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4

해파랑길 19코스(구계항-강구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5구간(영덕 구간)19코스(구계항-강구항) o 일 자: 2023년 5월 7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개요: 구계항(19코스 중간)↔3.5km↔삼사해상공원↔3.3km↔강구항(19코스 종점) o 구계항(10:20) -> 동해비치관광호텔(현재는 폐업중)에서 우회전(10:40) -> 남정천(10:44) -> 삼사해상산책로(11:02) -> 삼사항 동네길에서 좌회전(11:13) -> 삼사해상공원 입구(11:16) -> 삼사해상공원 망향탑(11:21) -> 삼사해상공원 화문석(11:29) -> 삼사해상공원 경북대종각(11:33) -> 영덕어촌민속전시관(11:36)/관람 후 출발(11:50) -> 해변길을 가다가 오포리 동네길로 좌회전(12:06) -> 오포3리 마..

수국 - 다양한 수국꽃 구경하기

범의귀과(Saxifragaceae) - 수국(Hydrangea macrophylla for. otaksa (S. et Z.) Wils) 2023년 5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으로 다양한 품종의 수국들이 전시되고 있다. 최근 재배하고 있는 품종들은 다양한 색깔의 꽃과 다양한 모양의 꽃잎을 자랑하고 있다. 육종가들의 노고에 찬사를 보낸다. 관상용으로 널리 재식하고 있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가 1m에 달하고 겨울동안 윗부분이 고사한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두꺼우며 짙은녹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길이 7~15cn, 너비5~10cm로서 예첨두이고 넓은 예저이며 가장자리에 톱니..

참제비고깔(델피니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참제비고깔(Delphinium ornatum Bouche) 2023년 5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이다. 원예가들은 델피니움이라는 품명으로 부르고 있다. 짙은 남색의 꽃잎이 인상적이다. 꽃봉오리가 돌고래를 닮았다하여 학명을 그대로 음역하여 델피니움(Delphinium)으로 부르는 것 같다. 관상용으로 심고 있으며 김해 근처에서는 야생상으로 자라는 2년초로서 높이가 90cm에 달하고 윗부분에 짧은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고 밑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길고 손바닥모양으로 3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다시 2~3회 갈라져서 선형으로 되고 윗부분의 것은 ..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 구경하기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1구간과 14-2구간을 가기 위해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에 있는 나실인요양원 버스 정류장에서 내렸다. 가산천, 나실인 수도원 입구, 답양리 마을회관을 지나 답양3교가 있는 답양리 양지골까지 걸었다. 14-2구간을 마치고 답양3교에서 답양1교까지 걸었다. 답양1교는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와 보은군 회남면 은운리의 경계이다. 답양리 마을 자랑비에 따르면 임진왜란 때 영규대사가 승병들을 훈련시켰다는 가산사와 관련하여 충절의 고장으로 소개하고 있다.

졸방제비꽃

제비꽃과(Violaceae) - 졸방제비꽃(Viola acuminata Ledebour)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에서 담았다. 산기슭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20~40cm이며 전체에 철이 약간 있고 보통 여러 대가 한군데에서 나온다, 잎은 호생하며 3각상 심장형이고 잎자루가 있으며 길이 2.5~4cm, 너비 3~5cm로서 윗부분의 잎은 너비가 길이보다 짧고 끝이 점차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턱잎은 장나원형으로서 빗살같은 톱니가 있다. 5~6월에 원줄기 윗부분의 액겨드랑이에서 길이 5~10cm의 꽃자루가 나와 백색 또는 연한 자줏빛이 도는 꽃이 옆으을 향해 달리며 꽃자루 윗부분에 좁은 포가 달리고 흰 꽃의 순판에 자주..

고비

고비과(Osmundaceae) - 고비(Osmunda japonica Thunberg.)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 숲 가장자리 및 냇가 부근에 자생한다.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60-100cm이고 주먹같은 근경에서 여러대가 나와 자란다. 어린잎은 스프링처럼 풀리면서 자라며 적색 바탕에 백색 면모로 덮여 있고 엽병은 주맥과 더불어 윤채가 있으며 처음에는 적갈색 털로 덮여 있지만 곧 없어지고 잎은 2회우상복엽이며 우편(羽片)은 길이 20-30cm이다. 생식엽은 영양엽보다 일찍 나와서 일찍 스러지고 소우편은 더욱 좁아져서 선형으로 된다. 5-6월에 포장낭이 형성되며 빽빽하게 달리고 5-6월에 포자가 산포한다.(인용..

고광나무

범의귀과(Saxifragaceae) - 고광나무(Philadelphus schrenckii Ruprecht)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에서 담았다. 산야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2~4m이고 잔가지에 털이 다소 있으며 2년지는 회색이고 껍질이 벗겨진다. 잎은 대생하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점첨두이며 넓은 예저로서 길이 7~13cm, 너비 4~7cm이지만 과지(果枝)의 것은 길이 4.5~7.5cm, 너비 1.5~4cm로서 가장자리에 뚜렷하지 않은 톱니가 있고 표면은 녹색이며 털이 거의 없으나 뒷면은 연한 녹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다. 총상화서에도 잔털이 있고 5~7개의 꽃이 달리지만 밑에서 피는 꽃은 액생하며 꽃은 지름 3~3.5cm로..

개찌버리사초

사초과(Cyperaceae) - 개찌버리사초(Carex japonica Thunberg)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군북면 용호리에서 담았다. 그늘진 풀밭에서 군생하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고 꽃줄기는 높이 20~40cm로서 중앙에 흔히 1개의 잎이 달리며 윗부분이 거칠다. 잎은 편평하고 너비 2.5~4mm로서 짙은녹색 또는 연한 황록색이며 밑부분의 잎집은 볏짚색 바탕에 갈색이 돈다. 소수는 2~4개가 떨어져 있고 정소수는 수꽃이며 대가 있고 측소수는 암꽃이지만 끝부분에 수꽃이 약간 달리기도 하며 구형, 타원형 또는 원추형이고 길이 1~2cm, 지름 6~7mm로서 가는 대로 곧추서지만 때로는 처진다. 첫째 포는 잎 같으며 꽃줄기보다 길고 잎집이 없으며..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4-2구간 용호수길(왕복: 안내면 답양리 장고개<->군북면 용호리 임도 끝 대청호반)

□ 트레킹 개요 o 트레킹 코스: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4-2구간 장고개구불길(안내면 답양리 장고개-군북면 용호리 임도 끝 대청호반-안내면 답양리 장고개) o 트레킹 일자: 2023년 4월 30일(일) o 교 통 편: 출발-옥천 422번 시내버스(08:30 출발 답양행) 귀가-옥천 421번 시내버스(17:00 회남면 은운리 경로당 정류장에서 탑승) o 트레킹 요약: 3시간(장고개-대청호반 왕복)/금일 소요시간은 4시간 16분 - (14-1구간을 마친 후 장고개/14-2구간 시점(11:24) -> 용호수(12:19) -> 용호리 대청호반 도착(12:45)/출발(12:51)(*이후 시간은 회남면 은운리에서 17:00에 출발하는 옥천버스를 타기 위해 쑥을 뜯으며 천천히 걸은 시간임*) -> 장고개/1..

지느러미엉겅퀴

국화과(Asteraceae) - 지느러미엉겅퀴(Carduus crispus Linné) 2023년 4월 30일 대청호 오백리길 14-1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산야지나 인가부근 빈터에서 자생한다. 2년생 초본으로 높이 1m 안팎이고 원줄기에 날개가 달리며 날개의 가장자리에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의 톱니가 있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고 긴 타원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점차 좁아져거 길이 30~40cm로서 가장자리에 가시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중앙부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상 피침형이고 밑부분이 줄기의 날개와 합쳐지고 길이 5~20cm로서 우상으로 길게 또는 얇게 갈라지며 열편은가시로 끝나고 뒷면에 거미줄 같은 백색털이 있다. 5..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4-1구간 막지리길(왕복: 안내면 답양리 장고개<->군북면 막지리 막지리마을)

□ 트레킹 개요 o 트레킹 코스: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4-1구간 장고개구불길(안내면 답양리 장고개-군북면 막지리 막지마을회관-안내면 답양리 장고개) o 크레킹 일자: 2023년 4월 30일(일) o 교 통 편: 출발-옥천 422번 시내버스(08:30 출발 답양행) 귀가-옥천 421번 시내버스(17:00 회남면 은운리 경로당 정류장에서 탑승) o 트레킹 요약: 1시간 25분(장고개-막지리마을 왕복) - 답양리 양지골 정류장/답양3교(09:38) -> 장고개 삼거리/14-1구간 시점(09:56) -> 효자 손대창 정려(10:10) -> 군북면 막지리 막지리마을회관 도착(10:30) -> 막지마을 선착장(10:35) -> 막지리마을회관 출발(10:49) -> 장고개/14-1구간 시점(11:22) □..

호주매화(호주매, 렙토스페르뮴)

도금양과(Myrtaceae) - 호주매화 ‘단심’(Leptospermum scoparium J.R.Forst. & G.Forst.) 2023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 호주매화이다.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동남부 원산이며 통상 마누카(manuka)라고 부르지만 우리 원예가에서는 호주매화, 호주매 등으로 부른다. 관목 상록수로 높이 2~5m까지 자라며, 작은 잎이 많이 달린다. 잎은 길이 7~20mm이고 너비 2~6mm이다. 꽃은 흰색 또는 핑크색이며 지름 8~15mm 정도이고 열편은 5개이다. 원예종으로 육종된 것은 홑꽃뿐만 아니라 겹꽃도 있고 흰색 꽃, 홍자색 꽃 등 다양..

알리움 기간티움

수선화과(Amaryllidaceae) - 알리움 기간티움(Allium giganteum Regel) 2023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 알리움이다. 산마늘(명이나물)과 비슷한데 잎이 가늘고, 두메부추와 비슷한데 잎이 넓다. 아프카니스탄, 트루키예, 등 중앙아시아 원산으로 통상 명칭은 자이언트 양파(giant onion)라고 한다. 꽃은 보라색, 흰색 등이 있다.

꽃꼬리풀(꼬리풀 원예종)

2023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원예종 꼬리풀을 담았다. 꼬리풀(Veronica linariaefolia Pall)의 원예종으로 육종한 품종이다. 정확한 학명은 찾지 못했다. 줄기 끝의 엽액마다 두 개의 총상화서가 올라와 보라색 꽃을 피우고 잎도 두툼하고 잎자루도 없고 잎 가장자리도 밋밋하며, 키도 왜성이다. 야생화 꼬리풀을 육종한 품종으로는 최상위 품종으로 보인다.

달리아 - 다양한 왜성 달리아 꽃

국화과(Asteraceae) - 달리아(Dahlia pinnata Cav.) 2023년 4월 28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담았다. 2023년 5월 12일부터 5월 14일까지 열리는 유성온천축제를 준비하면서 이식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달리아(Dahlia)를 담았다. 축제 이전에도 계룡스파텔 옆의 소공원에 오면 다양한 꽃들을 구경할 수 있다. 예전엔 키가 커다란 품종이 주였으나 최근에는 왜성으로 육종된 것이 대부분인 듯 하다. 다알리아라고도 불렀던 기억이 난다. 멕시코 원산의 다년초로서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하고 있으며, 고구마 같은 굵은 덩이뿌리로 번식하고 원줄기는 높이 1.5~2m로서 털이 없으며 원주형이다. 잎은 대생하고 잎자루가 있으며 1~2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소엽은 난형이며 가장자..

유성온천역-현충원-지족산을 걷다.

2023년 4월 27일(목) 오후에 유성온천역에서 출발하여 유성천을 따라 대전현충원 정문으로 들어가 정문 우측의 현충원길을 거쳐 현충원 후문으로 나간 후 지족산 팔각정을 지나 반석고 옆으로 내려와 지족역까지 걸었다. 13:20분경에 유성온천역 사거리에서 출발하여 대전현충원 정문에 14:20에 통과하였고, 지족산 팔각정에 15:15분에 도착하였다. 반석동 쪽으로 내려가다 다시 임도를 타고 지족동 쪽으로 내려가는 능선을 따라 내려가서 반석고와 남양홍씨 재실이 있는 소라실근린공원에 16:20에 도착하였다. 중간에 할미꽃을 담느라 묘지쪽에도 들어갔다 나오는 등 시간을 조금 지체하였으나, 총 3시간 30분 정도를 걸은 셈이다.

할미꽃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할미꽃(Pulsatilla koreana Naki) 2023년 4월2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지족산의 반석동 쪽 기슭에 있는 묘지에서 담았다. 건조한 양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뿌리는 굵고 흑갈색이며 윗부분에서 많은 잎이 나온다. 잎은 잎자루가 길고 5개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상복엽이며 전체에 긴 백색 털이 밀생하여 흰빛이 돌지만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없다. 밑부분의 소엽은 길이 30~40mm로서 2~3개로 갈라지며 정열편은 너비 6~8mm로서 끝이 둔하다. 꽃은 4월에 피고 높이 30~40cm의 꽃줄기가 나와 끝에 1개의 꽃이 밑으로 향해 잘리며 소포는 꽃자루 윗부분에 달리고 3~4개로서 다기 잘게 갈라지며 겉에 꽃자루와 더불어 긴 백색 털이 밀생한다. 꽃..

홍괴불나무

인동과(Caprifoliaceae) - 홍괴불나무(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2023년 4월 22일 대청호오백리길 14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내면 신촌리 버스정류장 근처의 농장에서 담았다. 언뜻보면 꽃봉오리가 붉은인동을 닮았는데, 활짝 핀 꽃은 다섯 개 열편으로 깊게 갈라져 있고, 나무도 관목이다. 낙엽활엽관목으로 중국, 러시아, 한국 원산이며 전국의 깊은 산 산비탈이나 골짜기에서 서식한다. 높이 3m이고 가지의 골속이 차 있으며, 작은가지는 2~4각형이다. 잎은 마주나기하며 달걀모양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점첨두, 넓은 예저이며 길이 3~8cm, 너비 2~3.5cm로서 뒷면 주맥을 중심으로 백색 털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짙은 자홍색이며 새 가지에..

고추나무

고추나무과(Staphyleaceae) - 고추나무(Staphylea bumalda Dc.) 2023년 4월 22일 대청호오백리길 14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내면 신촌리 산에서 담았다. 처음엔 말발도리로 알고 담았으나, 잎의 모양이 3엽의 소엽이어서 고추나무라는 것을 알았다. 새가지 끝에 달리는 꽃이 아름다워 정원수로도 심는다. 일본, 중국, 우리나라 전국 산지의 산골짜기에서 흔히 자라는 낙엽관목 또는 소교목으로서 높이 3~5m이고 가지는 둥글며 회록색이고 어린 가지는 털이 없다. 잎은 대생하고 소엽은 3개이고 측소엽은 소엽병이 없으며 정소엽은 밑부분이 소엽병으로 흐르고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혀이며 양끝이 좁고 표면에 털이 없으나 뒷면은 맥 위에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뽀족한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