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4

괴불주머니

현호색과(Fumariaceae) - 괴불주머니(Corydalis pallida Pers.) 2023년 4월 22일에 대청호오백리길 14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 임도에서 담았다. 얼마 전에 자주괴불주머니를 포스팅 했기에 비교하기 위하여 흰빛이 도는 노란 꽃이 피는 괴불주머니를 올린다. 괴불주머니는 산괴불주머니(C. speciosa Maxim)와 외형은 거의 동일하나, 꽃의 외화관 끝이 갑자기 짧게 뾰족하고 꽃은 흰빛이 도는 황색이다. 이러한 특징점을 기초로 오늘 담은 것은 괴불주머니로 동정하였다. 산지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곧추서서 가지가 갈라지고 높이 50cm에 달하며 전체에 분록색이 돌고 속이 비어 있다. 잎은 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길이 10~15cm, 너비 4~5cm로서 열편은 난형이며 ..

안내천 습지공원

2023년 4월 22일 대청호 오백리길 14구간을 가는 길에 옥천 시내버스에서 내려서 둘러 보았다. 충북 옥천군 안내면 현리에 있는 안내천 인공습지공원은 2004년 5월부터 12월까지 조성된 습지공원이다. 안내천 인공습지 안내판에 따르면, 대청호의 오염물질 부하량을 저감하고 안내천과 대청호의 자정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생태계 복원을 통한 하천수질 개선효과를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하고 종 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자연생태계의 생물들을 관찰, 체험할 수 있도록 방문자들에게 건강한 생태 공간을 제공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기 위한 공간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안내면 현리 버스 정류장에서 내리면 현리 양조장이 바로 보이고 동네길이 된 구도로를 따라 신촌교 쪽으로 내려가면, 안내토..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4구간 장고개구불길(안내면 향리 신촌교-회남면 은운리 답양1교)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4구간 장고개구불길(안내면 향리 신촌교-회남면 은운리 답양1교) o 산행일자: 2023년 4월 22일(토) o 교 통 편: - 출발-옥천 422번 시내버스(08:30 출발 답양행) - 귀가-옥천 421번 시내버스(14:00 회남면 은운리 경로당 정류장에서 탑승) o 산행 요약 : 4시간 20분(1시간 20분 알바 시간 포함) - 안내면 현리(09:00) -> 안내토기/안내 인공습지공원 둘러본 후 신촌교(14구간 시점)(09:25) -> 월외천 다리/느티나무(09:29) -> 신촌리 버스정류장(09:41) -> 탑산이 이정표(09:55) -> 정선 전씨 묘(10:12) -> 이정표 없는 산능선 사거리(10:57) -> 우회전하여 산불감시소 찾으러..

『자유의지와 과학』을 읽다.

앨프리드 밀리 지음, 이풍실 옮김(2022), 『자유의지와 과학』, 서울: 필로소픽, 초판1쇄 2022.4.29. 2023년 4월 21일에 앨프리드 밀리(Alfred Mele)의 『자유의지와 과학』를 읽었다.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에서 2014년에 발간된 『FREE: Why Science Hasn’t Disproved Free Will』을 번역한 책이다. 회사 업무가 밀려 책을 읽을 여유를 못내다 보니 이 책을 도서관에서 빌려온 지 3개월이 지나서야 완독하게 되었다. 저자 앨프리드 밀리(Alfred R. Mele)sms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교 철학과 교수이다. 자유의지가 환상일 뿐이라는 과학실험에 대한 반박을 서술한 책이다. 요즈음 일부 신경과학 분야 실험 결과로 자유의지는 없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한 ..

포항 원각조사비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조사리 314에 있는 원각조사비를 둘러 보았다. 비각이 있던 시절의 안내문에 따르면, 이 비는 원래 성도암에 세워져 있었던 것이지만, 폐사 후 매몰되었다가 일제강점기에 발견되었다고 한다. 귀부와 비신으로 구성되었으며 비신의 끝은 모죽임(비의 윗부분 각을 잘라 낸 모양)하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비신을 받치고 있는 거북이 등 모양과 꼬리 모양이 뚜렷하다. 거북이 머리는 많이 손상된 듯하나, 거북이 꼬리가 앙증맞다. 비신을 세운 귀부에는 시멘트로 처리한 흔적도 남아 있고, 귀부를 시멘트 받침대 위에 설치한 것도 말도 안 되는 일이다. 불교중앙박물관에만 포항 성도암지(成道庵址) 원각..

포항 지경1리 당집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지경리에 있는 지경1리 당집에 가보았다. 포항시와 영덕군의 경계 지점인 지경교 바로 앞에 있는 바위 위에 있는 당집이다. 계단을 올라가면 울타리가 있고 안쪽에 작은 집이 있다. 문이 닫혀 있어서 내부를 볼 수는 없다. 문 위에는 금줄이 쳐져 있어서 신성한 곳임을 알 수 있다. 당집이란 신을 모셔 놓고 받들어 모시는 집을 말한다. 해파랑길 19코스를 걷다 보면 동네마다 신당을 모시고 있었다. 동해 바다를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다 보니 파도와 싸워야 하는 어민들에게는 누군가에게 빌지 않으면 안 되는 절박감이 있기 때문이리라. 당집이 미신이라고 치부하며 없앨까봐 우려된다. 우리의 삶..

포항 러블랑 카페 포토존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송라면 동해대로 3310(송라면 지경리 232)에 있는 러블랑 카페의 해변가 포토존을 담아 보았다. 카페 이름은 러블랑으로 영어 Love와 프랑스어 흰색 Blanc의 합성어로 되어 있다. 영어와 프랑스어 합성어로 되어 있는 카페 명을 직역하면 ‘백색 사랑’이다. 이름 그대로 건물은 흰색이고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 사진을 찍는 곳이다. 프랑스어 몽블랑(Mont Balnc)이 생각나게 하는 러블랑(Love Blanc)이라는 카페 이름이 정겹다. 해변가에는 정자도 있고 해변쪽의 러블랑 카페 아치를 지나면 멋진 포토존이 나온다. 해파랑길을 걷는 사람들의 눈을 즐겁게 해주는 곳이고 일반인들에..

개질경이

질경이과(Plantaginaceae) - 개질경이(Plantago camtschatica Cham)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해변에서 담았다. 왕질경이 변종으로 털이 없는 갯질경이(P. major var. japonica (Fr. et Sav.) Miyabe for yezomaritima Ohwi)와 달리 바닷가에서 자라고 흰털이 있다. 바닷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줄기가 없으며 뿌리에서 잎이 나와서 비스듬히 자라고 흰털이 있다. 잎은 장타원형이며 길이 5~20cm, 너비 2.5~5cm이고 둔두 예저오서 점차 잎자루로 흐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물결형이다. 꽃은 5-6월ㅇ[ 피고 백색이며 잎 사이에서 길..

통보리사초

사초과(Cyperaceae) - 통보리사초(Carex kobomugi Ohwi)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해변에서 담았다. 지난 4월 2일에 만났을 때는 보리이삭처럼 생긴 이삭이 올라오고 있었는데 2주 후에는 이삭이 모두 펴져 있었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군총을 형성하는 다년초로서 높이 10~20cm이고 목질의 지하경이 갈색 섬유로 덮인다. 잎은 뿌리에서 나오며 너비 4~6mm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잎집은 약간 갈색이며 섬유처럼 갈라진다. 수상화서는 끝에 한 개씩 달리고 난형 또는 장타원형이며 길이 4~6cm, 지름 2.5cm로서 2가화이지만 간혹 1가화도 있다. 잎 같은 2~3개의 포는 꽃차례보다 짧..

우단담배풀

현삼과(Scrophulariaceae) - 우단담배풀(Verbascum thapsus Linnaeus)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해변에서 담았다. 유럽원산의 2년초로 미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들어온 귀화식물이다. 털이 보송보송하게 나 있는 경생잎이 큰 포기를 이루고 있고, 작년에 핀 기다란 꽃대가 인상적인데, 이름을 몰라 궁금했는데 트레킹을 같이 한 분이 이름을 찾아 주셨다. 높이가 1~2m이고 전체가 갈라지는 털이 밀생하여 우단같이 부드러우며 가지가 갈라지지 않는다. 잎은 길이 12~40cm, 너비 4~12cm로서 장타원형이고 두꺼우며 가장자리가 거의 밋밋하고 밑으로 좁아져서 줄기에 직접 달리며 밑으로 흘러..

등대풀

대극과(Euphorbiaceae) -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Linnaeus)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해변에서 담았다. 경기도 이남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높이가 30cm에 달하고 가을철에 나와 다음 해에 무성해지며 자르면 유액이 나온다. 흔히 밑에서부터 가지가 갈라지며 윗부분에 긴 털이 약간 있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없으며 주걱상 도란형 또는 도란형이고 길이 1~3cm, 너비 6~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으며 가지가 갈라지는 끝부분 밑에서 5개의 잎이 윤생한다. 윤생엽은 보다 크고 총포엽은 넓은 도란형이며 약간 작다. 꽃차례에 많은 배상화서가 달..

갯완두

콩과(Fabaceae) - 갯완두(Lathyrus japonicus Willd)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걷는 중에 경북 포항시 북구 해변과 경북 영덕군 해변에서 담았다. 모래에서 올라와 적자색의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예쁘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길게 뻗으며 원줄기는 능각(稜角)이 있고 옆으로 비스듬히 자라며 길이 20~30cm이다. 잎은 3~6쌍의 소엽으로 구성되고 분백색이 돌며 소엽은 난형, 장타원형 또는 타원형이고 길이 15~30mm, 너비 10~20mm로서 덩굴손이 흔히 갈라지지 않으나 2~3개로 갈라지는 것도 있다. 꽃차례는 길이 6~9cm로서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는 꽃자루가 길다. 꽃은 5..

타래붓꽃

붓꽃과(Iridaceae) - 타래붓꽃(Iris lactea var. chinensis [Fisch] Koidz)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 트레킹에 참여하여, 지난번에 마치지 못했던 18코스를 걷는 중에 포항시 북구 해변에서 담았다. 군락을 이루고 있는 타래붓꽃은 처음 보았다. 붓꽃(Iris sanguinea Horn)과 비교해 보면, 타래붓꽃은 꽃대가 잎보다 짧고 잎이 비틀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해파랑길 19코스에서 만난 타래붓꽃 오솔길은 인상적이다. 길 가운데와 양 옆에 타래붓꽃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광경이 장관이었다. 수목원에서만 보던 타래붓꽃을 이렇게 야생에서 보게 되어 무척 좋았다. 타래붓꽃은 산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라며 큰..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에 다녀오다.

2023년 4월 16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 19코스를 걸으며, 영덕군 장사해수욕장에 있는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에 다녀왔다. 경북 영덕군 남정면 동해대로 3560(남정면 장사리 100-1)에 있는 기념관은 장사해수욕장 해변에 정박해 있는 상륙함 문산호 형상으로 세워져 있다. 7번 국도인 동해대로에서 접근하면 위령탑과 학도의용군 조형물이 있고 문산호로 이어지는 데크 다리를 건너 기념관에 도착한다. 입구에는 인천상륙작전 성공의 토대를 만든 장사상륙작전의 의미와 가치를 바로 알고, 작전에 참여했던 학도의용군의 호국 충절과 희생정신을 기억해야 한다고 기념관의 설립 취지를 분명하게 알려주고 있다. 이곳 장사리에서 벌어진 상륙작전을 제대로 알리기 위해 2020년 6월 5일에..

해파랑길 19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4구간(포항 구간) 18코스(월포 해변-화진 해변)/19코스(화진 해변-구계항) o 일 자: 2023년 4월 16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개요: 월포 해변(18코스)-화진 해변-구계항(19코스) - 18코스: 월포 해변↔8.2km↔화진 해변 - 19코스: 화진 해변↔4.3km↔장사 해변↔4.8km↔구계항 -(이번 트레킹은 18코스 월포해변에서 출발하여 19코스 구계항에서 종료) (화진해변 스탬프 찍는곳: 화진 해수욕장 북쪽 공중화장실 앞 큰 도로가) o 소요시간: 월포 해변에서 구계항까지 4시간 55분 - 18코스: 월포 해변(10:28) -> 월포다리(10:37) -> 방어리항(10:47) -> 국립수산과학원 사료연구센터(0:57) -> 조사리항(1..

황매화

장미과(Rosaceae) - 황매화(Kerria japonica (L.) DC.) 2023년 4월 9일에 전남 구례군 마산면에 있는 화엄사에서 담았다. 대체로 우리 주변에는 원예종으로 겹꽃이 피는 죽단화(K. for plena Schneid)를 흔하게 볼 수 있으나, 꽃잎이 5개인 황매화를 보기가 더 어렵다. 한밭문회원의 4월 문화탐방지로 지리산 화엄사에 갔다가, 화엄사의 적멸보궁으로 올가는 계단 옆에서 담았다. 중부 이남의 습한 꼿에서 잘 자라지만 그늘에는 약하며, 흔히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2m 에 달하고 총생하며 가지는 녹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장타원형, 타원형, 또는 장란형이고 길이3~7cm, 너비 2~3.5cm로서 결각상의 겹톱니가 있으며 표면은 털이 없고 엽맥이..

지리산 화엄사에 다녀오다.

2023년 4월 9일에 한밭문화원의 4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539(마산면 황전리 산20-1)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19교구 본사인 화엄사(華嚴寺)에 다녀왔다. 지난 2021년 12월 5일(일)에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 본사 답사계획에 따라 19번째 답사지로 화엄사에 다녀온 후에 올렸던 답사기는 다음 주소를 클릭하면 볼 수 있다. https://agindoll.tistory.com/5863599 화엄사는 쌍계사, 천은사와 함께 지리산 3대 사찰의 하나이다. 화엄사는 싸리나무 기둥으로 유명한 각황전(覺皇殿)으로도 유명하다. 화엄사는 언제 와도 포근하다. 각황전 옆의 홍매화는 꽃받침잎들만 남아 있어서 홍매화가 피어있는 것을 보지 못했지만, 대신 적멸보궁으로 올라가는 길..

자주괴불주머니

현호색과(Fumariaceae) - 자주괴불주머니(Corydalis incisa Pers.) 2023년 4월 9일에 한밭문화원의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전남 구례군 구례읍 원방리 1 인근의 섬진강대숲길에서 담았다. 제주도, 전라도, 함북 산기슭 그늘진 곳에서 자라는 2년초로서 뿌리가 장타원형이고 원줄기는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오며 높이 20~5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가지가 다소 갈라지고 뿌리와 원줄기에 잎이 달리며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 수록 짧아진다. 뿌리에서 돋은 잎은 길이 3~8cm로서 전체가 3각상 난원형이고 3개씩 2회 갈라지며 소엽은 3출엽과 비슷하지만 깃처럼 갈라지고 열편은 쐐기형이며 길이 1~2cm로서 결각이 있다. 꽃은 5월에 피고 길이 4~12cm로서 홍자색이며 원줄기 끝에 총상으..

구례 섬진강대숲길에 다녀오다.

2023년 4월 9일에 한밭문화원 4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전남 구례군 구례읍 원방리 1 인근의 섬진강변에 조성된 섬진강대숲길을 다녀왔다. 대나무 숲 사이로 탐방로를 잘 정비해 놓은 곳이라 걷는 것만으로도 힐링이 되는 길이다. 남부 지방이라 대나무 굵기도 업청 굵다. 바람이 불 때 댓잎들끼리 부딪히며 내는 소리가 환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