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3

해파랑길 28코스(나곡해수욕장-호산버스정류장)와 29코스 일부(호산버스정류장-임원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28코스(나곡해수욕장 - 호산버스정류장)와 29코스 일부(호산버스정류장-임원항) o 일 자: 2023년 10월 15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28코스: 부구삼거리↔3.2km↔나곡교↔2.8km↔고포항↔6.1km↔호산버스정류장 - 29코스: 호산버스정류장↔8.6km↔임원항 o 28코스 요약 - 나곡교(11:11) -> 나곡IC입구에서 우회전(11:19) -> 이보혁 휼민유애비(11:40) -> 나곡6리 삼거리에서 직진(11:42) -> 도화동산(11:52) -> 경북-강원도 경계(12:08) -> 자유수호의탑(12:09) -> 정수 레미콘(12:13) 갈령재 임도 시작점(12:14) -> 임도와 능선길 갈림길(12:2..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는 유성온천 소공원

2023년 10월 14일에 국화전시회를 준비하고 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의 모습이다. 유성구 유림공원과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열리는 국화전시회이다. 미리 보는 국화전시회이다. 많은 국화 화분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오늘(2023년 10월 14일)은 2023년 실버페스티벌이 열리는 날이다. 여러 부스들이 설치되어 있고, 13시 30분부터 14시까지는 미스트롯 가수 강혜연이 출연한다고 한다.

아스타(Aster)

국화과(Asteraceae) - 아스타(Aster) 2023년 10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소공원에서 담았다. 유성온천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느라 화단에 식재하고 있는 아스타를 담았다. 아스타(Aster)는 다년생 초본으로 쑥부쟁이 등 국화과 참취속(Aster) 식물을 총칭하는 이름이지만, 다양한 꾳 색깔을 갖는 겹꽃으로 육종한 여러 가지 품종을 원예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정확한 종명은 찾지 못했다. 우리의 국화와 함께 가을의 정원을 수 놓는 예쁜 꽃이다.

카렌 암스트롱의 『신의 역사』를 읽다.

카렌 암스트롱(Karen Armstrong) 지음, 배규원·유지황 옮김(2023), 『신의 역사 - 신의 탄생과 정신의 모험』, 서울: 교양인, 초판1쇄 2023.7.31. 초판2쇄 1023.8.21. 2023년 10월 12일에 카렌 암스트롱의 『신의 역사』를 읽었다. 이희수 교수의 『인류본사』를 읽은 후 또 다른 역사책을 읽었다. 이 책은 1993년에 발간된 카렌 암스트롱(Karen Armstrong)의 『A History of God』를 번역한 책이다. 원문의 책 이름이 “A History~”일까라는 점과 1993년에 발간된 책을 2023년에서야 30년만에 번역본이 나왔을까라는 점이 궁금하여 734쪽의 두꺼운 책을 읽었다. 저자 카렌 암스트롱은 영국의 세계적인 종교학자로 소개되고 있다. 1962년 1..

흰꽃여뀌

마디풀과(Polygonaceae) - 흰꽃여뀌(Persicaria japonica (Meisn.) H. Gross) 2023년 10월 1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60~100cm이고 근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며 밑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다소 두껍고 길이 7~12cm, 너비 1~2cm로서 자장자리 근처의 뒷면 맥 위에 거센 털이 있다. 잎집 같은 턱잎은 맥이 있으며 막질이고 끝이 거의 수평하며 연모는 길이 8~15mm로서 딱딱하다. 수상화서는 원줄기 끝에서 몇 개가 나오고 길이 7~12cm로서 처지며 꽃은 2가화로서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화피는 백색이지만 열매를 둘러싸고 있는 것은 녹백색이며 수술은 8개이고 포기에 따라 암술..

갈퀴나물

콩과(Fabaceae) - 갈퀴나물(Vicia amoena Fisch.) 2023년 10월 11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역 근처 운중천에서 담았다. 들에서 자라는 다년생 덩굴식물로서 지하경이 벋으면서 번식하고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길이 80~180cm 정도 자라며 줄기는 능선이 있어서 네모가 지고 잎 뒷면과 더불어 잔털이 있거나 없다. 잎은 호생하고 짝수 우상복엽으로서 10~16개의 소엽과 더불어 극히 짧은 잎자루가 있고 끝이 2~3개로 갈라진 덩굴손으로 된다. 소엽은 장타원형 또는 피침형이며 길이 15~30mm, 너비 4~10mm로서 끝에 돌기가 약간 있다. 꽃자루는 길이 2~7cm로서 액생하고 꽃차례는 길이 4~8cm로서 한쪽으로 치우쳐서 많은 꽃이 총상으로 달리며 꽃은 6~9월에 피고 길이 ..

영주 무섬마을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8일에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10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 부석사, 무섬마을에 다녀왔다. 네 번째 답사지로 경북 영주시 문수면 무섬로234번길 31-12(문수면 수도리 222)에 있는 무섬마을을 돌아보고 외나무다리를 건너는 체험을 하고 왔다. 얼마 전에 내린 큰비로 다리가 떠내려 가서 유실되었으나, 다행히 10월 7일과 10월 8일 양일간에 개최되는 무섬외나무 다리축제를 위해 재설치가 되었다고 하여 가볼 수 있었다. 나로서는 사진으로만 보던 무섬마을을 직접 가보게 되어 기뻤다. 무섬마을로 들어가는 통로가 외나무 다리만 있는 줄 알았더니 큰 길에서 무섬마을로 들어가는 수도교가 따로 있었다. 수도교를 지나 무섬마을로 들어가니 문화관광해설사께서 기다리고 계셨다. 무섬..

영주 부석사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8일에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10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 부석사, 무섬마을에 다녀왔다. 세 번째 답사지로 경북 영주시 부석면 부석사로 345(북지리 148)에 있는 부석사(浮石寺)에 다녀왔다. 10여년 전에 문화유산답사 활동으로 다녀왔고 2022년 3월에 다녀온 후 다시 찾았다. 언제 찾아도 포근한 사찰이다. 부석사는 대한불교조계종 16교구 본사인 고운사(孤雲寺)의 말사이며, 2018년 6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신라 문무왕 6년(676년)에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한다. 676년에 의상대사가 중국 유학 후 수도처로 삼아 안주하다가 입적할 때까지 계시던 사찰이다. 우리나라 화엄종의 본찰로 초조인 의상대사 이래 그 전법 제자들에 의해 거대한 ..

영주 선비촌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8일에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10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 부석사, 무섬마을에 다녀왔다. 두 번째 답사지로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96 (청구리 357번지)에 있는 선비촌에 다녀왔다. 영주 선비촌은 영주시 일원에 있는 조선시대의 전통 가옥을 복원하고 생활상을 재현하여, 유교문화를 직접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영주시에서 지은 테마파크이다. 소수서원에 인접해 있고 숙박 체험도 가능하며 입구에는 저잣거리라 하여 한식당과 중식당 등이 있다. 선비촌의 공간 구성은 수신제가(修身齊家), 거무구안(居無求安), 입신양명(立身揚名), 우도불우빈(憂道不憂貧)으로 나누어져 있다. 자세한 설명은 지난 해에 올린 글(https://agindoll.tistory.com/586..

영주 소수서원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8일에 한밭문화원에서 주관하는 10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소수서원, 영주 선비촌, 부석사, 무섬마을에 다녀왔다. 첫 번째 답사지로 경북 영주시 순흥면 소백로 2740(내죽리 152-8)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사액(賜額) 서원인 소수서원(紹修書院)에 다녀왔다. 10여년 전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유산답사 활동으로 다녀온 후 지난해(2022년) 3월에 돌아본 후 이어 다시 찾았다. 이번에는 문화관광해설사께서 설명을 자세히 해주셔서 다시 공부가 되었다. 소수서원은 억불숭유 정책을 시행하던 조선시대에 유교 사교육 기관으로 건립되었다. 남북조시대 통일신라에서 건립된 숙수사 절터에 건립된 서원이다. 2019년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서원 9곳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할 때 당연..

영평사 구절초 축제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영평사길 124(장군면 산학리 438)에 있는 장군산 영평사(永平寺)에 다녀왔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의 말사로 6동의 문화재급 전통건물과 3동의 토굴을 갖춘 대한민국전통사찰 제78호의 수행도량이다. 대전광역시와 세종시 일원에서 구절초로 유명한 절인데도 말로만 듣고 가보지 못하다가 처음으로 시간을 내어 가보았다. 대전광역시 도시철도 종착역인 반석역에서 세종시 시내버스 1004번 버스로 갈아탄 후 첫마을 6단지에서 내려 52번 버스로 갈아타고 다녀왔다. 영평사 입구 버스정류장에서 내리니 영평사까지는 약 1km 정도 걸어가야 했다. 마침 오늘이 구절초 축제가 시작되는 날이라 셔틀버스가 운행되고 있었지만, 걸어갔다가 돌아올 때도 걸어왔다. 둥근잎나팔..

호박

박과(Cucurbitaceae) - 호박(Cucurbita moschata Duchesne)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맷돌 모양의 둥근 호박이 익어가고 있다. 호박엿과 호박떡으로 겨울 동안 우리의 간식거리였던 호박이 울타리에서 자라고 있어서 담았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이며 1년생 덩굴식물로서 덩굴은 5각형이고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덩굴손으로 감으면서 자라지만, 개량된 것은 덩굴성이 아닌 것도 있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 또는 신장형이고 가장자리가 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에 톱니가 있다. 꽃은 1가화로서 6월부터 서리가 내릴 때까지 계속 피고 황색이며 잎겨드랑이에 1개씩 달린다. 수꽃은 꽃자루가 길며 꽃받침통이 얕고 열편의 기부가 꽃부리에 ..

들깨

꿀풀과(Lamiaceae) - 들깨(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우리들이 즐겨 먹는 들깻잎을 외국인들은 먹지 않는다고 한다. 라면에 들깻잎을 송송 썰어 고명으로 올려 먹으면 깻잎향이 입 안에 퍼지며 라면 맛을 한층 높여주는 좋은 식품을 왜 안 먹을까 궁금하다. 요즘 들깨가 익어가고 있다. 들깻잎의 강한 향기가 나는 들깨밭에서 담았다. 동남아시아 원산으로 1년초로서 흔히 재배하고 있으며 높이 60~90cm이고 4각이 지며 곧추 자라고 긴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며 난상 원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고 길이 7~12cm, 너비 5~8cm로서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

부들

부들과(Typhacea) - 부들(Typha orientalis Presl)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연못가와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옆으로 뻗고 백색이며 수염뿌리가 있다. 원줄기는 원주형이고 높이 1~1.5m로서 털이 없으며 밋밋하다. 잎은 선형이고 길이 80~130cm, 너비 5~15mm로서 털이 없으며 밑부분이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7월에 피고 웅화수(雄花穗)는 윗부분에 달리며 길이 3~10cm이고 자화수(雌花穗)는 바로 밑에 달리며 길이 6~12cm이고 화수에 달린 포는 2~3개로서 일찍 떨어진다. 꽃에는 화피가 없으며 밑부분에 수염 같은 털이 있고 수꽃은 황색으로서 꽃가루가 서로 붙지 않는다. 암꽃은 소포가 없으며 씨방에 ..

둥근잎유홍초

메꽃과(Convolvulaceae) - 둥근잎유홍초(Quamocilit angulata Bojer)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마치 둥근잎나팔꽃 덩굴 속에서 피어난 유홍초(Q. pennata Bojer)로 알았는데 잎이 둥근잎이다. 유홍초는 잎이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다. 어떻게 잎은 둥근잎나팔꽃과 같고 꽃은 유홍초와 같게 진화했을까 궁금하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의 1년생 덩굴식물로서 관상용으로 재배하고 있으며 덩굴은 나팔꽃처럼 길게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상 원형이고 끝이 갑자기 좁아져서 뾰족해지며 밑부분의 양쪽 귀밑이 흔히 뾰족한 각으로 된다. 꽃은 8~9월에 피고 황홍색이며 잎겨드랑이에..

둥근잎나팔꽃

메꽃과(Convolvulaceae) - 둥근잎나팔꽃(Pharbitis purpurea Voigt) 2023년 10월 7일(토)에 세종시 장군면 영평사 들어가는 길에서 담았다. 열대아메리카산 1년초로서 나팔꽃처럼 생겼으나 잎이 갈라지지 않는 것이 다르다. 요즘은 주변에서 잎이 갈라지는 나팔꽃(P. nil Chois)을 보기가 더 힘들다. 온통 둥근잎나팔꽃이 우점하고 있다. 이러다 예전부터 보아오던 나팔꽃은 보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덩굴성이며 왼쪽으로 감아올려 가면서 1.5m 정도 자란다. 잎은 호생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형으로서 톱니가 없고 길이 7~13cm이다. 꽃은 여름철에 잎겨드랑이에 5개 내외씩 달리며 자주색, 담홍색 또는 흰색이다. 꽃받침잎은 5개이고 짧은 털이 있다. 꽃부리는 길이 5~8..

2023 계룡軍문화축제에 다녀왔다.

2023년 10월 6일 오후에 충남 계룡시 계룡대 활주로에서 2023년 10월 6일부터 10월 10일까지 5일 동안 열리는 2023 계룡軍문화축제에 다녀왔다. 오늘은 행사 첫째날이고 평일이라서 주로 각 대학의 군사학 계통 관련 학과 학생들과 여러 곳의 여성 예비군 분들이 많았다. 오후 4시부터 실시된 공군의 블랙이글스(Balck Eagles) 에어쇼가 멋지게 펼쳐졌다. 야외전시장에는 차륜형 장갑차, 단거리지대공 유도무기 천마, 패트리어트, 단거리 대전차 유도무기 현궁, 지뢰제거차량 코불소 등이 전시되어 있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는 해라고 한국군의 장비와 미군들의 장비가 나란히 전시되고 있었다. 특히 사단급에 배치되는 야전병원이 인상적이다. 냉난방장치가 되어 있고 X-레이 촬영, 수술대까지 갖춰져 있..

갑천변 그라운드 골프장의 잔디

2023년 10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갑천변에 있는 그라운드 골프장의 잔디가 깨끗하게 손질되어 있는 모습이 너무 예뻐서 담았다. 주로 60대 후반 이후의 회원들이 동호회를 만들어 즐기는 그라운드 골프장이다. 파크 골프와도 조금 다른 생활체육의 하나이다. 그라운드 골프장 잔디를 유성구청에서 정기적으로 깍아 준다고 한다.

고마리

마디풀과(Polygonaceae) - 고마리(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2023년 10월 4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변에서 담았다. 들이나 물가에서 자라는 덩굴성 1년초로서 길이 1m에 달하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밑을 향한 가시가 달리며 털이 없다.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윗부분의 것은 잎자루가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7cm, 너비 3~7cm이다. 중앙열편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측열편은 서로 비슷하게 옆으로 퍼지고 밑부분이 심장저이며 짙은 녹색이고 털이 약간 있으며 윤채가 없다. 잎자루는 흔히 날개가 있고 뒷면 맥 위와 더불어 미을 향한 잔가시가 있으며 잎집은 길이 5~8mm로서 가장자링 짧은 털과 더불러 흔히 소엽 같은 것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8~9월에 피고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