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 ‘모니카’(Rosa ‘Monica’) 2019년 7월 9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동원의 장미원에서 담았다. 주홍색 꽃이 예쁘고, 직립형 정원 장미이며, 하나의 가지에서 하나의 꽃이 피는 하이브드 티(Hybrid Tea) 교잡종이다. 1985년에 독일 로젠 탄타우(Rosen Tantau)사의 한스 에버스(Hans Jürgen Evers)에 의해 육종되었다. (https://garden.org/..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7.13
장미 ‘루이스 드 퓨네’(Rosa ‘Louis de Funes’) 2019년 7월 9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동원의 장미원에서 담았다. 노란색과 빨간색이 혼합된 주홍색 꽃이 피고, 하나의 가지에서 하나의 꽃이 피는 하이브드 티(Hybrid Tea) 교잡종이다. 1987년 프랑스 마리-루이 메이랑(Marie-Louise Meilland)사에 의해 육종된 후 프랑스의 유명한 코메디언인 루이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7.13
장미 ‘러브’(Rosa ‘Love’) 2019년 7월 9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동원의 장미원에서 담았다. 루비색의 빨간 장미로 꽃잎의 뒷면이 흰색이 일부 돌며, 하이브리드 티(Hybrid Tea)와 플로리분다(Floribunda)의 교잡종으로 꽃 모양과 줄기는 하이브리드 티형이고 줄기에 꽃이 많이 달리는 것은 플로리분다와 같은 그랜디플로..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7.13
장미 ‘라바글루트’(Rosa Lavaglut) 2019년 7월 9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동원의 장미원에서 담았다. 진한 붉은색의 꽃잎이 피며 한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피는 플로리분다(Floribunda) 종이다. 라바글루트(Lavaglut) 장미는 1978년 독일의 코르데스(Kordes)사에서 육종되었다. 코르데스사는 장미 육종으로 유명한 회사로 7,000여점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7.13
장미 ‘에스메랄다’(Rosa ‘Esmeralda’) 2019년 7월 9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 동원의 장미원에서 담았다. Rosa ‘Esmeralda’는 진한 핑크색으로 한 줄기에 여러 개의 꽃이 피는 플로리분다(Floribunda) 종이다. 1957년에 Frank L. Riethmuller에 의해 육종되었다. (https://garden.org/plants/view/703245/Rose-Rosa-Esmeralda-1957/ 참조)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7.13
서양물레나물 물레나물과(Hypericaceae) - 서양물레나물 2019년 6월 27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에서 담았다. 특이한 꽃을 많이 키우는 가게 앞에서 담았다. 중국 원산으로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물레나물과에 속하는 소관목이며, 주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꽃은 노랑색으로 7-8월에 핀다. 잎은 달걀형으로 3~5cm, 폭이 2~3cm정도이다.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6.30
분홍찔레 장미과(Rosaceae) - 분홍찔레 2019년 6월 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도서관 옥상 정원에서 담았다. 찔레(Rosa multiflora Thunber)를 원예종으로 육종한 것인지, 북 아메리카 원산의 야생 장비들인 Rosa Carolina 등을 들여와 재배한 것인지, 북 아메리카 원산인 초원장비(Rosa arkansana) 등의 원예종인지 확..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6.07
마취목(馬醉木)(피어리스) 진달래과(Ericaceae) - 마취목(馬醉木)(Pieris japonica (Thunberg.) D. Don ex G. Don) 2019년3월 23일(토)에 경남 함양군 백무동 시외버스 정류장 근처 식장 입구에서 담았다. 대전광역시 서구문화원에서 주관하는 서람이역사문화탐사 2019년도 1차 탐사를 하는 중에 점심식사를 위해 식당에 들어가는 길목..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3.31
백서향(白瑞香, Daphne kiusiana Miquel) 팥꽃나무과(Thymeleaceae)-백서향(Daphne kiusiana Miquel) 2019년 1월 1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생태학습원에서 담았다. 우리나라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자라는 상록관목으로서 높이가 1미터에 달하며 꽃차례를 제외하고는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도피침형 예두이며 끝이 둔하..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9.01.15
차나무 차나무과(Ternstroemiaceae) - 차나무(Thea sinensis Linnaeus) 2018년 10월 20일 오후에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관에 들렀다. 막 꽃이 피기 시작하는 차나무를 담았다. 중국 원산으로 일본과 인도에 분포하고차 자원으로 들여와 우리나라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제주도 등에서 재식하는 귀화식물..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10.21
금목서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목서(Osmanthus fragrans var. aurantiacus Mak.) 2018년 10월 2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박물관의 생물탐구관에서 담았다. 이곳 생물탐구관은 주로 남부지방 해안가 등의 상록수들을 많이 전시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감탕나무, 구골나무, 은목서로 불리는 목서, 은목서의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10.21
목서(은목서)(2) 물푸레나무과(Oleaceae) - 목서(Osmanthus fragrans Lour.) 2018년 10월 14일에 대전광역시 서구 무궁화아파트 화단에서 담았다. 화단에는 아파트 건립 당시부터 조경회사에서 은목서라고 팻말을 달아 주었다. 주변 아파트에 비해 귀한 나무들을 많이 심은 조경회사라 신뢰가 간다. 은목서는 조경회사..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10.21
죽순대(맹종죽, 반죽) 벼과(Poaceae) -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2018년 9월 15일 대전광역시 서구 문화원에서 주관한 서람이 역사문화 탐방에 참여하여 전북 고창군 고창읍성에 다녀왔다. 고창읍성 내에서 담았다. 고창읍성의 안내문이나 인터넷에서는 맹종죽(孟宗竹)이라 부르고 있었고, 김태정 교수의 식..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9.22
구기자나무 가지과(Solanaceae) - 구기자나무(Lycium chinese Miller.) 일본, 대만, 중국, 우리나라 촌락 부근에서 자생하며 최근에는 전남 진도와 충남 청양 지방 농가에서 재배한다. 부락 근처의 둑이나 냇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 원줄기는 비스듬히 자라면서 끝이 밑으로 처지지만 다른 물체에 기대어 자..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9.11
일본칠엽수(칠엽수) 칠엽수과(Hippocastanaceae) - 일본칠엽수(Aesculus turbinata Blume) 요즘은 칠엽수의 열매가 익어가는 계절이라 일본 칠엽수(Aesculus turbinata Blume)와 서양칠엽수(Aesculus hippocastanum Linnaeus)를 구분하기 좋은 계절이다. 봄에 꽃이 필 때는 화서의 모양이나 꽃 색깔, 잎의 모양 등이 유사하여 구분하기가 쉽..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7.08
뜰보리수나무 열매 보리수나무과(Elaeagnaceae) - 뜰보리수나무(Elaeagnus multiflora Thunberg) 2018년 6월 2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테크노밸리 공단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들여와 각처에서 관상수로 심고 있는 귀화식물이다. 낙엽관목이며 높이 2m 안팎이고 어린 가지가 적갈색 인모로 덮여 있다. 잎은 호생하고 타원형이며 짧은 첨두 또는 둔두이고 예저로서 길이 3-10cm 너비 2-5cm이며 톱니가 없고 표면은 어릴 때 인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은 백색 인모와 갈색 인모가 섞여 있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연한 황색 또는 백색이며 1-2개씩 액생하고 백색 인모와 갈색 인모가 있으며 꽃받침통은 기부가 급히 좁아져서 자방을 둘러 열편과 길이가 거의 비슷하며 열편과 ..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6.21
키위(양다래나무) 다래나무과(Actinidiaceae) - 양다래(Actinidia chinensis Yanggao Yangtao) 2018년 5월 21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노은동에서 담았다. 일본, 중국, 우리나라 각 지방의 산지에서 자생하는 다래나무(Actinidia arguta Planchon)의 원예종 과수나무로, 키위라 불리며 과수농가에서 재배하고 열매가 크다. 낙엽관목으로..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5.23
서울 경부 고속버스터미널 옆 화단의 오죽과 시누대 2018년 4월 28일(토)에 친구 차남 혼사에 서울에 가는 길에 서울 경부고속도로 옆의 화단에 심어진 오죽과 시누대가 눈에 들어 왔다. 아깝게도 오죽은 지난 겨울에 죽었고 시누대는 파릇하게 잎을 유지하고 있었다. 대나무가 자생하는 북방한계선이 태안반도와 추풍령, 대관령을 잇는 기후..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4.29
붉은칠엽수(red buckeye) 무환자나무과(Sapindaceae) - 붉은칠엽수(Aesculus pavia Linnaeus.) 2018년 4월 22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수년 전부터 이름을 몰라 궁금했는데 대전 한밭수목원 홈페이지를 통해 붉은칠엽수이고 영문명은 Red buckeye 임을 알게 되었다. 한밭수목원 담당자께 감사드립니다. 미국 미주리..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4.27
황금색으로 빛나는 금사철나무 노박덩굴과(Celastraceae) - 금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Thunberg for. aureo-varlegata Rehder) 2018년 4월 22일 대전광역시 한밭수목원에서 담았다. 원래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Thunberg)는 일본, 중국 및 우리나라 황해도 이남지방에서 자생한다. 상록관목이며 높이 3m 안팎이고 소지는 녹색이며 털이 없고 능.. 꽃들의 모습/[원예종 목본]꽃들 2018.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