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0

삼척시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9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2코스를 걷기 시작하기 전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덕산리 119-5에 있는 덕봉산(德峰山, 54m) 해안생태탐방로와 산 정상에 있는 전망대를 둘러보았다. 덕봉산 해안생태탐방로는 삼척시내와 가까운 맹방해수욕장과 덕산해수욕장 사이에 위치해 있다. 덕봉산은 2021년 4월에 삼척시에서 관광객 유치를 위해 개장한 곳이다. 덕산해변에서는 모래톱을 걸어서 접근이 가능하고, 맹방해수욕장 쪽에서는 외나무다리를 건너야 한다. 지난 여름에 태풍으로 외나무다리가 유실되었다가 최근에 다시 개설되었다. 덕봉산은 1968년 울진ㆍ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이 발생한 뒤 경계 철책을 설치하면서 일반인 출입이 금지되었던 곳으로 군 경계 철책의 ..

삼척시 공양왕릉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9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1코스를 걷기 시작하기 전에 강원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 178번지에 있는 고려 마지막 왕인 공양왕릉에 다녀왔다. 궁촌레이바이크역 주차장에서 바라보면 보이는 능이다. 공양왕릉은 두 곳이 있다. 문화재청의 국가문화유산포털에서 공양왕릉을 검색하면 두 곳이 올라온다. 이곳 삼척시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산65-1번지에도 있다. 고려가 망하면서 슬픈 역사를 간직한 왕릉이다. 문화재청의 국가문화유산포털의 공양왕릉 소개글에 따르면,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재위 1389∼1392)은 이성계 등에 의해서 즉위한 이름뿐인 왕이었다. 조선 건국 직후에 원주로 추방되었다가 1394년(태조 3년)에 삼척부 즉, 지금의 삼척시..

해파랑길 31코스(공양왕릉 입구 – 덕산해변 입구)와 32코스 일부(덕산해변 입구-한재인증센터)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1코스(공양왕릉 입구/궁촌레일바이크역 – 덕산해변 입구/맹방해수욕장 입구)와 32코스(덕산해변 입구/맹방해수욕장 입구-한재인증센터) o 일 자: 2023년 11월 19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31코스: 공양왕릉 입구↔6.4km↔재동소공원↔3.4km↔덕산해변 입구/맹방해수욕장 입구 ※32코스 스탬프 찍는 곳: 맹방해수욕장 입구 팔각정 옆 - 32코스(일부): 덕산해변 입구/맹방해수욕장 입구↔3.7m↔상맹방해변↔2.9km↔한재인증센터 o 트레킹 요약 - 31코스: 공양왕릉 둘러보기(11:39~11:45) -> 공양왕릉 입구/궁촌레일바이크역 출발(11:46) -> 사래재(12:00) -> 근덕로터리 직진(12:17)..

도킨스의 『확장된 표현형』을 읽다.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장대식·권오현 옮김(2022), 『확장된 표현형』, 서울시: (주)을유문화사, 초판1쇄 2004.7.30., 전면개정판 1쇄 2016.6.30., 리커버판 1쇄 2022.10.30. 2023년 11월 18일(토)에 그동안 조금씩 읽어오던 리처드 도킨스의 『확장된 표현형』을 마저 읽었다. 이 책은 Richard Dawkins(1982, 1999)의 『The Extended Phenotype』을 번역한 책이다. 지난번에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으면서 저자가 제13장에서 이 장은 『확장된 표현형』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 몇 가지를 기초한 장이라고 말하며, 실은 지금 당장 이 책을 접고 『확장된 표현형』을 읽으라고 권하고 있었다. 마침 도서관에 책이 비치되어 있어서 빌려 읽게 ..

대전에 첫눈이 내린 날 아침 풍경

2023년 11월 18일(토) 아침에 일어나 보니 아파트 주차장의 차들 위에 하얀 눈이 쌓여있다. 대전에서 올겨울에 내린 첫눈이다. 아파트 풍경도 담아보고 국화전시회가 끝난 유성온천 소공원의 국화에 내린 눈도 담아보았다. 2023년 1월에도 눈이 왔을 테지만, 올겨울의 첫눈이 내린 날의 설레임과 즐거움을 잊지 않고자 담아보았다.

진주시 월아산 청곡사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2일 대전 한밭문화원의 1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남 진주시 금산면 월아산로1440번길 138(금산면 갈전리 18)에 있는 월아산 청곡사에 다녀왔다. 청곡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2교구 본사인 해인사(海印寺)의 말사이다. 해인사 홈페이지 말사 소개 글에 따르면 신라 헌강왕 5년(879년)에 연기조사 도선국사께서 창건하였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진주 남강변에서 푸른 학이 이곳으로 날아와 앉으니 도선국사가 성스러운 기운이 충만한 곳이라 하여 절터를 잡았다고 한다. 학이 찾아온 다리라는 뜻을 가진 사찰 입구의 방학교는 바로 이런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임진왜란(1592) 때 완전히 불타 없어졌던 것을 조선 광해군 4년(1612) 포우대사가 다시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

진주시 진양호 전망대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2일 대전 한밭문화원의 1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로 1번길 96-6(판문동 산 171-1)에 있는 진양호공원에 있는 전망대에 다녀왔다. 진주성 관람을 마치고 경상국립대학교 후문 근처 식당에서 식사를 마친 후 진양호공원으로 향했다. 우악정 정자가 있는 주차장에서 내려 편백나무 숲길을 따라 걸어 올라가면 전망대에 도착한다. 넓은 호수와 댐을 볼 수 있고 멀리 지리산 천왕봉까지 보이는 명소이다. 왜 진주시에 있는 댐인데 진주호가 아니고 진양호일까? 네이버에게도 물어봐도 답이 없다. 공원에 도착하여 주차안내하시는 분에게 여쭤보니 “진양에 있기 때문에 진양호란다.” 알고보니 이곳은 예전에 진양군이었다 한다. 지금은 진주시에 편입되어 없어진 지명이지만 댐에 건설될 때는 진양군이..

국립진주박물관에 다녀오다

2023년 11월 12일 대전 한밭문화원의 1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35(남성동 169-17)에 있는 국립진주박물관에 다녀왔다. 현재 경남 진주성 안에 있으나 2027년쯤이면 옛 진주역 일원으로 이전할 계획으로 현재 설계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국립진주박물관은 1984년 11월 2일에 가야문화 연구를 위하여 문을 열었다고 한다. 1998년부터는 임진왜란 주요 격전지인 진주성 내에 위치한다는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임진왜란과 동아시아’라는 주제로 특성화하여 전시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임진왜란 관련 유물들을 중심으로 전시하고 있다. 입구에서 도슨트 분의 설명을 들으며 관람하였다. 조선과 명이 일본의 침략에 맞서 7년여에 걸쳐 싸운 국제전의 전개과정과 영향 등을 당시 무기와..

촉석루가 있는 진주성을 다녀오다

2023년 11월 12일 대전 한밭문화원의 1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경남 진주시 남강로 626(본성동, 진주성)에 있는 진주성을 둘러보았다. 진주성 북문인 공북문(拱北門)에서 문화관광해설사님을 만나 충무공 김시민 장군 동상, 쌍충사적비, 촉석루, 의기사, 의암에 관한 해설을 들으며 둘러보았고, 국립진주박물관을 관람하였다. 진주성관리사업소의 진주성 안내 리플렛을 보면 진주성은 임진왜란 3대 대첩(大捷, 크게 이기는 것) 중의 하나인 진주대첩의 현장이자 임진왜란 최대 격전지라고 소개하고 있다. 사적 118호로서 남강변 절벽 위에 세워진 진주성은 진주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유적지이다. 문화재청의 소개자료에 따르면, 진주성은 진주의 역사와 문화가 집약되어 있는 진주의 성지(聖地)이다. 원래 토성이던 것..

초곡용굴촛대바위길을 다녀오다.

2023년 11월 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0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236-4에 있는 초곡용굴촛대바위길을 다녀왔다. 삼척시 관광안내지도에 소개된 글을 옮기면, “초곡 해안은 용이 승천했다는 전설과 6·25의 아픔을 간직한 용굴과 그 일대의 아름다운 괴암괴석이 어우러져 해금강이라는 애칭을 가진 곳으로 그동안 접근로가 없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야만 볼 수 있었던 해안 절경을 출렁다리, 전망대 등이 조성된 야외탐방로(660m)를 통해 가까이서 감상할 수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파도가 바위에 부딪혀 만들어 내는 하얀 포말도 보고, 기암절벽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와 해국 등을 볼 수 있는 절경이다. 이곳 초곡촛대바위는 추암촛대바위와 함께 ..

황영조기념공원과 기념관을 다녀오다.

2023년 11월 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0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도 삼척시 근덕면 초곡길 176에 있는 황영조기념공원과 황영조기념관을 다녀왔다. 1992년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마라톤으로 금메달을 딴 마라톤 국가대표 황영조 선수의 인간 승리 과정과 우승의 감격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기념공원이다. 바르셀로나 올림픽 스타디움이 있던 몬주익 언덕이라는 이름이 붙여진 언덕 위에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고, 바로 옆에 기념관이 있다. 초곡항은 마라톤 금메달리스트인 황영조 선수의 고향이다. 황영조 기념공원에는 황영조 선수가 뛰는 형상의 조형물이 있고 초곡항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전망대도 있다. 바로 옆에는 있는 황영조 기념관에는 황영조 선수에 관한 자료들과 ..

해파랑길 30코스(장호초등학교/용화레일바이크역-궁촌레일바이크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0코스(장호초등학교/용화레일바이크역-궁촌레일바이크역) o 일 자: 2023년 11월 5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용화레일바이크역↔3.1km↔황영조기념공원↔3.9km↔궁촌레일바이크역 o 코스 요약 - 장호초등학교(13:31) -> 용화레이바이크역(13:35) -> 솔뫼펜션에서 좌회전(13:42) -> 삼거리에서 개천따라 좌회전(13:47) -> 삼척로(13:52) -> 말굽재 정자(14:02) -> 삼거리에서 초곡항 방향 우측길(14:15) -> 황영조기념관/기념공원(14:30)/점심식사 및 관람 후 출발(15:01) -> 초곡항에서 해파랑길을 벗어나 초곡용굴촛대바위길 구경(15:08~15:32) -> 초곡항으로 ..

해파랑길 29코스(임원항-용화레이바이크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29코스(임원항-장호초등학교/용화레이바이크역) o 일 자: 2023년 11월 5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호산버스정류장↔8.6km↔임원항입구↔5.7km↔아칠목재↔4.0km↔장호초등학교/용화레일바이크역(금회 임원항 입구에서 출발) o 코스 요약: - 임원항입구(11:11) -> 임원초교(11:21) -> 임원1교 건너 검봉산자연휴양림 방향 좌회전(11:23) -> 임원역(11:41) -> 검봉산 자연휴양림 갈림길(12:04) -> 산불감시초소(12:22) -> 아칠목재(12:34) -> 용화교(13:20) -> 장호초등학교 정문(13:27) ※30코스 스탬프 찍는 곳: 장호초등학교 정문 앞 □ 트레킹 후기 2023년..

『신, 만들어진 위험』을 읽다.

리처드 도킨스 지음, 김명주 옮김(2021), 『신, 만들어진 위험』, 경기도 파주시: 김영사, 초판1쇄 2021. 2. 1. 초판5쇄 2021.2. 26. 2023년 11월 1일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신, 만들어진 위험』을 읽었다. 이 책은 2019년에 발간된 『Outgrowing God』를 번역한 책이다. ‘Outgrowing’은 너무 커버려 쓸모없게 된이라는 뜻이니, 직역하면 너무 커버려 쓸모없게 된 신이라는 뜻이다. 신은 인간이 만든 것이라는 도킨스 교수의 무신론을 피력한 책이다. 기독교인들에게는 무척 껄끄러운 책이고 사탄의 유혹에 넘어간 자의 오만이라고 비난할 수도 있는 책이다. 이 책은 머리말이 없는 책으로 “나는 엄청나게 많은 하늘의 신, 강의 신, 바다의 신, ..

2023년 제16회 육군M&S국제학술대회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30일(월)과 31일(화) 이틀 동안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6회 육군M&S국제학술대회 2일차에 다녀왔다. 카이스트(KAIST) AI대학원 김재철 교수가 “생성형 AI와 설명가능 인공지능의 새로운 기회들”이라는 주제로 튜토리얼 강의가 있어서 다녀왔다. 인공지능 기술을 제조업에서 어떻게 적용하는지 궁금했었는데 강의를 듣고보니, 응용분야가 많았다. 포스코의 스마트 고로 제어 등과 같이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제조업에 적용하고 있음을 알았다. 대표적인 스마트 공장을 등대공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도 부끄럽지만 처음 알았다. 설명가능 인공지능이어야 중요 시설에 대한 제어 등에 적용할 수 있겠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수많은 뉴럴 네트워크로 이루어지는 딥러닝 모델에서 어떻..

십자고사리

면마과(Aspidiaceae) - 십자고사리(Polystichum tripteron (Kunze) Presl.)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잎자루 아래 부분에서 세 갈래로 갈라져 십자 모양을 형성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습기가 있는 숲속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근경은 짧고 곧으며 잎이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이 10~40cm로서 연한녹색이거나 볏짚색이고 밑부분에 갈색이 돌며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드문드문 달리고 잎새는 2회우상복엽이다. 첫째 우편이 길게 발달하여 십자형으로 되기 때문에 십자고사리라고 한다. 정우편은 길이 20~45cm, 너비 5~10cm로서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소우편은 낫같이 굽은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앞쪽 밑부분에 돌기가 ..

관중

면마과(Aspidiaceae) - 관중(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2023년 10월 29일(일)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서 담았다. 그늘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굵고 곧은 근경에서 잎이 윤생한다. 굵은 근경 끝에서 잎이 총생하는 고비과의 꿩고비(Osmunda cinnamonea var. fokiensis Copel.)와 달리 관중은 잎이 윤생하고 잎자루에 인편이 밀생하여 구분이 된다. 잎은 길이 1m 내외, 너비 25cm에 달하며 잎자루는 잎새보다 훨씬 짧고 중축과 더불어 인편이 밀생한다. 인편은 윤채가 있으며 황갈색 또는 흑갈색이고 밑부분의 것은 길이 2cm 정도로서 가장자리에 돌기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좁아지며 작아진다. 잎새는 도침형으로서 우상으로 깊게 갈라지고 ..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 다녀오다

□ 산행 개요 o 산행지 :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남교리탐방지원센터-응봉폭포) o 산행일자 : 2023년 10월 29일(일) o 교통편 : 산악회 관광버스 □ 산행 후기 2023년 10월 29일(일)에 설악산 십이선녀탕계곡에 다녀왔다. 2009년에 한계령에서 대승폭포까지 서북능선을 탄 후로 십이선녀탕계곡을 가보지 못해 아쉬웠는데 마침 OO산악회에서 십이선녀탕계곡을 간다고 해서 신청했으나 너무나 실망스러웠다. 계곡 초입만 맛보기로 구경하고 돌아온 셈이다. 매번 지나치던 남교리 탐방지원센터를 가본 것만으로 만족해야 했다. 설악산국립공원 남교리탐방지원센터에서 출발하여 응봉폭포를 지나 복숭아탕 1.2km 표지팻말이 있는 곳까지 갔다가 되돌아와야 했다. 등산보다는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산악회를 따라 가다 보니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