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2024/05 43

굴피나무

가래나무과(Juglandaceae) - 굴피나무(Platycarya strobilaceae S. et Z.) 2024년 5월 26일(일) 대전광역시 서구 갈마동 갈마공원에서 담았다. 경기도 이남의 산지, 특히 수성암 겉에서 많이 자라고 높이 12m, 지름 53cm이지만 보통 높이 3m, 지름 10cm이다, 잔가지는 털이 있으나 점점 없어지며 황갈색 또는 갈색으로서 뚜렷한 피목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홀수 우상복엽이고 길이 15~30cm로서 7~19개의 대가 없는 소엽으로 되며 엽축과 잎자루에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소엽은 타원상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4~10cm로서 약간 낫과 비슷하게 구부러지며 가장자리에 깊은 톱니가 있고 양면에 흰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웅화수는 길이 5~8cm이..

만첩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만첩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for. plena Schneid)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빈도리와 같은 특성이며 꽃이 만첩꽃이 피는 것만 다르다. 아래 설명은 빈도리(D. crenata S. et Z.)와 같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지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

빈도리

범의귀과(Saxifragaceae) - 빈도리(Deutzia crenata S. et Z.)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일본산의 낙엽관목으로서 잔가지는 적갈색이고 성모가 있으며 늙은 가진는 수피가 벗겨진다. 잎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양면에 성모가 있으며, 길이 3~6cm, 너비 1.5~3cm로서 표면은 회록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잎자루는 길이 2~5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총상화서에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모양이고 성모와 더불어 단모가 있으며 꽃받침과 꽃잎은 각각 5개로 갈라지고 수술은 10개이며 꽃잎은 길이 15mm 정도로서 성모가 있고 백색이다. 수술대는 양쪽에 돌기 같은 날개가 있으며 암술대는 3~4개이고 ..

갈풀

벼과(Poaceae) - 갈풀(Phalaris arundinacea Linnaeus) 2024년 5월 25일(토)에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을 걸으며 두계천에서 담았다. 양지 쪽 물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벋으며 높이 70~180cm 정도로 자란다. 잎은 길이 20~30cm, 너비 8~15mm로서 털이 없고 잎혀는 절두이며 길이 2~3mm이다. 꽃은 6월에 피고 원추화서는 곧추서며 길이 7~18cm, 지름 1~3cm로서 자줏빛이 도는 연한 녹색이고 가지가 비스듬히 또는 곧추 1~2개씩 달린다. 잔가지는 짧으며 소수는 밀착하고 소수는 난형이며 길이 4~5mm로서  편평하고 끝이 뾰족하다. 포영은 길이가 거의 같으며 막질로서 3맥이 있고 호영은 난형이며 길이 3~3.5mm로서 2개의 퇴화된 꽃이..

[1차 대전시 경계걷기] 8구간(우명교-우명동-송정동-극서점)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경계걷기 제1차 산행 8구간(우명교-우명동-방동-송정동-극서점)   o 산행일자 : 2024년 5월 25일(토)   o 교 통 편 : 출발-대전 서남부터미널 시내버스 기점 정류장에서 21번 수락계곡행 시내버스(07:00 출발)/오동 버스정류장에서 하차          귀가-송정동 극서점 옆 한배미뜰 버스정류장에서 46번 시내버스(13:50)(송정동 출발)   o 산행시간 : 약 6시간(점심시간 30분 포함)      - 오동 버스정류장(07:30) -> 우명교(07:43) -> 어곡교(07:55) -> 조동리 입구(08:13) -> 왕버들 보호수/봉황정(08:20) -> 삼거리에서 우측길(08:33) -> 짐발골 버스정류장(08:48) -> 계룡효센터(09:..

청사초

사초과(Cyperaceae) - 청사초(Carex breviculmis R. Br.) 2024년 5월 23일 출근길에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서 담았다. 사초를 꽃이나 열매가 없을 때 동정하기가 쉽지 않은데 마침 이 청사초는 꽃이 피어 있어서 동정이 쉬웠다. 높이 5~40cm 이고 총생하며 포복지가 없고 꽃줄기는 윗부분이 깔깔하며 둔한 삼각형이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1~5mm이며 밑부분의 잎집은 짙은 갈색으로서 섬유처럼 갈라진다. 소수는 2~6개이고 곧추서며 웅화수는 끝에 달리고 곤봉형이며 자화수는 옆으로 달리고 길이 5~30mm, 지름 3~4mm로서 대가 있는 것이 있다. 포는 밑부분의 것은 짧은 잎 같으며 잎집이 짧고 자화영은 까락을 제외한 길이가 2~3mm이며 연한 백색이고 뒷면에 1~3맥이 있으..

갯그령

벼과(Poaceae) - 갯그령(Elymus mollis Trin.) 2024년 5월 19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 44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양양군 낙산해변에서 담았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높이 50~100cm이고 윗부분은 꽃차례와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은 분록색이며 길이 20~40cm, 너비 7~12mm로서 털이 없고 표면은 맥이 튀어 올라 거칠지만 뒷면은 밋밋하다. 꽃은 7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10~25cm로서 거의 흰빛이 돌고 흰털이 있으며 소수는 3개씩 달리고 1~2.5cm로서 3~5개의 꽃으로 된다. 포영은 넓은 피침형으로서 3~7맥이 있고 소화보다 길거나 같으며 뒷면에 털이 있다. 호영은 길이 2cm로서 7맥이 ..

설악해맞이공원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9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 44코스를 걸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동해대로 3664(대포동 178-9)에 있는 설악해맞이공원에 다녀왔다. 설악해맞이공원은 설악산 입구와 설악항에 설치된 소공원으로 2000년 10월 20일 근린공원으로 지정되었다고 한다. 양양군에서 속초시로 진입하는 쌍천교를 건너면 여러 작가의 조각품들이 설치되어 있는 설악해맞이공원에 도착한다. 사랑의 길과 연인의 길을 따라 설치된 조각품들을 감상하면서 진행하면 화합의 광장에 도착한다. 설악산 쪽 사거리에는 설악산 입구임을 알리는 아치가 있고, 관광안내소 옆에는 해파랑길 44코스 종점과 45코스 시작점을 알리는 안내판과 함께 45코스 스탬프를 찍을 수 있는 스탬프함이 설치되어 있다..

양양 낙산사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9일(일)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 44코스를 걸으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100(강현면 전진리 57-1)에 있는 낙산사를 둘러보았다. 낙산사(洛山寺)는 강현면 오봉산(五峰山)에 있으며,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의상 대사(義相, 625~702)께서 창건한 사찰로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新興寺)의 말사이다. 양양 낙산사는 2005년 산불피해 이후 3차례에 걸친 발굴조사 결과로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건물지와 기와편들이 다량 출토되어, 신라 문무왕 11년(671년)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이후 헌안왕 2년(858년)에 범일국사, 조선 초기 세조 연간에 중창되는 등 수 차례의 중창 불사를 거친 역사적 사찰임이 확인되었다...

해파랑길 44코스(오산리선사박물관-설악해맞이공원)과 45코스 일부(설악해맞이공원-이옹치해변)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9구간(양양 속초 구간) 44코스(수산항-오산리 선사박물관-낙산해변-설악해맞이공원)와 45코스 일부(설악해맞이공원-이옹치해변/속초해변 남문) o 일 자: 2024년 5월 19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44코스: 수산항↔5.4km↔낙산해변↔1.3km↔낙산사 입구↔1.8km↔설악해변↔4.2km↔설악해맞이공원 - 45코스: 설악해맞이공원↔3.3km↔속초해변 o 코스 요약 - 44코스: (지난 43코스와 연결하여 걸은 구간: 수산항 -> 오산리 선사박물관 주차장/쏠비치 리조트 입구)(1.7km/26분 소요) -> 오산리 선사박물관(11:09) -> 강원도 교육청 국제교육원(11:28) -> 낙산대교(11:37) -> 낙산1교(11:45) -> 낙..

[1차 대전시 경계걷기] 7구간(장태산 휴양림-떡갈봉-우명교)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경계걷기 제1차 산행 7구간(장태산 휴양림 입구-떡갈봉-극남점-장군봉-우명교) o 산행일자 : 2024년 5월 15일(수) o 교 통 편 : 출발-대전 서남부터미널 시내버스 기점 정류장에서 22번 시내버스(07:40 출발)/장태산 휴양림 버스정류장에서 하차 귀가-오동 버스정류장에서 21번 시내버스(16:05)(대둔산 수락계곡 출발) o 산행시간 : 약 7간(점심시간 30분 포함) - 장태산 자연휴양림 버스정류장(08:23) -> 떡갈봉(09:10) -> 절개지 구간(09:39) -> 마근대미재(09:48) -> 전망대(10:07) -> 극남점(10:41) -> 장군봉 갈림길(12:49) -> 문바위(13:34) -> 장군봉(13:53) -> 기성동 갈림길(14:..

은사초(블루 페스큐)

벼과(Poaceae) - 은사초(Festuca glauca Villar) 2024년 5월 13일 대전광역시 서구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사초과나 벼과 식물은 대체로 꽃이 필 때와 꽃이 진 후에 잎이 무성할 때의 모습이 많이 달라 동정하기가 쉽지 않다. 이 은사초는 잎이 회색으로 특이하여 금방 알 수 있으나 다양한 원예종들이 유통되고 있어서 역시 품종을 식별하기는 쉽지 않다. 프랑스, 이태리, 스페인 등 유럽 원산으로 상록 다년초이다. 잎이 회색이라 은사초라 부르며, 원예가에서는 종명을 그대로 음역하여 페스투카 글라우카라 부르기도 한다. 영어명은 블루 페스큐(Blue Fescue)이다. 우리나라에는 유사 품종으로 키가 작고 잎이 가는 김의털(F. ovina Linnaeus)이 있다. 회색의 피침형 잎이 높..

애기사초(상록사초).

사초과(Cyperaceae) - 애기사초(Carex conica Boott) 2024년 5월 13일 대전광역시 서구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이미 식물도감에도 애기사초로 명명되어 있는데도 원예가와 인터넷 등에서 상록사초로도 불리고 있다. 남쪽 섬의 건조한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옆으로 길게 또는 짧게 벋는 근경에서 총생하고 높이 20~50cm로서 둔한 3각형이며 밋밋하거나 윗부분만 거칠다.  잎은 너비 2~4mm이고 밑부분의 잎집은 검은 적자색에서 흑갈색으로 되며 흔히 섬유처럼 갈라진다. 소수는 35개사 서로 떨어져 곧추서고 응소수는 고봉형으로서 끝에 달리며 짙은 갈색이고 자소수는 짧은 원주형이며 길이 1~!2.5cm, 너비 2.5~3.5mm로서 윗부분의 것은 잎집 속에 들어 있고 밑부분의 것은 대가 ..

꼬랑사초(감동사초)

사초과(Cyperaceae) - 꼬랑사초(Carex mira Kükenth) 2024년 5월 13일 대전광역시 서구 보라매공원에서 담았다. 야생에서 자라는 사초도 이제는 원예종으로 재배하여 화단에 심고 있다. 이미 식물도감에도 꼬랑사초로 명명되어 있는데도 원예가와 인터넷 등에서 감동사초로도 불리고 있다. 아마 일본 식물도감을 번역한 것이 아닐까라고 추측해본다. 우리말로 된 종명이 엄연히 존재하는데도 불구하고 다른 이름을 짓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보인다. 꼬랑사초는 지리산 기슭의 숲속과 원산 근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총생하고 높이 20~40cm이다. 잎은 새로 나온 것은 서며 너비 2mm 정도로서 꽃이 진 다음 자라고 마른 것은 엉켜서 남는다. 밑부분의 잎집은 황갈색이며 밑부분은 짙은 적색이고 그물처럼..

대전시 탄방 미세먼지 프리존

2024년 5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에 있는 탄방 미세먼지 프리존을 담았다. 대전광역시청 남문 광장에서 탄방동으로 건너가는 지하도를 재정비하여 미세먼지 프리존으로 새롭게 탄생시켜 놓았다. 내부에 녹색 식물로 심고 출입문도 달았다. 그동안 이용자도 적고 우중충하던 공간이 멋지 공간으로 탈바꿈되어 있어서 여기에 소개한다.

남양주시 실학박물관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2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의 5월 문화탐방 활동으로 네 번째 탐방지로 경기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6(조안면 능내리 27-1)에 있는 실학박물관을 둘러보았다. 실학박물관은 재단법인인 (재)경기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박물관으로 2009년 10월에 개관한 박물관이다. 마침 1층에서는 “개관 15주년 기념 특별기획전 《그림으로 다시 쓰는 자산어보》”이 열리고 있었다. 다양한 물고기들이 전시되고 있었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이 같이 운영되고 있었다. 2층 상설 전시관에는 실학의 형성부터, 실학의 전개, 실학과 과학 주제로 전시가 되어 있었다. 실천적 학문이었던 실학이라는 주제로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박물관이 있다는 것이 놀라웠다. 한국사 교과서에서만 만나던 학자들과 그..

남양주시 정약용 유적지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2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의 5월 문화탐방 활동으로 세 번째 탐방지로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 747번길 11(능내리 95-3)에 있는 정약용 유적지에 다녀왔다. 이곳 정약용 유적지는 조선 최고의 실학자이신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태어나고 돌아가신 곳이다. 선생의 생가터인 여유당이 있고 정약용 선생의 묘가 복원된 생가터 바로 뒤 언덕에 모셔져 있으며, 문도공 정약용 선생의 시호를 딴 사당인 문도사(文度祀)와 다산기념관과 다산문화관 등이 있다. 유적지 입구의 삼문에는 실학연수(實學淵藪)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남양주시에서는 바로 이곳이 조선시대 실학의 모든 것이 모여 있는 곳이라는 의미로 조성한 곳인 듯하다. 다산 선생에 관한 유적지로는 18년간의 유배생활을 했던 ..

광릉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2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의 5월 문화탐방 활동으로 두 번째 탐방지로 경기도 남양주시 광릉수목원로 354(진접읍 부평리 산 99-2)에 있는 광릉에 다녀왔다. 광릉은 조선 세조(1417-1468, 재위 1455-1468)와 정희왕후 윤씨(1418∼1483)의 왕릉이다. 봉선사 탐방을 마치고 광릉 입구에서 문화관광해설사의 설명을 들은 후 정자각까지 들어가 둘러보았다.  광릉은 1468년 세조가 세상을 떠나자 이곳에 조성되었고, 15년 후 정희왕후가 세상을 떠났을 때 동쪽 언덕에 능을 만들고 동광릉으로 정하려 하였으나, 광릉과 같은 영역에 있다고 하여 정희왕후의 능도 광릉으로 합치고 제사를 지내는 정자각(丁字閣)을 두 능 사이에 옮겨 지었다고 한다. 이로써 광릉은 조선시대 최초로 동원이강..

운악산 봉선사에 다녀오다.

2024년 5월 12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의 5월 문화탐방 활동으로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진접읍 부평리 255) 운악산 기슭에 있는 봉선사(奉先寺)에 다녀왔다. 어젯밤까지도 비가 내렸으나, 아침에 일어나니 화창한 날씨라 문화탐방을 가볍게 출발할 수 있었다. 2대의 관광버스로 출발한 문화탐방 일행은 생각보다 일찍 남양주시의 봉선사에 도착하였다. 일주문 앞에서 포교사분들과 불교문화해설사 분들을 만나 설명을 들으면서 경내를 둘러 볼 수 있었다. 봉선사는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 본사로 은행나무로 유명한 양평의 용문사와 사나사 등을 말사로 두고 있다. 봉선사는 국립수목원으로 이름이 바뀐 광릉수목원 옆에 있다. 세조대왕의 능인 광릉을 지키기 위한 절이기도 하다. 참배객들에게는 아주 편하고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