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1028

도깨비고비

면마과(Aspidiaceae) - 도깨비고비(Cyrtomium faccatum (L.) Presl.)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도깨비쇠고비라고도 부른다. 남쪽 바닷가와 섬에서 자라지만 동해안에서는 통천, 서해안에서는 백령도까지 올라오는 상록초본으로서 근경이 짧고 굵으며 끝에서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5~40cm로서 밑부분에 인편이 밀포하고 인편은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해지고 길이 1~2cm로서 갈색 또는 흑갈색이며 위로 올라갈수록 좁아져서 선형이 된다. 잎새는 길이 20~60cm, 너비 10~25cm이고 3~11쌍의 우편으로 되며 우편은 끝이 위를 향하면서 낫처럼 굽고 밑부분이 둥글며 일그러지고 가장자리는..

모래지치

지치과(Borraginaceae) -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Linnaeus)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5~35cm이고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누운 털이 밀생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주걱형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길이 4~10cm, 너비 7~30mm로서 질이 두껍고 양면에 누운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백색이고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은 길이 4mm 정도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며 겉에 퍼진 털이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이다. 꽃부리는 통부의 길이 6~7mm로서 겉에 누운 털이 ..

갯까치수영

앵초과(Primulaceae) - 갯까치수영(Lysimchia mauritiana Lam.)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모래지치 속에 묻혀 있어서 지나칠뻔하다 자세히 보니 꽃잎이 달라 담게 되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높이 10~40cm이고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주걱 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검은 내선점(內腺點)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

갯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작년 12월에 해파랑길을 걸으며 이름을 몰라 애를 먹었던 기억이 난다.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고 있던 갯메꽃이 이제는 예쁜 꽃을 흐드러지게 피우고 있었다.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은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갈라져서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잎은 콩팥모양 신원형(腎圓形)이며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너비 3~5cm로서 가장자리에 물결형의 주름살이 생긴 것도 있고 잎자루는 길이 2~5cm로서 호생한다. 꽃은 5~..

삼색버들(삼색버드나무)

버드나무과(Salicaceae) - 삼색버들(Salix integra Thunberg.)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그동안 이름을 몰라 궁금했었는데 명패를 보니 삼색버들이라고 소개되어 있었다.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원산인 버드나무의 변종으로 육종된 품종이다. 낙엽활엽관목이며 1.5~4m까지 자라며, 새잎이 나올 때 잎이 초록색, 흰색, 분혹색 무늬가 나타나서 조경수로 심는다. 잎은 길이 2~10cm, 너비 1~2cm이지만 새잎이 나오도록 계속 전지를 해주므로 작은 잎들이 꽃처럼 보인다.

다양한 장미꽃 -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만난 장미꽃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장미축제가 열리고 있는 곡성기차마을의 장미공원에는 1,004 품종이 75,000㎡의 부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우수한 장미 품종들을 수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04종의 장미를 식재하여 조성되었다고 한다. 장미 종류가 너무 많아서 다 담을 수는 없었고 37종의 장미 품종을 명패와 함께 담았다.

참산부추

백합과(Liliaceae) - 참산부추(Allium sacculiferum Maxim.)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산부추(A. thunbergii G. Don.)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 수목원에서는 참산부추로 표지를 설치해 놓고 있었다.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비늘 줄기는 난산 타원형이고 외피 겉에 섬유가 남지 않으며 2~3개의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잎은 밑부분이 꽃줄기를 둘러싸고 편평하지만 하반부 뒷면에 주맥이 돌출한다. 꽃은 7~9월에 피며 꽃줄기는 높이 60cm로서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꽃차례는 지름 #~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다 . 화피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거 둔두이며 길이 5mm, 너비 3mm로서 적자색이다..

마가목

장미과(Rosaceae) -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제법 큰 나무들이 가로수처럼 심어져 있었고 마침 하얀꽃들이 산방화서로 피어 있었다. 전남, 제주도, 강원도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 6~8m이고 잔가지과 겨울눈에 털이 없으며 겨울눈에 점성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한녹색이다,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겹톱니 또는 홑톱니가 있고 턱잎이 일찍 떨어진다.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꽃은 5~8mm로서 백..

뱀딸기

장미과(Rosaceae) -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Zoll. et Morr.) Miq.) 2023년 5월 17일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예전에 뱀이 나올까봐 무서워하면서도 풀밭에 들어가 빨간 열매를 따먹고 맛이 없어 뱉어냈던 기억이 난다.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줄기는 긴 털이 있고 꽃이 필 때는 작으나 열매가 익을 때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길게 벋는다.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난향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 2~3.5cm, 너비 1~3cm로서 표면은 털이 그리 없으나 뒷면은 엽맥에 따라 긴 털이 있다. 턱잎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7mm 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긴 꽃자루에..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Thunberg.)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미나리아재과의 대표 야생화인 미나리아재비를 군락으로 키우니 멋진 황색 꽃밭이 조성되어 있었다. 습기가 있는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성모가 있으며 높이 50cm에 달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며 5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 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너비 3~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

뱀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뱀고사리(Athyrium yokoscense (Fr. et Sav.) H. Christ.)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햇볕이 잘 쬐는 바위 틈이나 그늘진 곳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짧으며 많은 잎이 끝에서 총생한다. 잎자루는 잎새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인편은 기부에 많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적고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으며 갈색 또는 흑색이고 가장자리가 연한갈색이다. 잎새는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0~40cm, 너비 10~15cm로서 2회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완전히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며 긴 예첨두로서 너비 1~2.5cm이고 밑부분에는 성글게 달리며 우축에 좁은 날개..

석위

고란초과(Polypodiaceae) - 석위(Pyrrosia lingua (Thunb.) Farwell)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지름 3mm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4mm 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6cm로서 딱딱하며 홈이 파지고 성상모가 있으나 밑부분이 근경에서 나와 인편으로 덮인 짧은 가지와 연결되며 인편은 길이 7~8mm이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녹색으로서 털이 ..

다릅나무

콩과(Fabaceae) -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앞에서 솔비나무를 올리고 나니, 솔비나무와 잎과 꽃이 비슷한 다릅나무를 비교할 수 있게 같이 올린다. 막 잎이 올라오고 있는 다릅나무라 솔비나무와 구분이 어렵다. 다릅나무는 육지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5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며 짧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8cm로서 영면에 털이 없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로서 길이 10~20cm이며 위로 향한다. 꽃은 7월에 피며 지름 8mm로서 밀착한다. 꼬투리..

솔비나무

콩과(Fabaceae) - 솔비나무(Maackia fauriei (Lev.) Takeda)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흔히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가 8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9~17개(보통은 13개 이상)이고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6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며 처음에는 솜털이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없어지고 소엽병은 길이 5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4mm 정도로서 화서축과 더불어 갈색의 누운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길이 5mm 정도로서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색의 누운 털이 있다. ..

가장 늦게 잎이 피는 회화나무

콩과(Fabaceae) -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innaeus) 2023년 4월 초순부터 5월 초순까지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경찰서 앞에 있는 회화나무를 관찰하였다. 다른 나무들은 모두 잎이 나오는데도 이 회화나무는 죽은 나무인 듯이 잎이 올라오지 않아 궁금했었다. 이팝나무 꽃이 필 때인 4월 25일경에 새싹이 조금 올라왔었고, 이팝나무꽃이 떨어질 때인 5월 9일경이 되어서야 잎이 무성해졌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이라는 말을 연상하게 한다. 회화나무는 흔히 부락 근처에 심고 있는 낙엽교목으로 높이 15m까지 달하고 가지가 퍼지며 잔가지는 녹색이고 자르면 냄새가 난다. 회화나무 꽃을 특별히 괴화(槐花)라 하고 열매를 괴실(槐實)이라고 한다. 원래 중국 주(周)나라 때의 예절인 주례(周禮)에..

다정큼나무

장미과(Rosaceae) -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천리포수목원에서 본 적 있었는데 그때는 포스팅을 안한 것 같다. 정식 학명은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이고 학명이명으로는 Raphiolepis umbellata (Thunb.) Makino이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는 학명이명으로 명명하고 있다. 남쪽 해안에서 자라는 상록관목으로서 높이 2~4m이고 잔가지는 윤생하며 처음에는 솜털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진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서 총생한 것같이 보이고 장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며 둔두이고 길이 3~10cm..

좀굴거리나무(좀굴거리)

대극과(Euphorbiaceae) - 좀굴거리나무(Daphniphyllum glaucescens Blume.)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붙여놓은 명패에는 학명이 D. teijsmannil로 표기되어 있으나 여기서는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라 명명하였다.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 Miq.)와 유사하나 잎의 길이가 짧다. 굴거리나무 옆에 있어서 같이 비교해 보니 확실히 차이가 났다. 굴거리나무에 비해 잎의 길이가 10cm 이하이고 잎의 뒷면이 회록색이며 엽맥 사이의 거리가 5~8mm인 점이 다르다. 참고로 굴거리나무(D. macropodu Miq.)에 관한 설명을 요약하면, 바닷가로는 안면도, 육지로는 전북 내장산까지 올라오는 상록소..

굴거리나무(굴거리)

대극과(Euphorbiaceae) - 굴거리나무(Daphniphyllum macropodu Miq.) 2023년 5월 12일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담았다. 순천만국제정원에서 붙여놓은 명패에는 굴거리나무과(Daphniphyllaceae)로 분류되어 있으나, 바로 옆에 있는 좀굴거리나무 명패에는 대극과로 표지하고 있고,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도 대극과(Euphorbiaceae)로 분류되어 있어서 대극과로 동정하였다. 명패에 표지된 학명에 오타가 있어서 조금 아쉽다. 예전에 내장산 국립공원에 관상수로 심어져 있는 굴거리나무를 담아서 포스팅한 적이 있다. 바닷가로는 안면도, 육지로는 전북 내장산까지 올라오는 상록소교목으로서 높이가 10m에 달하고 잔가지는 굵으며 녹색이지만 어린 것은 붉은빛이 돌고 털이 없다. 잎..

백선

운항과(Rutaceae) -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 2023년 5월 7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0코스를 걸으며 경북 영덕군 강구면에서 담았다. 산기슭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은 뿌리가 있고 원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 90c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고 2~4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홀수 우상복엽으로서 중축에 좁은 날개가 있으며 소엽은 타원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투명한 유점(油點)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며 지름 2.5cm이고 꽃잎은 5개이며 연한홍색이고 원줄기 끝에 총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0.5~2cm로서 털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수술은 10개이며 암술대와 더불어 처지지만 끝이 위로 향한다. 씨방은 5실이고 삭과는 5개로 ..

벌노랑이

콩과(Fabaceae) - 벌노랑이(Lotus corniculatus var. japonicus Regel) 2023년 5월 7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19코스를 걸으며 경북 영덕군 강구면에서 담았다. 풀속에서 곧추서서 자랄 때와 달리 땅바닥에 방사형으로 누워있는 형상으로 꽃을 피우고 있었다.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옆으로 눕기도 하고 비스듬히 서기도 한다. 잎은 호생하며 보통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되지만 밑부분에 있는 2개의 소엽은 원줄기에 밀접하여 턱잎같이 보이고 윗부분에 있는 3개의 소엽은 끝에서 총생하며 턱잎은 작거나 없다. 소엽은 도란형이고 길이 7~15m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원두이고 끝이 뾰족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