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초본]야생화 404

개쑥부쟁이

국화과(Asteraceae) - 개쑥부쟁이(Aster ciliosus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갈령재에서 담았다.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50cm이고 세로줄과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6cm, 너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너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가지의 잎은 길이 10..

흰꽃여뀌

마디풀과(Polygonaceae) - 흰꽃여뀌(Persicaria japonica (Meisn.) H. Gross) 2023년 10월 1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60~100cm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다소 두껍고 길이 7~12cm, 너비 1~2cm로서 자장자리 근처의 뒷면 맥 위에 거센 털이 있다. 잎집 같은 턱잎은 맥이 있으며 막질이고 끝이 거의 수평하며 연모는 길이 8~15mm로서 딱딱하다.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몇 개가 나오고 길이 7~12cm로서 처지며 꽃은 2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피는 백색이지만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녹백색이며 수술은 8개이고 포기에 따라 암술..

갈퀴나물

콩과(Fabaceae) - 갈퀴나물(Vicia amoena Fisch.) 2023년 10월 11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역 근처 운중천에서 담았다.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지하경이 벋으면서 번식하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80~18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능선이 있어서 네모가 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고 짝수 우상복엽으로서 10~16개의 소엽과 더불어 극히 짧은 잎자루가 있고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5~30mm, 너비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간 있다. 꽃자루는 길이 2~7cm로서 액생하고 꽃차례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6~9월에 피고 길이 ..

부들

부들과(Typhacea) - 부들(Typha orientalis Presl)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너비 5~15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雄花穗)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 3~10cm이고 자화수(雌花穗)는 바로 밑에 달리며 길이 6~12cm이고 화수에 달린 포는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에는 화피가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 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꽃가루가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소포가 없으며 씨방에 ..

고마리

마디풀과(Polygonaceae) -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2023년 10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들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1년초로서 길이 1m에 달하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가시가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너비 3~7cm이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미을 향한 잔가시가 있으며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링 짧은 털과 더불러 흔히 소엽 같은 것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

개여뀌

마디풀과(Polygonaceae) - 개여뀌(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 2023년 10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꽃으로만 보면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Daum 꽃검색으로 검색해봐도 꽃이 많이 달린 개여뀌를 털여뀌로 동정한다. 잎의 모양을 봐야 구분이 가능한다. 개여뀌는 잎이 피침형이고 털여뀌는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라 구분이 가능하다. 개여뀌는 전국 각처에서 흔히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 20~50cm이고 밑 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뻗는다. 줄기는 곧추 자라므로 때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털이 없으며 적자색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넓..

미국쑥부쟁이

국화과(Asteraceae) -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2023년 10월 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경기도 포천을 중심으로 강원도 춘천 지역까지 널리 분포하는 외래용 귀화식물이다. 요즘은 전국으로 퍼진 듯하다. 다년초로서 높이 30~100cm이고 줄기가 딱딱하고 잔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쪽으로 좁아지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의 잎은 좁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고 길이 3~10cm, 너비 3~8mm이다.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송곳형이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상화가 다수이며 지름 10~17mm이고 총포는 종형이고 총포 조각은 혁질이고 높이 6mm이고 피침형이..

까치고들빼기

국화과(Asteraceae) - 까치고들빼기(Youngia chelidoniifolia Kitamura)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자연성릉으로 가는 길에서 담았다. 꽃이 진 것은 하얀꽃처럼 보이고 설상화가 핀 꽃은 노란꽃이라 마치 두 가지 꽃이 핀 것처럼 보이며 잎이 깃처럼 갈라져서 무척 예쁜 야생화이다. 깊은 산 숲 가장지리에서 자라는 1년 내지 2년초로서 높이 20~5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있고 깃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서로 떨어져 있고 3~6쌍이며 길이 1~2cm 로서 난형이고 결각이 약간 있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는 중축과 더불어 날개가 없고 밑부분이 지저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며 윗부분의 잎이 점차 작아진다. 꽃은 9~10월..

오리방풀

꿀풀과(Lamiaceae) - 오리방풀(Isodon excisus (Maxim) Kudo.)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에서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서 담았다. 꽃만으로는 같은 꿀풀과의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와 구분하기 어려우나, 오방풀은 아래 부분의 잎 끝에 거북꼬리 같은 꼬리가 있어서 구분할 수 있다. 깊은 산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 여러 대가 같이 자란다.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거북꼬리 같고 꼬리를 제외한 길이와 너비는 각각 5~8c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이 거북꼬리처럼 되지 않는다. 꽃은 6~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

단풍취

국화과(Asteraceae) -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Sch.-Bip.)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에서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6cm, 너비 6.5~19cm로서 양면과 잎자루에 털이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5~13cm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4mm로서 붉은빛이 돌며 포는 많고 여러 줄로 배열되..

미역취

국화과(Asteraceae) -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asistica Nakai)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담았다.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5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9cm, 너비 1.5~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고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12~14mm이고 흔히 3~5개의 산방상 수상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털이 있고 포는 길이 ..

애기나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애기나팔꽃(Ipomoea lacunosa Linnaeus) 2023년 9월 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계룡스파텔 황톳길을 걷기 위해 가는 길에서 나팔꽃 같은 작은 꽃을 보고 처음에는 척박한 땅에서 자란 나팔꽃이라 꽃이 작은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귀화식물인 애기나팔꽃이다. 잎은 둥근잎나팔꽃과 비슷하고 꽃은 고구마 꽃과 비슷하다. 학명을 보면, 나팔꽃(Pharbitis nil Choisy)보다는 고구마(Ipomoea batatas Lam)와 가깝다. 김태정 교수의 식물도감이나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도 실리지 않은 귀화식물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인천에서 주로 발견되며, 아시아와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도깨비바늘

국화과(Asteraceae) -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Linnaeus) 2023년 9월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열매가 풀섶을 지날 때마다 도깨비처럼 옷에 잔뜩 달라붙는다. 높이 25~85cm에 달하는 1년초로서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11~19c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첫째 열편은 2~3개이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정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차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3.5~5c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10mm로서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8~8.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포편은 5~7개..

산짚신나물

장미과(Rosaceae) -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akai)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관음봉 고개에서 담았다. 큰 소엽과 중간 크기의 소엽이 5~7개인 짚신나물(A. pilosa Ledeb)와 비슷하나 홀수 우상복엽의 큰 소엽이 3개인 점이 다르다. 낮은 지대의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큰 것은 높이 1m에 달하며 전체적으로 털이 엉성히게 돋아 있고 뿌리가 약간 굵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큰것과 작은 것이 있어 불규칙하며, 큰 것은 타원형 예두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턱잎은 소엽과 크기가 비슷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총상화서가 발달하여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소포가 잘게 갈라진다...

꽃며느리밥풀

현삼과(Scrophulariaceae) - 꽃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Maxim)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관음봉에서 담았다. 며느리밥풀 종류 중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다.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반기생 1년초로서 높이 30~50cm이고 둔한 네모가 지며 능선 위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5~7cm, 너비 1.5~2.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7~10mm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이며 수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녹색이며 중앙부의 잎과 같은 형태로서 작고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꽃부리는..

누린내풀

마편초과(Verbenaceae) - 누린내풀(Caryopteris divaricata (S. et Z.) Maxim)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남매탑 쉼터에서 담았다. 그동안 여러번 지나친 곳이지만 예쁜 꽃이 핀 누린내풀을 처음 봤다. 강한 누린내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라는데 우아한 꽃을 보면 이름이 아쉽다. 높이 1m에 달하고 강한 냄새가 나는 다년초로서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고 잎자루가 있으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며 원저 또는 앝은 심장저이고 길이 8~13cm, 너비 4~8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 도는 자주색이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원추형으로 되며, 각 잎겨드랑이의 꽃차례는 긴 꽃자루가 ..

해란초

현삼과(Scrophulariaceae) - 해란초(Linaria japonica Miquel) 2023년 8월 20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5코스를 걷는 중에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해변에서 담았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5~40cm이고 전체에 분백색이 돌며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원줄기가 중글다. 잎은 대생하거나 3~4개가 윤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흔히 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피침형이며 길이 1,5~3cm, 너비 5~15mm로서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15~18mm로서 연한황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소화경이 으며 거(距)는 길이 5~10mm로서 밑부분이 굵고 끝을 향해 약간 밑으로 굽는..

배풍등

가지과(Solanaceae) - 배풍등(Solanum lyratum Thunberg) 2023년 8월 1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 담에서 담았다. 줄기의 기부만 월동하는 다년초로서 길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덩굴 같으며 줄기와 잎에 선상의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8cm, 너비 2~4cm로서 보통 기부에서 1~2쌍의 열편이 갈라진다. 꽃차례는 잎과 대생하며 가지가 갈라져서 흰꽃이 피고 꽃자루는 수레바퀴 모양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뒤로 젖혀진다. 꽃밥은 길이 3mm 정도로서 구멍으로 터지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서 적색으로 익는다.(인용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2판. 향문사). (23년 9월 30일에 담은 열..

계요등

꼭두서니과(Rubiaceae) - 계요등(Paederia scandens (Lour.) Merr. 2023년 7월 28일 진해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창원중앙역 정원에서 담았다. 해파랑길을 걸으면서도 보았던 꽃인데 오늘 담게 되었다.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까지 올라오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 5~7m이고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수평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5~12cm, 너비 1~7cm로서 표면은 처음에 털이 있고 뒷면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1~8c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고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반하

천남성과(Araceae) - 반하(Pinellia ternata (Thunb.) Breit.) 2023년 7월 21일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 있는 아파트 화단에서 담았다. 2년 전쯤 영산홍을 심은 곳에서 꽃대를 올리고 있는 반야를 만났다. 누군가 주민이 심은 것 같기도 하고 영산홍을 이식할 때 따라 온 것 같기도 하다. 정원 등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땅속에 지름 1cm의 구경이 있고 1~2개의 잎이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로서 밑부분 안쪽에 1개의 실눈이 달리며 위 끝에 달리는 수도 있다. 소엽은 3개이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cm, 너비 2~5cm로서 난상 타원형에서 장타원형을 거쳐 좁은 피침형으로 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털이 없다. 꽃줄기는 높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