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꽃들의 모습 1027

장미허브

꿀풀과(Lamiaceae) - 장미허브(Plectranthus hadiensis var. tomentosus (Benth.) Codd) 2023년 12월 4일에 사무실에서 키우는 장미허브(Vicks Plant)를 담았다.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영문명은 Vicks Plant라고도 하며, Plectranthus tomentosu로도 불린다. 잎을 건드리기만 해도 상큼한 허브 향이 나는 허브식물이다. 어린 가지를 흙에 꽂아도 뿌리를 잘 내리고 살아나는 식물로 장미가 피어나는 모양의 도톰하고 보송보송한 잎을 가진 허브라서 원예가에서는 장미허브라고 부른다. 장미허브(Vicks Plant)는 허브향이 Vicks Viporub이라는 크림 향기와 비슷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로즈메리, 라벤더, 세이지 등과 함께 흔..

십자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십자고사리(Polystichum tripteron (Kunze) Presl.)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잎자루 아래 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십자 모양을 형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 곧으며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0~40cm로서 연한녹색이거나 볏짚색이고 밑부분에 갈색이 돌며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고 잎새는 2회우상복엽이다. 첫째 우편이 길게 발달하여 십자형으로 되기 때문에 십자고사리라고 한다. 정우편은 길이 20~45cm, 너비 5~10cm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소우편은 낫같이 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앞쪽 밑부분에 돌기가 ..

관중

면마과(Aspidiaceae) -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고 곧은 근경에서 잎이 윤생한다. 굵은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하는 고비과의 꿩고비(Osmunda cinnamonea var. fokiensis Copel.)와 달리 관중은 잎이 윤생하고 잎자루에 인편이 밀생하여 구분이 된다. 잎은 길이 1m 내외, 너비 25cm에 달하며 잎자루는 잎새보다 훨씬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윤채가 있으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2c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작아진다. 잎새는 도침형으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

괭이밥

괭이밥과(Oxalidaceae) -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innaeus) 2023년 10월 2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에서 담았다. 잎을 따먹으면 시큼한 맛이 있어서 어릴 때 자주 따 먹던 풀이다. 각처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뿌리가 깊이 땅속으로 들어가고 그 위에서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로 향해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길이 10~30cm이다. 잎은 호생하고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져 있으나 광선이 없을 때는 오므라든다. 소엽은 도심장형이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1~2.5c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의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곧추 나와 그 끝에 1~8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

꽃향유

꿀풀과(Lamiaceae) -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2023년 10월 21일 금오산 도립공원 등산을 하면서 경북 구미시 원남동 산 33-1번지 금오산 정상 바로 밑에 있는 약사암에서 담았다. 높은 곳에서 자라서 그런지 키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꽃은 화려하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4각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굽은 백색 털이 줄로 돋아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잎자루로 흐르며 길이 1~7cm, 너비 0.8~4cm로서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특히 맥 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많은 꽃이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꽃차례(花序)는 길이 2~5cm로서 ..

솔새

벼과(Poaceae) - 솔새(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akin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1960년대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들이 민둥산이던 시절에 산림녹화를 위해 방학 숙제로 풀씨를 모아야 할 때 가장 인기 있던 풀이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70~100cm이고 뿌리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한다. 잎은 뿌리에서 돋은 잎과 줄기에 달린 잎의 두 가지가 있으며, 길이 30~50cm, 너비 3~8mm로서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밑부분에 긴 털이 있다. 잎혀는 얇고 길이 1~3mm로서 길게 갈라지고 잎집에 퍼진 털이 있다..

산박하

꿀풀과(Lamiaceae) - 산박하(Isodon inflexus (Thynb.) Kud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40~100cm이고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삼각형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흘러 날개같이 되며 길이 3~6cm, 너비 2~4cm로서 양면 맥 위에 드문드문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고 큰 꽃차례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좁은 삼각형이다..

만수국아재비(청하향초)

국화과(Asteraceae) - 만수국아재비(Tagetes minuta Linnaeus)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르면, “지난날 경북 영일군에서 이것의 이름을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겠느냐기에 청하를 따라 많이 자라고 향기로움을 지니고 있으므로 청하향초라고 하면 좋겠다고 하여 이 이름이 정해졌다. 그 후 꽃이 만수국과 비슷하다고 하여 만수국아재비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현재는 주로 경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외래종이며, 잎과 꽃봉오리는 천수국 또는 만수국으로 불리는 메리골드를 닮았으나, 꽃은 아주 작은 꽃들이 산방상으로 달린다. 향기가 많아 ..

구절초

국화과(Asteraceae)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에서 담았다. 붉은 꽃이 예뻐서 올린다. 구절초는 높이가 50cm 내외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하고 산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화는 지름이 8cm에 달한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고 보통 백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참고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

개쑥부쟁이

국화과(Asteraceae) - 개쑥부쟁이(Aster ciliosus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갈령재에서 담았다.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50cm이고 세로줄과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6cm, 너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너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가지의 잎은 길이 10..

아스타(Aster)

국화과(Asteraceae) - 아스타(Aster) 2023년 10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소공원에서 담았다. 유성온천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느라 화단에 식재하고 있는 아스타를 담았다. 아스타(Aster)는 다년생 초본으로 쑥부쟁이 등 국화과 참취속(Aster) 식물을 총칭하는 이름이지만, 다양한 꾳 색깔을 갖는 겹꽃으로 육종한 여러 가지 품종을 원예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정확한 종명은 찾지 못했다. 우리의 국화와 함께 가을의 정원을 수 놓는 예쁜 꽃이다.

흰꽃여뀌

마디풀과(Polygonaceae) - 흰꽃여뀌(Persicaria japonica (Meisn.) H. Gross) 2023년 10월 1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60~100cm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다소 두껍고 길이 7~12cm, 너비 1~2cm로서 자장자리 근처의 뒷면 맥 위에 거센 털이 있다. 잎집 같은 턱잎은 맥이 있으며 막질이고 끝이 거의 수평하며 연모는 길이 8~15mm로서 딱딱하다.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몇 개가 나오고 길이 7~12cm로서 처지며 꽃은 2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피는 백색이지만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녹백색이며 수술은 8개이고 포기에 따라 암술..

갈퀴나물

콩과(Fabaceae) - 갈퀴나물(Vicia amoena Fisch.) 2023년 10월 11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역 근처 운중천에서 담았다.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지하경이 벋으면서 번식하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80~18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능선이 있어서 네모가 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고 짝수 우상복엽으로서 10~16개의 소엽과 더불어 극히 짧은 잎자루가 있고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5~30mm, 너비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간 있다. 꽃자루는 길이 2~7cm로서 액생하고 꽃차례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6~9월에 피고 길이 ..

부들

부들과(Typhacea) - 부들(Typha orientalis Presl)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너비 5~15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雄花穗)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 3~10cm이고 자화수(雌花穗)는 바로 밑에 달리며 길이 6~12cm이고 화수에 달린 포는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에는 화피가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 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꽃가루가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소포가 없으며 씨방에 ..

둥근잎유홍초

메꽃과(Convolvulaceae) - 둥근잎유홍초(Quamocilit angulata Bojer)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마치 둥근잎나팔꽃 덩굴 속에서 피어난 유홍초(Q. pennata Bojer)로 알았는데 잎이 둥근잎이다. 유홍초는 잎이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어떻게 잎은 둥근잎나팔꽃과 같고 꽃은 유홍초와 같게 진화했을까 궁금하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의 1년생 덩굴식물로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덩굴은 나팔꽃처럼 길게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상 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며 밑부분의 양쪽 귀밑이 흔히 뾰족한 각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둥근잎나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둥근잎나팔꽃(Pharbitis purpurea Voigt)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열대아메리카산 1년초로서 나팔꽃처럼 생겼으나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이 다르다. 요즘은 주변에서 잎이 갈라지는 나팔꽃(P. nil Chois)을 보기가 더 힘들다. 온통 둥근잎나팔꽃이 우점하고 있다. 이러다 예전부터 보아오던 나팔꽃은 보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덩굴성이며 왼쪽으로 감아올려 가면서 1.5m 정도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으로서 톱니가 없고 길이 7~13cm이다. 꽃은 여름철에 잎겨드랑이에 5개 내외씩 달리며 자주색, 담홍색 또는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짧은 털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5~8..

고마리

마디풀과(Polygonaceae) -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2023년 10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들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1년초로서 길이 1m에 달하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가시가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너비 3~7cm이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미을 향한 잔가시가 있으며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링 짧은 털과 더불러 흔히 소엽 같은 것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

개여뀌

마디풀과(Polygonaceae) - 개여뀌(Persicaria longiseta (De Bruyn) Kitag. 2023년 10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꽃으로만 보면 털여뀌(Persicaria orientalis (L.) Spach)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Daum 꽃검색으로 검색해봐도 꽃이 많이 달린 개여뀌를 털여뀌로 동정한다. 잎의 모양을 봐야 구분이 가능한다. 개여뀌는 잎이 피침형이고 털여뀌는 난형 또는 난상 심장형이라 구분이 가능하다. 개여뀌는 전국 각처에서 흔히 자라는 1년초로서 높이 20~50cm이고 밑 부분이 비스듬히 자라면서 땅에 닿으면 뿌리가 내리며 가지가 뻗는다. 줄기는 곧추 자라므로 때로는 총생한 것처럼 보이고 털이 없으며 적자색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넓..

미국쑥부쟁이

국화과(Asteraceae) - 미국쑥부쟁이(Aster pilosus Willd) 2023년 10월 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경기도 포천을 중심으로 강원도 춘천 지역까지 널리 분포하는 외래용 귀화식물이다. 요즘은 전국으로 퍼진 듯하다. 다년초로서 높이 30~100cm이고 줄기가 딱딱하고 잔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기부의 잎은 주걱모양으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쪽으로 좁아지고 잎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줄기의 잎은 좁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없고 길이 3~10cm, 너비 3~8mm이다. 작은 가지의 잎은 선형 또는 송곳형이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상화가 다수이며 지름 10~17mm이고 총포는 종형이고 총포 조각은 혁질이고 높이 6mm이고 피침형이..

까치고들빼기

국화과(Asteraceae) - 까치고들빼기(Youngia chelidoniifolia Kitamura) 2023년 10월 1일 계룡산국립공원에서 자연성릉으로 가는 길에서 담았다. 꽃이 진 것은 하얀꽃처럼 보이고 설상화가 핀 꽃은 노란꽃이라 마치 두 가지 꽃이 핀 것처럼 보이며 잎이 깃처럼 갈라져서 무척 예쁜 야생화이다. 깊은 산 숲 가장지리에서 자라는 1년 내지 2년초로서 높이 20~50cm이고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잎자루가 있고 깃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서로 떨어져 있고 3~6쌍이며 길이 1~2cm 로서 난형이고 결각이 약간 있거나 톱니가 드문드문 있으며 잎자루는 중축과 더불어 날개가 없고 밑부분이 지저로 되어 원줄기를 둘러싸며 윗부분의 잎이 점차 작아진다. 꽃은 9~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