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1028

까치고들빼기

국화과(Asteraceae) - 까치고들빼기(Youngia chelidoniifolia Kitamura)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자연성릉으로 가는 길에서 담았다. 꽃이 진 것은 하얀꽃처럼 보이고 설상화가 핀 꽃은 노란꽃이라 마치 두 가지 꽃이 핀 것처럼 보이며 잎이 깃처럼 갈라져서 무척 예쁜 야생화이다. 깊은 산 숲 가장지리에서 자라는 1년 내지 2년초로서 높이 20~5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있고 깃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서로 떨어져 있고 3~6쌍이며 길이 1~2cm 로서 난형이고 결각이 약간 있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는 중축과 더불어 날개가 없고 밑부분이 지저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며 윗부분의 잎이 점차 작아진다. 꽃은 9~10월..

오리방풀

꿀풀과(Lamiaceae) - 오리방풀(Isodon excisus (Maxim) Kudo.)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에서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서 담았다. 꽃만으로는 같은 꿀풀과의 산박하(Isodon inflexus (Thunb.) Kudo.)와 구분하기 어려우나, 오방풀은 아래 부분의 잎 끝에 거북꼬리 같은 꼬리가 있어서 구분할 수 있다. 깊은 산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밑에서 여러 대가 같이 자란다. 잎은 대생하고 난상 원형이며 끝이 거북꼬리 같고 꼬리를 제외한 길이와 너비는 각각 5~8cm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부분의 잎이 거북꼬리처럼 되지 않는다. 꽃은 6~8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와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

단풍취

국화과(Asteraceae) - 단풍취(Ainsliaea acerifolia Sch.-Bip.)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에서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0cm이고 가지가 없으며 긴 갈색 털이 드문드문 있다. 잎은 원줄기 중앙에 4~7개가 윤생한 것처럼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7~11개로 얕게 갈라진 다음 다시 3개로 얕게 갈라지는 것이 있고 길이 6~16cm, 너비 6.5~19cm로서 양면과 잎자루에 털이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5~13cm이다. 꽃은 7~9월에 피며 지름 1~1.5cm로서 원줄기 끝에 수상으로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2m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길이 12~15mm, 지름 4mm로서 붉은빛이 돌며 포는 많고 여러 줄로 배열되..

미역취

국화과(Asteraceae) -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asistica Nakai)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담았다. 산야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85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잔털이 있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줄기에 달린 잎은 난형, 난상 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7~9cm, 너비 1.5~5cm로서 표면에 털이 약간 있고 뒷면에 털이 없으며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에 날개가 있다. 위로 올라가면서 점차 작아져 장타원상 피침형으로 되고 잎자루가 없어진다. 꽃은 7~10월에 피며 지름 12~14mm이고 흔히 3~5개의 산방상 수상화서로 되며 소화경은 길이 3~6mm로서 털이 있고 포는 길이 ..

만수국(프렌치 메리골드)

국화과(Asteraceae) - 만수국(Tagetes pastula Linnaeus) 2023년 9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꽃의 중심부는 노랗고 주변이 붉은색인 메리골드(Tagetes pastula Linnaeus)를 프렌치 메리골드(French marigold), 우리말로는 만수국으로 부른다. 멕시코 원산의 메리골드의 변종으로 많은 종류의 원예종이 재배되고 있어서 만수국(T. pastula L.)과 천수국(T. electa L.)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우리가 만수국으로 부르는 메리골드(Marigold, Tagetes pastula Linnaeus)는 멕시코 원산의 관상초로서 높이 30~60cm이고 털이 없으며 밑에서부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

천수국(아메리칸 메리골드, 아프리칸 메리골드)

국화과(Asteraceae) - 천수국(Tagetes erecta Linnaeus) 2023년 9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국화가 나오기 전까지 화단을 수 놓고 있는 왜성 원예종 메리골드이다. 원예가에서는 멕시코와 중남미 원산의 천수국 즉, 메리골드(Tagetes erecta Linaeus)를 왜성 원예종으로 육종한 종의 종류가 많으나, 노란꽃을 피우는 것을 아메리칸 메리골드라 부르고, 주홍색 꽃을 피우는 것을 아프리칸 메리골드로 부르는 것 같다. 꽃의 중심부는 노랗고 주변이 붉은색인 메리골드(Tagetes pastula Linnaeus)는 프렌치 메리골드(French marigold), 우리말로는 만수국으로 부르는 것 같다. 우리가 천수국으로 부르는 메리골드(Mar..

멜람포디움(Melampodium)

국화과(Asteraceae) - 멜라포디움(Melapodium paludosum Kunth) 2023년 9월 17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8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울진군 북면 나곡3리에서 담았다. 정원을 예쁘게 가꾸고 있는 집 꽃밭에서 담았다. 아메리카 대륙이 원산지인 다년생 초본으로 원예종으로 들여와 재배하고 있다. 멜라포디움(Melapodium)은 국화과의 한 속의 이름으로 많은 종류가 멕시코, 캘리포니아, 플로리다 등 미국 남서부와 카리브해, 콜롬비아, 브라질 등 중남미에도 서식한다. 키가 15~30cm 정도로 작은 편이지만, 일부는 1m 정도까지 성장한다. 잎은 짙은 녹색이며 피침형이다. 꽃은 8~9월에 피며 데이지와 비슷한 모양의 노란색 꽃이 핀다. 중앙의 노란색 두상화를 ..

애기나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애기나팔꽃(Ipomoea lacunosa Linnaeus) 2023년 9월 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계룡스파텔 황톳길을 걷기 위해 가는 길에서 나팔꽃 같은 작은 꽃을 보고 처음에는 척박한 땅에서 자란 나팔꽃이라 꽃이 작은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귀화식물인 애기나팔꽃이다. 잎은 둥근잎나팔꽃과 비슷하고 꽃은 고구마 꽃과 비슷하다. 학명을 보면, 나팔꽃(Pharbitis nil Choisy)보다는 고구마(Ipomoea batatas Lam)와 가깝다. 김태정 교수의 식물도감이나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도 실리지 않은 귀화식물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우리나라에는 경기도와 인천에서 주로 발견되며, 아시아와 유럽에도 귀화하여 분포한다...

도깨비바늘

국화과(Asteraceae) - 도깨비바늘(Bidens bipinnata Linnaeus) 2023년 9월 5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열매가 풀섶을 지날 때마다 도깨비처럼 옷에 잔뜩 달라붙는다. 높이 25~85cm에 달하는 1년초로서 원줄기는 네모가 지고 털이 약간 있다. 잎은 대생하며 중앙부의 것은 길이 11~19cm로서 양면에 털이 다소 있고 2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위로 올라갈수록 작아지고 첫째 열편은 2~3개이거나 깃처럼 갈라지며 정열편은 선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에 차아상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잎자루는 길이 3.5~5cm이다. 꽃은 8~9월에 피고 지름 6~10mm로서 가지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며 꽃자루는 길이 1.8~8.5cm이다. 총포는 통형이고 포편은 5~7개..

노랑코스모스

국화과(Asteraceae) - 노랑코스코스(Cosmos sulphureus Cav.) 2023년 9월 3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6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울진군 울진읍 남대천 둑방에서 담았다. 멕시코 원산의 한해살이풀로 전국의 도로나 화단에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100cm, 가지를 많이 치고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며, 삼각상 난형으로 2회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줄기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다. 꽃은 7-9월에 가지 끝에 지름 5-6cm인 두상화서가 1개씩 달리며, 주로 주황색이며 노란색도 있다. 관모양꽃은 양성꽃이며, 끝이 5개로 깊게 갈라진다. 혀모양꽃은 무성꽃이며, 끝이 불규칙하게 3-..

부레옥잠

물옥잠과(Pontederiaceae) - 부레옥잠(Eichhornia crassipes Solm.-Laub.) 2023년 8월 27일(일) 동학사 대웅전 앞 수조에서 담았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수조에 심는 다년초로서 밑에서 잔뿌리가 많이 돋고 잎이 많이 달린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로서 중앙이 부풀어 마치 부레같이 되며 수면으로 뜨기 때문에 부레옥잠이라고 한다. 잎새(葉身)는 둥근 원형이며 길이와 너비가 각각 4~10cm이고 밝은 녹색으로서 털이 없으며 윤채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끝의 꽃차례는 원줄기와 더불어 길이 10~30cm이다. 꽃은 연한 자주색이며 밑부분이 통같이 되고 윗부분은 깔때기처럼 퍼지며 6개로 갈라지고 위쪽 앞의 한 개가 특히 크며 연한 자주색 바탕에 황색..

산짚신나물

장미과(Rosaceae) - 산짚신나물(Agrimonia coreana Nakai)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관음봉 고개에서 담았다. 큰 소엽과 중간 크기의 소엽이 5~7개인 짚신나물(A. pilosa Ledeb)와 비슷하나 홀수 우상복엽의 큰 소엽이 3개인 점이 다르다. 낮은 지대의 들이나 길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큰 것은 높이 1m에 달하며 전체적으로 털이 엉성히게 돋아 있고 뿌리가 약간 굵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큰것과 작은 것이 있어 불규칙하며, 큰 것은 타원형 예두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턱잎은 소엽과 크기가 비슷하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총상화서가 발달하여 꽃이 드문드문 달리며 소포가 잘게 갈라진다...

꽃며느리밥풀

현삼과(Scrophulariaceae) - 꽃며느리밥풀(Melampyrum roseum Maxim)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관음봉에서 담았다. 며느리밥풀 종류 중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종이다. 산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반기생 1년초로서 높이 30~50cm이고 둔한 네모가 지며 능선 위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중앙부의 잎은 좁은 난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5~7cm, 너비 1.5~2.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둥글며 양면에 짧은 털이 산생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는 길이 7~10mm이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이며 수상화서에 달리고 포는 녹색이며 중앙부의 잎과 같은 형태로서 작고 대가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가시같은 돌기가 있다. 꽃부리는..

누린내풀

마편초과(Verbenaceae) - 누린내풀(Caryopteris divaricata (S. et Z.) Maxim) 2023년 8월 27일(일) 계룡산 남매탑 쉼터에서 담았다. 그동안 여러번 지나친 곳이지만 예쁜 꽃이 핀 누린내풀을 처음 봤다. 강한 누린내가 나서 붙여진 이름이라는데 우아한 꽃을 보면 이름이 아쉽다. 높이 1m에 달하고 강한 냄새가 나는 다년초로서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대생하고 잎자루가 있으며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며 원저 또는 앝은 심장저이고 길이 8~13cm, 너비 4~8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하늘색이 도는 자주색이고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려 원추형으로 되며, 각 잎겨드랑이의 꽃차례는 긴 꽃자루가 ..

해란초

현삼과(Scrophulariaceae) - 해란초(Linaria japonica Miquel) 2023년 8월 20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의 25코스를 걷는 중에 경상북도 울진군 기성면 망양해변에서 담았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5~40cm이고 전체에 분백색이 돌며 곧추 또는 비스듬히 자라고 원줄기가 중글다. 잎은 대생하거나 3~4개가 윤생하지만 윗부분에서는 흔히 호생하며 잎자루가 없고 피침형이며 길이 1,5~3cm, 너비 5~15mm로서 뚜렷하지 않은 3맥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길이 15~18mm로서 연한황색이며 정생하는 총상화서에 달린다. 소화경이 으며 거(距)는 길이 5~10mm로서 밑부분이 굵고 끝을 향해 약간 밑으로 굽는..

배풍등

가지과(Solanaceae) - 배풍등(Solanum lyratum Thunberg) 2023년 8월 1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계룡스파텔 담에서 담았다. 줄기의 기부만 월동하는 다년초로서 길이가 3m에 달하고 끝이 덩굴 같으며 줄기와 잎에 선상의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8cm, 너비 2~4cm로서 보통 기부에서 1~2쌍의 열편이 갈라진다. 꽃차례는 잎과 대생하며 가지가 갈라져서 흰꽃이 피고 꽃자루는 수레바퀴 모양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피침형으로서 뒤로 젖혀진다. 꽃밥은 길이 3mm 정도로서 구멍으로 터지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 8mm로서 적색으로 익는다.(인용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2판. 향문사). (23년 9월 30일에 담은 열..

순비기나무

마편초과(Verbenaceae) - 순비기나무(Vites rotundifolia Linne fil.) 2023년 8월 6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6구간(울진 구간) 25코스 트레킹을 하면서 경북 울진군 망양해변에서 담았다. 경북 및 황해도 이남의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옆으로 또는 비스듬히 자라며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고 잔가지는 약간 네모가 지며 흰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읜 가루로 덮여 있는 것 같다. 잎은 대생하고 두꺼우며 난형 또는 도란형 또는 넓은 타원형이고 길이 2~5cm, 너비 1.5~3cm로서 표면에 잔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이 돌면 뒷면은 은백색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는 길이 5~7mm이다. 꽃은 7~9월에 피고 수상 원추화서는 가진 끝에 달ㄹ며 길이 4~7c..

계요등

꼭두서니과(Rubiaceae) - 계요등(Paederia scandens (Lour.) Merr. 2023년 7월 28일 진해 출장을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창원중앙역 정원에서 담았다. 해파랑길을 걸으면서도 보았던 꽃인데 오늘 담게 되었다. 바다를 따라 대청도 및 울릉도까지 올라오는 낙엽덩굴식물로서 길이 5~7m이고 윗부분이 겨울 동안에 죽으며 어린 가지에 잔털이 다소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거나 수평 또는 심장저이며 길이 5~12cm, 너비 1~7cm로서 표면은 처음에 털이 있고 뒷면은 잔털이 있거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자루는 길이 1~8cm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원추화서 또는 취산화서는 정생하고나 액생하고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지며..

반하

천남성과(Araceae) - 반하(Pinellia ternata (Thunb.) Breit.) 2023년 7월 21일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 있는 아파트 화단에서 담았다. 2년 전쯤 영산홍을 심은 곳에서 꽃대를 올리고 있는 반야를 만났다. 누군가 주민이 심은 것 같기도 하고 영산홍을 이식할 때 따라 온 것 같기도 하다. 정원 등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땅속에 지름 1cm의 구경이 있고 1~2개의 잎이 나온다. 잎자루는 길이 10~20cm로서 밑부분 안쪽에 1개의 실눈이 달리며 위 끝에 달리는 수도 있다. 소엽은 3개이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길이 3~12cm, 너비 2~5cm로서 난상 타원형에서 장타원형을 거쳐 좁은 피침형으로 되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털이 없다. 꽃줄기는 높이 ..

코끼리마늘

수선화과(Amaryllidaceae) - 꼬끼리마늘(Allium ampeloprasum Linnaeus) 2023년 6월 25일 충남 공주시 유구읍에서 개최된 제2회 유구색동수국정원 꽃축제장에서 담았다. 위키백과에 소개된 글을 보고 깜짝 놀랐다. 한국에서는 재래 작물로 1940년대까지 재배하였으나 이후 자취를 감췄다가, 2007년 미국이 6·25전쟁 시기 등에 과거 한반도에서 가져간 농업 유전자원 1600여 점을 농촌진흥청 유전자원센터로 영구 반환하며 다시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한다. 2007년에 반환받은 콩(901점)을 비롯해 돌콩(351점), 녹두(108점), 팥(107점), 코끼리마늘, 산부추, 파속 등 34종 1679점은 모두 한반도 원산 품목이지만 현재는 한국에 없는 종자들이라는 신문기사도 같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