이현동 마을정보센터 정류장(09:27) -> 2구간 시점(이현동 억새밭)(09:42) -> 찬샘마을(10:00) -> 부수동 느티나..

콩제비꽃

제비꽃과(Violacese) - 콩제비꽃(Viola verecunda A. Gary) 2021년 4월 24일 대전광역시 동구 직동에서 담았다. 대청호 오백리길 2구간 산행을 마치고 직동 냉천골에서 쇠점고개를 넘어 직동 버스 종점으로 넘어오는 임도에서 담았다. 언뜻 보면 꽃 모양이나 잎 모양이 제비꽃 같으나 꽃이 조그맣고 줄기가 있어서 무슨 꽃인지 궁금했다. 식물도감을 찾아보니 콩제비꽃이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원야지 낮은 지대 습지에서 자생한다. 다년생초본으로 높이 5-20cm이고 원줄기는 비스듬히 또는 옆으로 자라며 털이 없다. 근생엽은 신장상 난형이고 심장저이며 길이 1.5-2.5cm, 너비 2-3.5cm 이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이 잎보다 2-4배 길다. 경생엽은 호생하고 엽병이 짧으..

대전 성치산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대덕구 부수동 성치산(대전 동구 직동 찬샘마을 원점 산행) o 산행일자 : 2021년 4월 17일(토) o 교 통 편 : 출발-신탄진역(농협앞)에서 71번 시내버스/이현동마을정보센터 정류장 하차 귀가-직동 찬샘마을 정류장에서 60번 시내버스 / 판암역 o 산행시간 : 약 4시간 30분(점심시간 30분 포함) - 이현동마을정보센터 정류장(09:27) -> 직동 찬샘마을(09:58) -> 성치산 입구(10:10) -> 산불 감시 CCTV탑(10:26) -> 202M 삼각점(10:49) -> 성치산성(11:00) -> 부수동 갈림길(11:28) -> 전망좋은곳(11:35) -> 부수동 갈림길로 돌아옴(11:54) -> 부소동 느티나무(12:25) -> 경치좋은곳/ 점..

대전 부수동 느티나무

2021년 4월 17일에 대전광역시 대덕구 부수동 임도에서 만난 느티나무 고목이다. 대전광역시 대덕구 부수동은 대청호가 조성되면서 대부분 지역이 수몰되어 성치산 밑으로 일부 지역만 남아있다. 이제는 사람이 살지 않는 동네가 되었다. 동구 직동 찬샘마을에서 호숫가를 따라 이어지는 임도에서 만난 고목이다. 수령이 320년된 느티나무이다. 줄기 한쪽은 시멘트로 메워져 있다. 느티나무 아래에는 흰젖제비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어서 좋다. 느티나무 밑에는 느티나무를 설명하는 안내 팻말이 있고, 안내 팻말에는 수몰되어 없어진 부수동(芙水洞)의 유래를 설명하는 설화가 기술되어 있다. 대청호 오백리길 홈페이지(http://www.dc500.org)의 2구간 안내문에 따르면, 연꽃이 물에 떠있는 모양의 명당자리가 있는 곳..

찬샘마을(동구 직동)

2021년 4월 17일 대청호 오백리길 2구간 산행애 나섰다가 성치산만 돌아보고 오면서 대전광역시 동구 직동 찬샘마을을 담았다. 대청호 오백리길 2구간의 중심에 있는 마을이다. 판암역에서 직동행 60번 대전 시내버스를 타면 이곳이 종점이다. 오후 3시 경에는 신탄진역에서 출발하여 도착하는 71번 시내버스도 이곳까지 들어 왔다가 신탄진 용호동 방면으로 1번 운행된다. 찬샘마을은 홈페이지(http://www.chansaem.com)도 개설되어 있는 정보화 마을이다. 홈페이지에 따르면 마을 공간과 자원을 활용한 주제 중심 통합접근법으로 농사, 생태, 공예, 식문화 등 다양한 체험을 구성하여 학년별 교과학습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잇는 체험마을이다. 봄, 여름, 가을, 겨울별로 패키지 체험활동을 제공..

오색빛호박마을(대덕구 이현동)

2021년 4월 17일 대청호 오백리길 1구간과 2구간 경계에 있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이현동 두메마을을 담았다. 대청호 오백리길 답사에서는 멋진 동네들을 만나는 것도 묘미 중의 하나이다. 1구간의 경우에는 삼정동 생태마을과 함께 오색빛 호박마을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현동 마을정보센터가 있는 이 마을이 있다. 오색빛 호박마을은 마을 사람들이 이색적인 호박을 키우면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대청호 오백리길 1구간과 2구간 경계지점에는 2013년 상반기에 완공된 거대 억새습지가 있다. 이현동 유래비에 따르면, 이현동은 대덕구 북동쪽에 위치하여 뒷산 모양이 둥굴 넓적한 배(梨)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배산이라 하였다고 한다. 배산 동쪽 아래 갈밭에서 심곡으로 넘어오는 고개를 배고개라 했는데 이 고개 이름을 따서 이..

변만리(2011), 『만리천명(萬里天命)』을 읽다

변만리 저, 변만리역리연구회 편(2011), 『萬里天命』, 서울 : 도서출판 자문각, 1쇄인쇄 2011.6.30. 3쇄발행 2016. 1. 15. 2021년 4월 12일에 변만리 선생의 『萬里天命』을 읽었다. 노은도서관에 갔다가 변만리 선생의 『한국사주 입문』을 읽게 되었다. 지난 2021년 3월 3일에 책을 반납하러 노은도서관에 갔다가 변만리 선생의 다른 이론서인 『萬里天命』을 빌려서 읽게 되었다. 중국의 사주명리학을 부정하고 새롭게 이론을 정리했다고 주장하는 문구를 보고 한번은 읽어볼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에서 빌리게 되었다. 한달여에 걸쳐 틈틈이 읽고 나서 내 블로그에 독후감을 올릴까말까를 고민하다가 올리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하여 여기에 몇자 적는다. 고전격국론을 공부하는 우리와는 다른 명리이론을 피..

[1차 대전시 경계걷기] 2구간(마달령-닭재)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경계걷기 제1차 산행 제2구간(마달령-닭재-덕산마을) o 산행일자 : 2021년 4월 10일(토) o 교 통 편 : 출발-대전역(대한통운 앞) 정류장에서 607번 시내버스/자모리 정류장 하차 귀가-삼괴동 덕산마을 정류장에서 501번 시내버스 o 산행시간 : 약 8시간 30분(점심시간 30분 포함) - 마달령(09:21) -> 대전시 경계석(09:30) -> 첫 번째 철탑(09:34) -> 361미터 삼각점(10:06) -> 세천고개(10:55) -> 구절사 방면 삼거리(11:20) -> 알바(우측길로 잘 못 들어갔다가 되돌아옴, 30분 알바) -> 구절사 방면 갈림길로 돌아옴(11:55) -> 깔딱고개 200M 이정표(12:20) -> 구절사/ 독수리봉 갈림길(..

복숭아꽃이 활짝 피었다.

2021년 4월 9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에서 담았다. 복숭아 농사를 짓고 있는 지인의 페이스북에 복숭아꽃을 물총으로 솎아준다는 사진을 보고 담아보았다. 너무 많은 꽃이 피는 복숭아꽃의 특성상 사람 손으로 솎아주어야 하는데 일손이 없이 물을 분무하여 반 정도의 꽃을 솎아준다고 한다. 특히 올해처럼 코로나19로 인력을 구하기 힘든 농촌에서는 복숭아꽃을 솎아주는 일이 보통 일이 아니다. 화사하게 촘촘이 피는 복숭아꽃이 보기에는 아름답지만 복숭아 농사를 짓는 분들에게는 야속한 특징이기도 하다.

산벚나무

장미과(Rosaceae) - 산벚나무(Prunus sargentii Rehder)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만인산으로 가는 산행길에서 담았다. 도시의 벚꽃들은 모두 진 상태이지만 산벚나무는 꽃이 만발하여 산행길을 즐겁게 해 주었다. 우리나라 각 지방의 산지 해발 1,600미터 이하의 산지에서 자생한다. 낙엽교목이며 높이 10m 안팎이고 수피는 흑갈색이며 소지가 굵고 털이 없으며 새싹에 약간 점착성이 있는 것이 벚나무와 다른다. 잎은 호생하며 타원형, 난상 타원형 또는 도란상 타원형이고 길이 8-12cm, 너비 4-7cm이다. 엽병은 털이 없으며 붉은색이고 길이 1.5-3cm로서 윗부분에 1쌍의 적색 밀선이 있다. 4-5월에 꽃이 피고 꽃은 연한 홍색 간혹 백색이며 지름 2.5-4..

매화말발도리(댕강목)

범의귀과(Saxifragaceae) - 매화말발도리(Deutzia coreana Leveille et Vaniot)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 지방의 해발 100-1300m 지역의 산지 바위틈에서 자생한다. 낙엽관목이며 높이 2m 안팎이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길이 4-6cm로서 불규칙한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4-6개로 갈라진 성모가 있다. 4-5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전년지(前年枝)의 측면에서 1-3개씩 피고 간혹 꽃 밑에 잎이 달리는 경우도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2-5mm로 성모가 빽빽이 난다. 꽃받침잎은 털이 거의 없으며 꽃잎은 길이 15-20mm리고 10개의 수술은 수술대 양쪽에 날개가 있으며 ..

청미래덩굴

백합과(Liliaceae) -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innaeus)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담았다. 일본, 대만, 중국 및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자생한다. 낙엽관목이며 덩굴성식물로서 길이 3m 안팎이고 뿌리가 굵고 꾸불꾸불 옆으로 뻗는다. 원줄기에는 마디에서 이리저리 굽으며 갈고리같은 가시가 나 있다. 잎은 호생하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3-12cm, 너비 2-10cm로서 두껍고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뽀\ㅛ족해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기부에서 5-7맥이 나오며 다시 그물맥이 된다 엽병은 길이 7-20mm이고 탁엽은 ㅇ\덩굴손으로 된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록색이며 자웅2가화호서 산방화서는 엽액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15-30mm, 소화경은 길..

알록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알록제비꽃(Viola variegata Fischer)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전국 각지 산지의 양지 비탈에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고 뿌리에서 잎이 나온다. 잎은 난형, 넓은 타원형 또는 심원형(心圓形)이며 둔두 또는 원두이고 심장저이다. 길이와 너비가 각각 2.5-5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표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엽맥을 따라 흰무늬가 있으며 뒷면은 자주색이고 가장자리에 준한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2-5cm이지만 긴 것은 15cm 이상인 것도 있다. 5월에 몇 개의 꽃자루가 잎 사이에서 나와 끝에 자주색 꽃이 1개씩 달리며 높이 1-10cm이고 포는 선형이며 길이 4-10mm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3-..

흰털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흰털제비꽃(Viola hirtipes S. Moore)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다. 잎은 난형 또는 삼각형 난형이고 끝이 둔하며 밑부분은 심장저이고 길이 3-6cm, 너비 2-4cm로서 표면과 뒷면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둔한 물결형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5-15cm로서 윗부분에 날개가 약간 있고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꽃자루는 길이 7-12cm이고 중앙부에 2개의 포가 있고 백색의 퍼진 털이 있다. 꽃은 4월에 피며 홍자색이다. 꽃받침잎은 피침형이고 길이 7-8mm이며 부속체는 반원형으로서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꽃잎은 길이 15-20mm로서 끝이 파..

고깔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ey) 2021년 4월 10일 대전광역시 동구 식장산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지의 나무 그늘이나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생초본으로서 높이 15cm에 달하고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4-7cm, 너비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5cm이다. 꽃자루는 높이 10-15cm이거 4-5월에 1개의 홍자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잎은 장타원형이고 둔두이며 길이 7-8mm이고 부속체는 둔한 사각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

흰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흰제비꽃(Viola patrini DC.) 2021년 4월 9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서 담았다. 흰색 꽃을 피우는 흰젖제비꽃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 흰제비꽃이다. 이름은 흰제비꽃이지만 꽃은 흰빛 또는 자줏빛이 돌기도 한다. 인터넷에서 회자되고 있는 구분법들을 종합해 보면, 흰제비꽃은 꽃의 중앙열편과 측열편에 모두 보라색 줄무늬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뿌리가 흑갈색이다. 흰젖제비꽃은 꽃의 가운데 중앙열편에만 줄무늬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없이 둥글게 보이며 뿌리가 흰색이라고 한다. 햇볕이 잘 쬐는 습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생초본으로 높이 10-15cm이고 뿌리가 흑갈색이며 근경은 짧고 원줄기가 없으며 털이 없거나 엽맥과 잎자루 밑부분에 짧게 퍼진 털이 있다. 잎..

흰젖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흰젖제비꽃(Viola lactiflora Nakai) 2021년 4월 9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동에서 담았다. 흰색 꽃을 피우는 흰제비꽃과 구별하기가 쉽지 않은 흰젖제비꽃이다. 인터넷에서 회자되고 있는 구분법들을 종합해 보면, 흰제비꽃은 꽃의 중앙열편과 측열편에 모두 보라색 줄무늬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으며 뿌리가 갈색이지만, 흰젖제비꽃은 꽃의 중앙열편에만 줄무늬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없이 둥글게 보이며 뿌리가 흰색이라고 한다. 보라색이 도는 왜제비꽃과 흰제비꽃의 중간형이지만 왜제비꽃에 비해 꽃이 백색이고 꽃잎의 측열편 안쪽에 털이 있으며, 거가 짧고 흰제비꽃에 비해 잎이 넓으며 잎자루에 날개가 없다. 원줄기는 없고 뿌리는 백색이며 잎은 긴 삼각형 또는 장타원형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