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0

오대산 월정사에 다녀오다.

2024년 7월 14일(일)에 대전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2024년 7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진부면 동산리 63-1)에 위치한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에 다녀왔다. ‘적멸보궁을 찾아서’라는 주제에 따라 두 번째 답사지로 5대 적멸보궁의 하나인 오대산 적멸보궁을 답사하면서 월정사와 상원사를 들렀다. 월정사는 643년(신라 선덕여왕 12년)에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께서 창건하신 사찰이다, 자장율사께서 646년에 통도사를 창건하셨으니, 통도사보다 3년 먼저 월정사를 창건하신 셈이다. 자장율사는 643년(선덕여왕 5년)에 왕명으로 제자 승실 등 10여명과 함께 중국 당나라에 유학하며, 산서성 오대산의 태화지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

인제 38선휴게소에 들르다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와 48코스를 걸은 후 돌아오는 길에 강원도 인제군 남면 설악로에 있는 인제 39선 휴게소에 들렀다. 1950년에 일어난 6·25 한국전쟁 전까지 남한과 북한의 경계선이었던 북위 38도선에 있는 휴게소이다.  남한에는 대표적인 38선 휴게소가 3곳이 있다. 백두대간 동쪽의 영동 지방에는 강원도 양양군 현북면 동해대로 1242(현북면 진교리 41-10)에 위치해 있고, 영서 지방에는 강원도 인제군 남면 설악로 1128(남면 부평리 1070-2)에 위치한 소양호 주변에 있고, 중부 지방에는 경기도 포천군 영중면 호국로 3020(영중면 양문리 920)에 있다. 양양 38선 휴게소는 해파랑길 양양-속초 구간 42코스를 걸으며 지났던 곳이고 인제 38선 휴게소는 해파랑길 고..

태국가지(커밋 가지)

가지과(Solanaceae) - 태국가지(Solanum macrocarpon Linnaeus)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에서 담았다.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동남아시아에서 흔히 재배하는 재배종 가지이다. 동남아 가지라고도 부른다. 영어로는 Thai Eggplant, Kermit Eggplant라고도 불린다. 인터넷에서 회자되는 식물학적 학명으로는 우리나라 가지와 동일한 Solanum melongena Linnaeus의 일종으로 지칭되고 있으나, 내가 조사한 바로는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에서 재배되는 Solanum macrocarpon Linnaeus로 보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3~5월에 심어서 7~9월에 수확하며, 꽃과 잎은 우리나라 가지와 비슷하나, 열매는 작고 둥근..

공심채

메꽃과(Convolvulaceae) - 공심채(Ipomoea aquatica Forssk)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에서 담았다. 동남아시아 등 열대 지방 원산인 잎채소로 자라는 반수생적 열대 식물이다. 고온 답습한 환경에서 잘 자란다. 노지에서 재배하는데 배수관을 이용하여 계속 물을 뿌려주고 있었고, 멀칭된 밭에는 물리 흥건하게 고여 있었다.  중국 등에서는 옹채(壅菜, 웡차이), 죽엽채(竹葉菜), 통심채(通心菜) 등으로 불린다. 이름 그대로 줄기 가운데가 비어 있기 때문에 공심채라고 한다. 동남아시아와 중국 등에서 즐겨 먹는 요리의 재료이다. 태국에서는 공심채 볶음 요리를 모닝 글로리(Morning Glory)라고 한다.  잎과 꽃은 우리나라의 메꽃과 비슷하지만..

오크라(Okra)

아욱과(Malvaceae) - 오크라(Hibiscus esculentus (L.) Moench)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에서 담았다. 길다란 초록빛 씨앗주머니를 먹는 채소이다. 영어권에서는 숙녀의 손가락 즉, 레이디스 핑거(Lady's finger)라고 부른다. 남아시아, 에티오피아, 서아프리카 등 아열대 원산으로 열대, 아열대, 온난 기후 지역에서 재배한다. 열대 지방에서는 다년초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1년초이다. 꽃은 6~8월에 6~8마디 이상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착화하여 같은 과 식물인 무궁화와 비슷한 황색의 큰 꽃이 핀다. 열매는 겉보기에 각진 고추처럼 생겼으며, 가로로 썰면 오각형에 가까운 별 모양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낯선 식물이지만 일본과 중국 남부..

고수

산형과(Apiaceae) - 고수(Coriandrum sativum Linnaeus)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에서 담았다. 이제 막 싻이 나와 크고 있는 작은 고수를 담았다. 지중해 동쪽 원산의 1년초로서 특히 절에서 많이 심고 있으며 높이 30~60cm이고 원줄기는 곧으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약간 갈라지며 털이 없다. 잎은 빈대 냄새가 나고 뿌리에서 돋은 잎은 잎자루가 길지만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며 밑부분이 모두 잎집으로 된다. 밑부분의 잎은 1~2회 우상복엽이지만 위로 올라가면서 2~3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이 좁아진다. 6~7월에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산형화서가 발달하며 각 꽃차례는 3~6개의 소산경으로 갈라져서 10개 정도의 흰꽃이 달린다. 꽃잎은..

옥수수

벼과(Poaceae) - 옥수수(Zea mays Linnaeus)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에서 담았다. 옥수수밭을 지나다보니 키가 큰 옥수수가 있고 키가 작은 옥수수가 있어서 농부님께 여쭈어 보니, 키가 큰 품종은 보라색 점이 있는 옥수수 품종이고, 키가 작은 품종은 순백의 옥수수가 열리는 품종이라고 한다. 지난 며칠동안 바람이 세게 불어 옥수수 잎이 많이 갈라지고 꺾여서 결실을 맺는데 지장이 있을까봐 우려하고 계셨다. 옥수수는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주요한 작물의 하나이다. 1년초로서 높이 1~3m이고 곧추 자란다. 잎은 호생하며 길이 1m 정도에 달하고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이 뒤로 젖혀져서 처지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원줄기를 감싸며 털이 없다. 꽃은 7..

고성군 서낭바위

2024년 7월 7일에 해파랑길 47코스를 걸으며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호리 산 24-1에 있는 서낭바위에 다녀왔다. 서낭바위는 암석 속으로 마그마가 뚫고 들어가 만들어진 독특한 지질 구조로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중생대 쥐라기에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화강암이 주를 이루고 있는 서낭바위 틈으로, 중생대 후기 백악기에 규장암질 마그마가 관입되어 그대로 굳어지면서 규장암으로된 암맥이 만들어졌다. 화강암과 규장암이 층을 이루어 있고 침식작용으로 부채 모양의 바위가 만들어져 있다. 서낭바위는 부채 모양의 바위로 부채바위라고도 부른다.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보인다. 바위 위에 살아있는 소나무 한 그루도 보는 방향에 따라 모양이 다르다. 주변에는 다양한 모양의 바위들이 널려 있다. 야영금지..

해파랑길 48코스(가진항-북천철교-반암해변-거진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10구간(고성 구간) 48코스(가진항-북천철교-반암해변-거진항)   o 일 자: 2024년 7월 7일(일)(가진항-반암항)/2024년 7월 21일(일)(반암항-거진항)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가진항↔2.7km↔남천↔3.4km↔북천철교↔3.6km↔반암해변↔3.9km↔거진항   o 코스 요약      - 가진항(14:30) -> 해양경찰 가진출장소 뒤쪽 언덕길로 좌회전(14:34) -> 가진 삼거리(14:37) -> 가진교(14:40) -> 가진교회(14:46) -> 남천교(15:05) -> 남천교 건너 우회전 -> 동호해변/해당화 꽃밭(15:08) -> 누볼라풀빌라펜션 뒷길(15:21) -> 북천둑길(15:40) -> 북천철교..

해파랑길 47코스(삼포해변-송지호 관망타워-가진항)에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10구간(고성 구간) 47코스(삼포해변-송지호 철새관망타워 -가진항) o 일 자: 2024년 7월 7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삼포해변↔3.2km↔송지호 철새관망타워↔2.4km↔왕곡한옥마을↔4.1km↔가진항 o 코스 요약 - 삼포해변-> 서낭바위 산책로 입구 -> 오호리 등대/서낭바위 -> 송지호 철새관망타워(삼포해변에서 송지호 철새관망타워까지 3.2km는 지난 46코스를 걸으며 걸었던 구간) -> 송지호 철새관망타워(12:50 출발) -> 삼거리에서 왕곡마을 방향 좌회전(13:01) -> 삼거리에서 송지호 둘레 산소길 방향으로 우회전(13:11) -> 왕곡마을 연지(13:18) -> 왕곡마을 회관(13:21) -> 양근함씨 효자각(13:..

『머리맡에-쇼펜하우어』를 읽다.

쇼펜하우어 지음, 함현규 옮김(2018), 『머리맡에-쇼펜하우어』, 경기도 남양주시: 빛과향기, 초판1쇄 2018.3.26. 2024년 7월 6일(토)에 쇼펜하우어의 『Aphorismen zur Lebensweischeit(인생의 예지를 위한 잠언)』을 번역한 『머리맡에-쇼펜하우어』를 읽었다. 원저의 서명을 인터넷 등에서는 『인생의 예지를 위한 잠언』으로 번역하고 있다. 최근에 쇼펜하우어의 이 책을 번역한 두 권의 책을 연달아 읽게 되었다. 2010년에 박현석이 번역한 『쇼펜하우어의 인생론』을 읽은 후 이 책을 읽었다. 처음에는 같은 책을 번역한 책인 것을 모르고 읽기 시작하였으니, 나도 참 무식하긴 여간 무식한 게 아니다. 두 책을 연달아 읽으며 ‘책을 번역한다는 것도 하나의 저술이구나’라는 생각을 하..

각시원추리

백합과(Liliaceae) - 각시원추리(Hemerocallis dumortieri Morr) 2024년 7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잎은 길이 50cm, 너비 1~1.5cm로서 밑에서 대생하여 서로 얼싸안고 윗부분이 활처럼 뒤로 처진다. 꽃은 6~7월에 피며 꽃줄기는 높이 40~70cm로서 잎과 길이가 비슷하거나 약간 길다. 꽃차례는 짧고 2개로 갈라지며 몇 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고 소화경은 짧으며 포는 난형 또는 장차원상 난형이고 예두이며 꽃은 길이 8~10cm이고 내화피는 너비 2.5cm 내외로서 등황색이며 통부는 길이 1~1.5cm 이다. 화피 열편은 6개로서 2줄로 달리고 내화피는 도피침형 둔두이며 꽃밥은 흑갈색이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하며..

원추리

백합과(Liliaceae) - 원추리(Hemerocallis fulva Linnaeus) 2024년 7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오래 전에 포스팅 한 적이 있지만 다시 한번 더 올린다. 원추리에는 진딧물이 잔뜩 붙어 있다.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다년초로서 뿌리가 방추형으로 긁어지는 덩이뿌리가 있다. 잎은 길이 60~80cm, 너비 1.2~2.5cm로서 밑에서 2줄로 대생하고 끝이 둥글게 뒤로 젖혀지며 흰빛이 도는 녹색이다. 꽃줄기는 높이 1m로서 끝에서 짧은 가지가 갈라지고 6~8개의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포는 좁은 피침형이고 길이 2~8cm로서 윗부분의 것은 가장자리가 얇다. 소화경은 길이 1~2cm로서 밑부분이 꽃대축에 붙어 있으며 꽃은 등황색이며 너비 3~3.5cm로서 가..

개오동

능소화과(Bignoniaceae) - 개오동(Catalpa ovata G. Don) 2024년 7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공원에서 담았다. 낙엽교목으로서 가지가 퍼지고 잔가지에 털이 없거나 간혹 잔털이 있다. 잎은 대생 또는 3윤생하며 넓은 난형이고 길이 10~25cm로서 심장저이지만 대개 3~5개로 갈라지고 각 열편은 넓으며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표면은 자줏빛이 도는 녹색이고 털이 없으며 윗면은 연한녹색으로서 맥 위에 잔털이 있거나 털이 없고 잎자루는 길이 6~14cm로서 자줏빛이 돈다. 원추화서는 가지 끝에 달리며 길이 10~25cm로서 털이 없고 꽃은 6월에 피며 지름 25mm로서 황백색이고 양순이 있으며 안쪽 양면에 황색 선과 자주색 점이 있다. 수술은 완전한 것이 2개, 꽃밥이 없는 ..

무늬사초

사초과(Cyperaceae) - 무늬사초(Carex maculata Boott) 2024년 7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제주도와 목포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총생하고 높이 20~6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회록색이고 너비 3~5mm로서 3맥이 뚜렷하며 뒷면에 젖꼭지 같은 돌기가 밀생하고 분백색이다. 전체적으로 구리색의 반점이 있으며 특히 잎집의 표면과 영 및 과포에 많고 밑부분의 잎집은 연한 갈색으로서 그물 같은 것이 약간 있다. 소수는 3~4개 곧추서며 윗부분의 것은 밀집하지만 첫째 소수는 떨어져 있고 정소수(頂小穗)에는 간혹 암꽃이 섞이며 선형이고 연한 구리색이다. 측소수는 암꽃뿐이며 첫째 소수의 대는 길고 길이 1~4cm, 지름 3.5mm 정도로서 원주형이다.(참고문..

가는잎억새

벼과(Poaceae) - 가는잎억새(Miscanthus sinensis for. gracillimus Ohwi.) 2024년 7월 5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억새(M. sinensis Anderss.)의 변종으로 잎의 너비가 5mm 정도로 좁다. 다년초로서 높이 1~2m이고 근경은 옆으로 벋는다. 잎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싸고 너비 5mm로서 선형이며 가장자리의 잔 톱니가 딱딱하고 표면은 녹색이다. 꽃은 9월에 피며 화수는 길이 20~30cm이고 중축은 꽃차례 분지 길이의 1/2 이하이다.(참고문헌: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쥐방울덩굴

쥐방울덩굴과(Aristolochiaceae) - 쥐방울덩굴(Aristochia contoria Bunge) 2024년 7월 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지난 3월에는 거꾸로 매달린 낙하산처럼 생긴 방울들이 시들어버린 덩굴에 매달려 있는 모습을 담은 적이 있다. 주머니 속에는 많은 씨가 가득 들어 있는 것도 특이한 모습이다. 예전에 연구실 뒤편의 화단에서 키운 적이 있었다. 그 때는 덩굴만 무성하고 꽃이 안 필 때라 무슨 덩굴인지 몰랐었는데 이번에 확실이 알게 되었다. 언뜻 보아서는 꽃이 핀 것인지 안 핀 것인지도 알기가 쉽지 않다.  산야 또는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전체에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며 심장형 또는 넓은 난상 심장형이고 흰빛이 도는 녹색이며 길이 4~10..

[1차 대전시 경계걷기] 11구간(노루봉-금병산-소문산성-북극점)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대전광역시 경계걷기 제1차 산행 11구간(노루봉-금병산-덕진재-삼성천-금남구측로 고래뜰마을 입구 - 소문산성-극북점) o 산행일자 : 2024년 6월 29일(토) o 교 통 편 : 출발-대전 912번 시내버스/수운교 입구 버스 종점 하차 귀가-대전 73번 시내버스/금탄동 마을회관을 지나 금탄동 버스 종점 승차(15:30분 출발) o 산행시간 : 약 7시간 50분(점심 및 휴식시간 포함) - 수운교 입구 912번 시내버스 종점(07:00) -> 대전둘레산길 7구간 입구(07:14) -> 노루봉(07:54~08:00) -> 금병산(운수봉)(08:20~08:29) -> 연화봉(08:34) -> 옥당봉(둘레산길과 시경계 갈림길)/구룡동 방향 좌측길(08:39) -> 연리지 나무(..

부들

부들과(Typhaceae) - 부들(Typha orientalis Presl.) 2024년 6월 29일 대전광역시 시경계걷기를 하면서 세종시 금남면 박산리 고래뜰마을에서 담았다. 원주형 화수에서 수꽃과 암꽃 사이가 6~20cm 정도 떨어져 있는 애기부들(T. angustata Bory et Chaub)과 달리 수꽃과 암꽃이 바로 붙어 있는 것으로 쉽게 구분이 된다.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이 옆으로 벋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너비5~10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 3~10cm이고 자화수는 바로 밑에 발리며 ..

산수국

범의귀과(Saxifragaceae) - 산수국(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S. et Z.) Wils.) 2024년 6월 29일 대전광역시 시경계걷기를 하면서 유성구 신동 소문산성에서 담았다. 경기도 및 장원도 이남의 산골짝이나 전석지(轉石地)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높이 1m에 달하며 잔가지에 잔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타원형 또는 난형이며 끝이 꼬리처럼 길다. 길이 5~15cm, 너비 2~10cm로서 예리한 톱니가 있고 표면의 축맥과 뒷면의 맥 위에 털이 있다. 7~8월에 가지 끝에 큰 산방화서가 달리며 털이 있고 그 둘레에 있는 무성화는 지름 2~3cm이며 똧받침잎은 꽃잎 같고 3~5개이며 백홍벽색이거나 벽색이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와 더불어 길이 3~4mm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