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4

모래지치

지치과(Borraginaceae) - 모래지치(Messerschmidia sibirica Linnaeus)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5~35cm이고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누운 털이 밀생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호생하며 주걱형이고 잎자루가 없으며 길이 4~10cm, 너비 7~30mm로서 질이 두껍고 양면에 누운 털이 있다. 꽃은 8월에 피며 백색이고 정생 또는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짧고 꽃받침은 길이 4mm 정도로서 중앙까지 5개로 갈라지며 겉에 퍼진 털이 있고, 꽃받침잎은 피침형이며 길이 3~5mm이다. 꽃부리는 통부의 길이 6~7mm로서 겉에 누운 털이 ..

갯까치수영

앵초과(Primulaceae) - 갯까치수영(Lysimchia mauritiana Lam.)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모래지치 속에 묻혀 있어서 지나칠뻔하다 자세히 보니 꽃잎이 달라 담게 되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높이 10~40cm이고 흔히 밑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밑부분에 붉은빛이 돈다. 잎은 호생하고 육질이며 주걱 같은 도피침형이고 길이 2~5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끝이 둔하거나 둥글고 밑으로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리며 검은 내선점(內腺點)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총상화서는 정생하고 길이 4~12cm이며 소화경은 비스듬히 퍼지고 길이 1~2cm로서 포보다 짧거나 같다. 꽃..

갯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 2023년 5월 21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21코스를 걸으며 영덕 해변에서 담았다. 작년 12월에 해파랑길을 걸으며 이름을 몰라 애를 먹었던 기억이 난다. 겨울에도 푸르름을 잃지 않고 있던 갯메꽃이 이제는 예쁜 꽃을 흐드러지게 피우고 있었다. 중부 이남의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은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뻗으며, 줄기는 갈라져서 지상으로 뻗거나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 잎은 콩팥모양 신원형(腎圓形)이며 끝이 오목하거나 둥글며 길이 2~3cm, 너비 3~5cm로서 가장자리에 물결형의 주름살이 생긴 것도 있고 잎자루는 길이 2~5cm로서 호생한다. 꽃은 5~..

해파랑길 21코스(영덕 해맞이공원-경정해변)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21코스(영덕 해맞이공원-경정해변) o 일 자: 2023년 5월 21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개요: 영덕해맞이공원↔1.9km↔오보해변↔5.2km↔경정해변 (21코스는 영덕해맞이공원↔축산항까지 이지만 오늘은 경정해변에서 마친다) o 영덕해맞이공원/2007년 한국의 아름다운 길 100선 선정 기념비(13:00) -> 약속바위 전망대/약속바위(13:07) -> 해안탐방로/정자(13:22) -> 기 받기 좋은곳(13:33) -> 대탄리/대탄항(13:46) -> 해안도로 -> 오보교(13:58) -> 오보해변(14:01) -> 노물리 숭제당(14:09) -> 노물항/월월이청청 조형물(14:13) -> 해변길 -> 촛대바위(14:29) -> ..

해파랑길 20코스(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입구-영덕 해맞이공원)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20코스(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입구-영덕 해맞이공원) o 일 자: 2023년 5월 21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개요: 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입구 삼거리↔7km↔영덕풍력발전단지↔2.4km ↔영덕 해맞이공원 o 영덕환경자원관리센터 입구 삼거리(10:00) -> 데크 전망대(10:11) -> 영덕임도(영덕 하저↔영덕 창포)(10:15) -> 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 공사장(10:21) -> 영덕산림생태공원 구름다리 입구/구경만 하고 지나감(11:29) -> 2차선 도로(11:38) -> 정크&트릭아트 전시관(11:47 도착/관람 후 출발 12:00) -> 영덕조각공원(12:05) -> 영덕 별반산 봉수대(12:14) -> 영덕신재생에너지전시관(..

삼색버들(삼색버드나무)

버드나무과(Salicaceae) - 삼색버들(Salix integra Thunberg.)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그동안 이름을 몰라 궁금했었는데 명패를 보니 삼색버들이라고 소개되어 있었다.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원산인 버드나무의 변종으로 육종된 품종이다. 낙엽활엽관목이며 1.5~4m까지 자라며, 새잎이 나올 때 잎이 초록색, 흰색, 분혹색 무늬가 나타나서 조경수로 심는다. 잎은 길이 2~10cm, 너비 1~2cm이지만 새잎이 나오도록 계속 전지를 해주므로 작은 잎들이 꽃처럼 보인다.

다양한 장미꽃 -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만난 장미꽃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서 담았다. 장미축제가 열리고 있는 곡성기차마을의 장미공원에는 1,004 품종이 75,000㎡의 부지에 전시되어 있다고 한다. 독일, 프랑스, 영국 등 유럽의 우수한 장미 품종들을 수집, 전국에서 가장 많은 1,004종의 장미를 식재하여 조성되었다고 한다. 장미 종류가 너무 많아서 다 담을 수는 없었고 37종의 장미 품종을 명패와 함께 담았다.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 다녀오다.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 곡성세계장미축제에 다녀왔다. 작년에는 장미축제와 함께 곡성기차마을을 구경하느라 장미들을 제대로 구경하지 못해 아쉬웠는데, 이번에는 기차표를 예매하여 홀로 다녀왔디. 1004 종류의 장미가 식재되어서 다양한 장미들을 사진으로 담아 보겠다고 마음먹고 다녀왔다. 장미 종류가 너무 많아서 다 담을 수는 없었고 37종의 장미 품종을 명패와 함께 담았다. 곡성세계장미축제는 올해가 제13회이고 2023년 5월 20일부터 5월 29일까지 10일간 곡성기차마을 장미공원에서 열린다. 곡성군 홈페이지에 소개되어 있는 장미공원 소개 자료에 따르면, 섬진강기차마을 단지 내에 있는 장미공원은 대한민국 최고의 장미공원을 목표로 사랑의 상징 ‘천사’와 음이 같은 1,004 ..

곡성역에 다녀오다.

2023년 5월 20일에 곡성기차마을에서 개최되는 제13회곡성세계장미축제에 가는 길에 들렀다. 작년에는 승용차로 갔었고 올해는 기차를 이용하였다. 곡성역에서 내리면 곡성기차마을이 가깝다. 곡성역은 성곽 형상으로 지어진 건물이라 이채롭다. 철도 이야기 안내문에 따르면, 곡성역은 1933년 10월 15일 전라선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1999년 전라선 선로가 이설되면서 이곳에 신축 이전되었다고 한다. 옛 곡성역사와 폐철로는 곡성기차마을로 다시 태어난 셈이다. 곡성은 고려시대에는 동네 길이 너무 험해서 장사꾼들이 곡소리를 하고 다닌다고 하여 곡성(哭城)으로 불렸다고 한다. 좋은 의미의 한자로 바꾸어 곡성(穀城)으로 바뀌었다가 곡식 穀 자를 쓰는 지명 때문에 조세를 지나치게 많이 부과한다는 백성..

금성산전(주)에서 만든 엘리베이터의 Goldstar 로고 명판

2023년 5월 17일에 유성구에서 담았다. 그동안 매일 타고 오르내라는 엘리베이터에 붙어 있는 명판이다. 요즘은 보기 쉽지 않은 “Goldstar” 로고이다. 건물이 오래되어 예전에 금성산전(주)에서 제작한 엘리베이터의 명판이다. 1987년 3월에 럭키포장(주)의 상호를 금성산전(주)으로 변경하면서 탄생한 회사로 현재 LS Electric의 전신이다. 내년에 엘리베이터가 교체되면 볼 수 없는 명판이다.

참산부추

백합과(Liliaceae) - 참산부추(Allium sacculiferum Maxim.)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산부추(A. thunbergii G. Don.)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아 보이는데, 수목원에서는 참산부추로 표지를 설치해 놓고 있었다.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비늘 줄기는 난산 타원형이고 외피 겉에 섬유가 남지 않으며 2~3개의 잎이 뿌리에서 나온다. 잎은 밑부분이 꽃줄기를 둘러싸고 편평하지만 하반부 뒷면에 주맥이 돌출한다. 꽃은 7~9월에 피며 꽃줄기는 높이 60cm로서 끝에 산형화서가 달리고 꽃차례는 지름 #~4cm이며 소화경은 길이 10~12mm이다 . 화피 열편은 넓은 타원형이거 둔두이며 길이 5mm, 너비 3mm로서 적자색이다..

마가목

장미과(Rosaceae) - 마가목(Sorbus commixta Hedl.)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제법 큰 나무들이 가로수처럼 심어져 있었고 마침 하얀꽃들이 산방화서로 피어 있었다. 전남, 제주도, 강원도에서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 6~8m이고 잔가지과 겨울눈에 털이 없으며 겨울눈에 점성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우상복엽이며 소엽은 9~13개이고 피침형, 넓은 피침형 또는 타원상 피침형이며 긴 점첨두이고 예저이며 길이 2.5~8cm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표면은 녹색이며 윤채가 없고 뒷면은 연한녹색이다, 가장자리에 길고 뾰족한 겹톱니 또는 홑톱니가 있고 턱잎이 일찍 떨어진다. 복산방화서는 지름 8~12cm로서 털이 없으며 꽃은 5~8mm로서 백..

충남대학교 숲길을 걷다.

2023년 5월 18일에 충남대학교 숲길을 걸었다. 충남대학교 켐퍼스에 속해 있는 숲길로 풍욕의 숲, 체험의 숲, 만남의 숲으로 구분하여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중앙도서관 우측 길로 걸어 들어가서 정보화본부 우측으로 들어가면 대덕 사이언스 길을 만난다. 우측으로 올라가면 궁동공원으로 가는 사이언스 길이고 좌측으로 조금 더 올라가서 산길로 들어서면 대전시민천문대로 가는 사이언스 길이다. 능선에서 만나는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면 농업생명과학대까지도 다녀올 수 있다.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수당정을 지나 미술관 방향으로 가면 서문 쪽에 있는 예술대학 옆에 도착한다. 궁동공원으로 올라가서 예술대학 옆까지 갔다가 궁동공원까지 돌아오는 코스도 걸을 만하다. 대덕사이언스 길을 따라 궁동공원에서 시민천문대를 지..

뱀딸기

장미과(Rosaceae) - 뱀딸기(Duchesnea chrysantha (Zoll. et Morr.) Miq.) 2023년 5월 17일 유성구 계룡스파텔에서 담았다. 예전에 뱀이 나올까봐 무서워하면서도 풀밭에 들어가 빨간 열매를 따먹고 맛이 없어 뱉어냈던 기억이 난다. 햇볕이 잘 쬐는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줄기는 긴 털이 있고 꽃이 필 때는 작으나 열매가 익을 때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길게 벋는다. 잎은 호생하며 3출엽이고 소엽은 난향 또는 난상 원형이며 둔두 예저이고 길이 2~3.5cm, 너비 1~3cm로서 표면은 털이 그리 없으나 뒷면은 엽맥에 따라 긴 털이 있다. 턱잎은 난상 피침형이며 길이 7mm 정도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5월에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자라는 긴 꽃자루에..

미나리아재비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미나리아재비(Ranunculus japonicus Thunberg.)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미나리아재과의 대표 야생화인 미나리아재비를 군락으로 키우니 멋진 황색 꽃밭이 조성되어 있었다. 습기가 있는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성모가 있으며 높이 50cm에 달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온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며 5각상 원심장형으로서 3개로 깊게 갈라지고 중앙 열편은 흔히 다시 3개로 갈라지며 측열편도 다시 2개로 갈라지고 길이 2.5~7cm, 너비 3~0cm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으며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다.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12..

뱀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뱀고사리(Athyrium yokoscense (Fr. et Sav.) H. Christ.)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햇볕이 잘 쬐는 바위 틈이나 그늘진 곳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짧으며 많은 잎이 끝에서 총생한다. 잎자루는 잎새보다 짧거나 거의 비슷하고 인편은 기부에 많으며 위로 올라갈수록 적고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서 톱니가 없으며 갈색 또는 흑색이고 가장자리가 연한갈색이다. 잎새는 피침형 또는 장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20~40cm, 너비 10~15cm로서 2회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거나 완전히 갈라진다. 우편은 피침형이며 긴 예첨두로서 너비 1~2.5cm이고 밑부분에는 성글게 달리며 우축에 좁은 날개..

석위

고란초과(Polypodiaceae) - 석위(Pyrrosia lingua (Thunb.) Farwell)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바위 또는 노목 겉에 붙어서 자라는 상록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으며 지름 3mm이고 적색 또는 다갈색 인편으로 덮인다. 인편은 좁은 피침형으로서 길이 4mm 정도이며 밑부분은 흑갈색이지만 끝과 가장자리로 갈수록 연해져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돌기가 있다. 잎자루는 길이 10~26cm로서 딱딱하며 홈이 파지고 성상모가 있으나 밑부분이 근경에서 나와 인편으로 덮인 짧은 가지와 연결되며 인편은 길이 7~8mm이다, 잎새는 넓은 피침형 또는 난상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녹색으로서 털이 ..

다릅나무

콩과(Fabaceae) - 다릅나무(Maackia amurensis Rupr. et Maxim.)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앞에서 솔비나무를 올리고 나니, 솔비나무와 잎과 꽃이 비슷한 다릅나무를 비교할 수 있게 같이 올린다. 막 잎이 올라오고 있는 다릅나무라 솔비나무와 구분이 어렵다. 다릅나무는 육지에서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산지에서 자라는 낙엽교목으로서 높이가 15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소엽은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며 짧은 점첨두이고 원저이며 길이 5~8cm로서 영면에 털이 없다. 꽃차례는 가지 끝에 달리고 총상화서 또는 원추화서로서 길이 10~20cm이며 위로 향한다. 꽃은 7월에 피며 지름 8mm로서 밀착한다. 꼬투리..

솔비나무

콩과(Fabaceae) - 솔비나무(Maackia fauriei (Lev.) Takeda) 2023년 5월 14일(일)에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백두대간수목원에서 담았다. 흔히 자라는 낙엽소교목으로서 높이가 8m에 달한다. 잎은 호생하며 홀수 1회우상복엽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소엽은 9~17개(보통은 13개 이상)이고 타원상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3~6cm, 너비 1~2cm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며 처음에는 솜털이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없어지고 소엽병은 길이 5mm 정도이다. 꽃은 7~8월에 피며 가지 끝의 총상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4mm 정도로서 화서축과 더불어 갈색의 누운 털이 밀생한다. 꽃받침은 종 모양이며 길이 5mm 정도로서 5개로 얕게 갈라지고 갈색의 누운 털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