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초본]야생화 404

서양민들레

국화과(Asteraceae) - 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 2024년 4월 16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천변에서 담았다. 노란 꽃이 피는 대부분의 민들레가 서양민들레이다. 서양민들레는 꽃받침잎이 뒤로 제껴져 아래로 향하고 있으나, 토종 민들레(T. mongolicum)는 꽃받침잎이 그대로 총포를 싸고 있다. 유럽 원산의 다년초로서 잔디밭이나 풀밭에서 흔히 자라고 뿌리가 깊이 들어가며 잎이 지면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타원형이고 밑부분이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가 밑으로 향해 깃처럼 갈라지거나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 3~9월에 피며 모두 열매를 맺고 지름 2~5cm로서 황색이며 잎이 없는 꽃자루 끝에 한 개씩 위를 향해 달린다. 총포편은 선형이고 녹색 또는 ..

민들레

국화과(Asteraceae) - 민들레(Taraxacum mongolicum H. Mazz.) 2024년 4월 14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4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점심식사를 한 두부 전문점 장수두부촌 입구에서 담았다. 요즘은 우리나라 전역에서 보는 노란 민들레는 대부분 서양민들레(T. offcinale)이고, 우리나라의 토종의 민들레로 노란꽃이 피는 민들레(T. mongolicum)를 보기가 쉽지않다. 서양민들레와 우리나라 토종 민들레의 가장 확실한 구분법은 꽃받침잎을 보는 것이다. 서양민들레는 꽃받침잎이 뒤로 제껴져 아래로 처져있으나, 토종 민들레는 꽃받침잎이 그대로 총포를 싸고 있다. 민들레는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고 잎이 총생하여 옆으로 퍼진다. 잎은 도침..

괭이눈

범의귀과(Saxifragaceae) - 괭이눈(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2024년 4월 14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4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주 토함산 석굴암 가는 길 옆에서 담았다. 산중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뿌리에서 돋은 잎이 없고 꽃줄기는 높이 5~20cm로서 털이 없으며 벋는 가지는 꽃이 진 다음 자라면서 몇 쌍의 잎이 달리지만 모여서 나지 않고 마디에서 뿌리가 내린다. 잎은 대생하며 잎자루가 짧고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길이 5~20mm, 너비 5~18mm로서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2mm 정도로서 연한 황록색이며 꽃 옆의 잎은 누른 빛이 돈다. 꽃받침잎은 곧추서고 길이 1mm 정도로서 둥글며 ..

고깔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고깔제비꽃(Viola rossii Hemsl.) 2024년 4월 14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4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주 토함산 석굴암 가는 길 옆에서 담았다. 제비꽃은 수많은 변종들이 있다. 그 중에서도 잎이 고깔처럼 말리는 고깔제비꽃은 좀처럼 보기 쉽지않은 제비꽃들 중의 하나이다. 산지의 나무 그늘이나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15cm에 달하고 근경이 굵으며 마디가 많고 뿌리에서 2~5개의 잎이 나오며 꽃이 필 무렵에는 양쪽 밑부분이 안쪽으로 말려서 고깔처럼 되므로 고깔제비꽃이라고 한다. 성숙한 잎은 난상 심장형이고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길이 4~7cm, 너비 4~8cm로서 양면 특히, 뒷면 맥 위에 털이 있고 잎자루는 길이 10~..

벼룩이자리

석죽과(Caryophyllaceae) - 벼룩이자리(Arenaria serpyllifolia Linnaeus) 2024년 4월 10일 충남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서 담았다. 이름이 특이하지만, 엄연히 국어사전에도 올라있는 이름이다. 우리나라에 널리 퍼져있는 1년 내지 2년생 잡초로서 전체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고 원줄기는 밑에서부터 많이 갈라지며 높이 10~25cm로서 밑부분의 옆으로 뻗은 가지가 땅에 닿는다. 잎은 대생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난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3~7mm, 너비 1~5mm로서 양끝이 좁다. 꽃은 4~5월에 피며 백색이고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1cm 정도의 화병이 나와 꽃이 달리며 전체적으로 잎이 달린 취산화서로 된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난형이며 길이 3mm 정도로..

자주광대나물(광대꽃)

꿀풀과(Lamiaceae) - 자주광대나물(Lamium purpureum Linnaeus) 2024년 4월 10일 충남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원색대한식물도감에서는 광대꽃으로 명명되어 있으나, 국가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홈페이지에서는 자주광대나물로 명명되어있다. 자세히 확인은 못했으나, 국가생물자원관의 종명은 주로 일본 종명을 번역한 것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든다. 여기서는 국가생물자원관의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에 소개된 설명을 인용한다. 유라시아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 충청북도 영동, 충청남도 청양, 전라남도 영암, 제주도 등에 귀화하여 자라며, 유럽과 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길가나 농경지에서 자라는 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밑부분이 눕고 위쪽은 곧게 자라며..

자주괴불주머니

현호색과(Fumariaceae) -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Pers.) 2024년 4월 10일 충남 금산군 복수면 신대리에서 담았다. 산기슭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뿌리가 장타원형이고 원줄기는 여러 대가 한군데서 나오며 높이 20~5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뿌리와 원줄기에 잎이 달리며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진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길이 3~8cm로서 전체가 3각상 난원형이고 3개씩 2회 갈라지며 소엽은 3출엽과 비슷하지만 깃처럼 갈라지고 열편은 쐐기형이며 길이 1~2cm로서 결각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4~12c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쐐기현 비슷한 장타원형으로서 결각이 있으며 소화경은 길이 10~15..

솜나물

국화과(Asteraceae) - 솜나물(Leibnitzia anandria (L.) Nakai) 2024년 4월 7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을 따라 해파랑길 40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강릉시 연곡면 홍진목길에서 담았다. 건조한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봄철에 꽃이 피며 꽃줄기는 높이 10~20cm이고 근경이 짧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도피침상 장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5~16cm, 너비 13~45mm로서 밑부분이 잎자루로 흘러 좁아지며 가장자리가 무 잎처럼 갈라지고 각 열편은 서로 떨어져 있다. 정열편은 난형이며 심장저이고 뒷면에 흰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거나 갈라지지 않는다. 꽃은 5~9월에 피고 지름 15mm로서 꽃자루 끝에 1개씩 달리며 총포는 통형이고 포린(苞鱗)은 3줄로 ..

봄맞이

앵초과(Primulaceae) - 봄맞이(Androsace umbellata (Lour.) Merr.) 2024년 4월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천 둔치에서 담았다. 봄맞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이른 봄에 하얀 꽃을 피우는 야생화이다. 들에서 흔히 자라는 1년 내지 2년초로서 모든 잎이 뿌리에서 나와 지면으로 퍼지고 잎자루는 길이 1~2cm이다. 잎새는 반원형 또는 편원형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4~15mm로서 3각상의 둔한 톱니가 있고 전체가 색깔이 연하고 다세포로 된 퍼진 털이 있다. 꽃은 4~5월에 피고 백색이며 꽃줄기는 높이 5~10cm로서 1~25개가 총생하고 끝에 4~10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포엽은 길이 4~7mm로서 난형 또는 피침형이고 소화경은 길이 1~4cm이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

가는잎그늘사초(산거울)

사초과(Cyperaceae) - 가는잎그늘사초(산거울)(Carex humilis Leyss) 2024년 3월 30일에 세종특별자치시 전월산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도감에서는 산거울(Carex humilis Leyss)로 명명되어 있으나, 국립수목원의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가는잎그늘사초(Carex humilis var. nana (H. Lev & Vaniot) Ohwi)로 명명하고 있다. 그늘진 바위 틈이나 건조한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 옆으로 뻗는 줄기가 없다. 4~5월에 꽃이 피며 꽃줄기는 높이 3~6cm로서 잎 틈에 끼어 잘 보이지 않으며 둔한 삼각형이고 밋밋하다. 잎은 편평하지만 때로는 약간 안으로 말리며 너비 0.5~1.5mm로서 흔히 모관상으로 되고 밑부분의 잎집은 짙..

양털이끼

양털이끼과(Brachytheciaceae) - 양털이끼(Brachythecium populeum (Hedw.) Schimp.) 2024년 3월 15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서 담았다. 아파트 화단과 월평동 선사유적지 음지에 넓게 퍼지고 있어서 관심을 갖고 담았으며, 종을 동정하기가 엄청 힘들다. 양털이끼과에 속하는 이끼들의 종류가 이렇게 많은지를 몰랐다. 식물의 형태도 비슷비슷하여 동정하기 어렵다. 여기서는 Naver 렝즈에서 알려준 양털이끼로 동정한다. 이끼를 전문으로 다룬 블로거들의 글을 보면 털양털이끼 같기도 한데 잘 모르겠다.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설명하고 있는 양털이끼에 관한 설명을 인용하면 다음과 같다. 식물체는 중간 크기이며 녹색 또는 짙은 녹색이고 약간 윤기가 난다. 줄기는 기면서 자라며 ..

쥐방울덩굴 열매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 쥐방울덩굴(Aristochia contoria Bunge) 2024년 3월 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거꾸로 매달린 낙하산처럼 생긴 방울들이 시들어버린 덩굴에 매달려 있다. 주머니 속에는 많은 씨가 가득 들어 있는 것도 특이하다. 산야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심장형 또는 넓은 난상 심장형이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길이 4~10cm, 너비 3.5~8cm로서 예두 또는 둔두이고 심장저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1~7c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꽃자루가 1개씩 나오고 소화경은 길이 1~4cm이며 꽃받침은 통 같고 밑부분이 둥글고 커지며 안쪽에 긴 털이 있고..

십자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십자고사리(Polystichum tripteron (Kunze) Presl.)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잎자루 아래 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십자 모양을 형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 곧으며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0~40cm로서 연한녹색이거나 볏짚색이고 밑부분에 갈색이 돌며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고 잎새는 2회우상복엽이다. 첫째 우편이 길게 발달하여 십자형으로 되기 때문에 십자고사리라고 한다. 정우편은 길이 20~45cm, 너비 5~10cm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소우편은 낫같이 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앞쪽 밑부분에 돌기가 ..

관중

면마과(Aspidiaceae) -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고 곧은 근경에서 잎이 윤생한다. 굵은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하는 고비과의 꿩고비(Osmunda cinnamonea var. fokiensis Copel.)와 달리 관중은 잎이 윤생하고 잎자루에 인편이 밀생하여 구분이 된다. 잎은 길이 1m 내외, 너비 25cm에 달하며 잎자루는 잎새보다 훨씬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윤채가 있으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2c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작아진다. 잎새는 도침형으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

괭이밥

괭이밥과(Oxalidaceae) -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innaeus) 2023년 10월 2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에서 담았다. 잎을 따먹으면 시큼한 맛이 있어서 어릴 때 자주 따 먹던 풀이다. 각처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뿌리가 깊이 땅속으로 들어가고 그 위에서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로 향해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길이 10~30cm이다. 잎은 호생하고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져 있으나 광선이 없을 때는 오므라든다. 소엽은 도심장형이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1~2.5c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의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곧추 나와 그 끝에 1~8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

꽃향유

꿀풀과(Lamiaceae) -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2023년 10월 21일 금오산 도립공원 등산을 하면서 경북 구미시 원남동 산 33-1번지 금오산 정상 바로 밑에 있는 약사암에서 담았다. 높은 곳에서 자라서 그런지 키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꽃은 화려하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4각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굽은 백색 털이 줄로 돋아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잎자루로 흐르며 길이 1~7cm, 너비 0.8~4cm로서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특히 맥 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많은 꽃이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꽃차례(花序)는 길이 2~5cm로서 ..

솔새

벼과(Poaceae) - 솔새(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akin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1960년대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들이 민둥산이던 시절에 산림녹화를 위해 방학 숙제로 풀씨를 모아야 할 때 가장 인기 있던 풀이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70~100cm이고 뿌리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한다. 잎은 뿌리에서 돋은 잎과 줄기에 달린 잎의 두 가지가 있으며, 길이 30~50cm, 너비 3~8mm로서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밑부분에 긴 털이 있다. 잎혀는 얇고 길이 1~3mm로서 길게 갈라지고 잎집에 퍼진 털이 있다..

산박하

꿀풀과(Lamiaceae) - 산박하(Isodon inflexus (Thynb.) Kud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40~100cm이고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삼각형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흘러 날개같이 되며 길이 3~6cm, 너비 2~4cm로서 양면 맥 위에 드문드문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고 큰 꽃차례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좁은 삼각형이다..

만수국아재비(청하향초)

국화과(Asteraceae) - 만수국아재비(Tagetes minuta Linnaeus)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르면, “지난날 경북 영일군에서 이것의 이름을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겠느냐기에 청하를 따라 많이 자라고 향기로움을 지니고 있으므로 청하향초라고 하면 좋겠다고 하여 이 이름이 정해졌다. 그 후 꽃이 만수국과 비슷하다고 하여 만수국아재비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현재는 주로 경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외래종이며, 잎과 꽃봉오리는 천수국 또는 만수국으로 불리는 메리골드를 닮았으나, 꽃은 아주 작은 꽃들이 산방상으로 달린다. 향기가 많아 ..

구절초

국화과(Asteraceae)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에서 담았다. 붉은 꽃이 예뻐서 올린다. 구절초는 높이가 50cm 내외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하고 산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화는 지름이 8cm에 달한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고 보통 백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참고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