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3

강릉 조철현 가옥을 둘러보다.

2024년 2월 28일(일)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서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8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구정면 범일로 267-11(구정면 학산리 354번지)에 있는 강릉 조철현(曺喆鉉) 가옥을 둘러보았다. 구정면 학산리 어단천 옆에 자리잡고 있는 고택이다. 대문간채가 없이 -자형의 안채와 사랑채가 ㄷ자형을 이루고 문과 담장이 연결되어 ㅁ자형 가옥이다. ㅁ자형의 집안으로 들어가는 구조라 그런지 대문이 없고 흙과 기와로 조성된 담장 앞에 조성된 화단에는 삼지닥나무 여러 그루가 큰 포기를 이루고 있었다. 많은 꽃봉오리를 맥조 있는 모습이 멋지다. 마침 입구에서 만난 아주머니 말씀으로는 밑에서 올라오는 삼지닥나무 가지들이 많아 이 동네 많은 집에 나누어 주셨다고 한다. 아주머니의 허락을 받..

해파랑길 38코스(오독떼기전수회관-솔바람다리)에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8코스(오독떼기전수회관-솔바람다리) o 일 자: 2024년 2월 18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오독떼기전수회관↔9.2km↔모산봉↔3.2km↔중앙시장↔7.6km↔솔바람다리 o 코스 요약 - 오독떼기전수회관(10:47) -> 조철현 가옥(11:04) -> 어단천 학산교(11:08) -> 강릉 만성고택(정의윤 가옥)(11:12) -> 학산교로 되돌아 나와 천변길로 좌회전(11:21) -> 학산1리회관(11:24) -> 철로 밑 지나 좌회전(11:27) -> 고갯마루에서 숲길로 우회전(11:32) -> 숲길 사거리에서 좌측길로 급 좌회전(11:47) -> 관동대 드론실습장(11:50) -> 장현저수지(11:51) -> 장현저..

김민식(2017), 『영어 책 한권 외워봤니?』를 읽다.

김민식(2017), 『영어 책 한권 외워봤니?』, 경기도 고양시: (주)위즈덤하우스 미디어그룹, 초판1쇄 2017. 1. 11. 2024년 2월 14일에 오랜만에 영어 공부를 위한 팁을 제공하는 김민식 PD의 『영어 책 한권 외워봤니?』를 읽었다. 이 책은 우연히 해파랑길을 오고가는 차 안에서 정년퇴임 하신 교장 선생님께서 읽으시는 것을 보고 서명이 재미 있어서 메모해 두었던 책이다. 마침 도서관에서 대출이 가능하여 빌려 보게 되었다. 저자 김민식은 놀랍게도 영어 교육자가 아니다. 저자 소개글에 따르면, 1987년 한양대학교 자원공학과에 입학했고, 1995년 한국외대 통역대학원에 입학했다가 1996년에 MBC 방송국 공채로 들어가 PD로 활동하고 2020년에 퇴직한 후 지금은 여행을 즐기며 글을 쓰는 분..

민희식(2007), 『법화경과 신약성서』를 읽다.

민희식(2007), 『법화경과 신약성서』, 서울: 도서출판 블루리본, 초판1쇄 2007. 4. 29. 초판3쇄 2012. 2. 15. 2024년 2월 12일에 민희식 교수의 『법화경과 신약성서』을 읽었다. 설 명절 연휴에 『묘법법화경』을 읽으며 경전의 기술방법 등이 신약성서의 내용을 떠올리게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데, 도서관에서 『법화경』 관련 책을 검색하다가 이 책을 빌려 읽게 되었다. 저자 민희식 교수는 서울대 불문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마치고 동 대학에서 외국인 교수로 재직한 비교종교학을 전공하신 분이다. 저자는 “불교 문화와 기독교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위해 연구결과를 이 책을 통해 밝히게 되었다.”고 책 머리에서 말하고 있다. 기독교 창시자인 예수의 생애는..

박혜경(1996), 『법화경 총설』을 읽다.

박혜경(朴慧耕)(1996), 『법화경 총설』, 서울: 도서출판 삼양, 불기 2540(1996)년 9월 14일 발행. 2024년 2월 11일 설 명절 휴일 동안에 무설정사 주지 스님이신 혜경 스님의 『법화경 총설 (영원한 생명의 노래)』를 읽었다. “영원한 생명의 노래”라는 부제가 멋지다. 설 명절 연휴 전에 한글본 『묘법연화경』을 읽으며 의아했던 점들을 풀기 위해 연휴 첫날에는 페이융(2015)의 『인생이 한결 홀가분해지는 법화경 마음공부』를 읽었고, 조금 미진하여 혜경 스님의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법화경』에 대해서 많은 의문이 풀렸고 왜 수많은 사람들이 독송하고, 필사하며 믿음을 굳건히 하는지를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스님은 “이 『법화경』은 ‘믿음’에 의해서 비로소 들어갈 수..

페이융(2019), 『법화경 마음공부』를 읽다.

페이융(費勇) 지음, 허유영 옮김(2019), 『인생이 한결 홀가분해지는 법화경 마음공부』, 서울: 유노컨텐츠그룹주식회사, 1판1쇄 2019. 5. 7. 1판7쇄 2022. 2. 7. 2024년 2월 9일 설명절 휴일 첫날에 페이융(費勇)(2015)의 『下抑郁活法 – 實踐版: 法華經修心課』을 번역한 『인생이 한결 홀가분해지는 법화경 마음공부』를 읽었다. 전날까지 한글본 『묘법연화경』을 읽으며 의아했던 점들을 풀기 위해 읽었다. 페이융(費勇)은 중국의 대표적인 불경 연구자로 1990년부터 불경을 연구하기 시작한 분이다. 『법화경』은 천태종의 근본 경전으로 산스크리트어로는 삿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Saddharma Pundarika Sutra)이다. 이 책은 『법화경』 자체의 해설보다는 책 제목에서 알 수 ..

광우 역편(1993),『묘법연화경』을 읽다.

광우 역편(1993), 『묘법연화경』, 서울: 민족사, 초판 1993. 9. 25. 2024년 2월 8일에 우리말로 번역된 『묘법연화경』을 읽었다. 그동안 불자라고 자처하면서도 불경을 읽지 않았던 것을 인식하고 이제라도 주요 경전들을 읽기로 하였다. 지난 1월 말에 『금강경』과 『반야심경』을 읽은 후 이번에는 어머니께서 생전에 읽으시던 『묘법연화경』을 꺼내 읽었다. 내가 『묘법연화경』이 『법화경』인 줄도 모르던 시절에 어머니께서 틈틈이 읽으셨던 기억이 난다. 경전을 꺼내 읽다 보니 예전에 내가 메모했던 것들이 보였다. 그런데도 전혀 읽었던 기억이 없었다. 『묘법연화경』은 중국의 구마라집 스님께서 번역한 경전이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열반경』을 제외하고 가장 늦은 시기에 말년에 설하신 경전이다. 에서도 ..

강릉 굴산사지를 둘러보다.

2024년 2월 4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7코스를 걸으며, 37코스에 포함되어 있는 강릉 굴산사지를 다녀왔다. 굴산사지는 강원도 강릉시 구정면 학산리 597번지 일원에 있다. 강릉시로 편입되기 전에는 강원도 명주군 구정면 학산리였다. 굴산사(崛山寺)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하대의 9산선문(九山禪門) 중의 하나인 사굴산문의 중심 사찰이다. 굴산사는 신라 문성왕 13년(851년)에 범일국사(梵日國師, 810∼889)가 창건한 사찰이다. 일부 학자들은 851년 이전에 이미 설립된 절이라는 설도 주장하고 있다. 굴산사의 역사 및 폐사 연대는 정확히 전해지지 않고 있다. 1936년 홍수로 6개의 주춧돌이 노출되었고, 이때 정주교(鄭胄敎)가 ‘闍掘山寺(사굴산사)’라는 글씨가..

해파랑길 37코스(안인해변-오독떼기전수회관)에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7코스(안인해변-능선숲길-오독떼기전수회관) o 일 자: 2024년 2월 4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37코스: 안인해변↔9.5km↔능선숲길↔6.5km↔오독떼기전수회관 o 코스 요약: - 안인해변/괘방산 등산로 입구(10:55) -> 철길 위의 안인일출교를 건넘(10:58) -> 안인항/돛단배 조형물(11:03) -> 철도 굴다리(11:05) -> 안진2리 해변 쪽으로 우회전(11:08) -> 강 건너 안인화력발전소를 보면서 농로를 따라 걸어 군선강 강변길 도착(11:12) -> 군선교(11:23) -> 안장교(11:34) -> 모전1교(11:43) -> 동해대로 밑을 지나 우회전(11:45) -> 강동초교(11:47)..

법상 지음,『반야심경과 마음공부』를 읽다.

법상(2017), 『반야심경과 마음공부(개정신판)』, 서울: 도서출판 무한, 초판1쇄 2017. 4. 28. 초판2쇄 2018. 8. 6. 2024년 1월 29일에 도문 스님의 제자이신 법상 스님께서 지은 『반야심경과 마음공부(개정신판)』을 읽었다. 남회근 선생의 『금강경 강의』를 읽다보니 『심경』에 관한 언급이 많아 이 책을 읽게 되었다. 마침 월평도서관에 책이 비치되어 있어서 읽게 되었다. 『심경(心經)』이란 핵심이 되는 경전, 범어로는 《흐릿다야 수트라(Hrdaya Sūtra)》, 마음의 경, 진수의 경, 심장의 경이라고 해석하는 경우가 많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전체 뜻은 ‘위대한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는 길을 설한 핵심이 되는 경전’이라는 뜻이다. 저자이신 법상 스님께서는 서문에서 “이 책에서..

남회근 선생의 『금강경 강의』를 일독하다.

남회근 지음, 신원봉 옮김(2008), 『금강경 강의』, 서울: 부키(주), 초판1쇄 2008. 11. 14., 초판 9쇄 2022. 11. 14. 2024년 1월 20일에 남회근 선생의 『금강경 강의』를 일독하였다. 이 책의 내용은 남회근 선생이 대만에서 여러 차례 행했던 『금강경』 강의 중 1980년의 강의를 기록한 책이다. 강의 대상은 시방서원(十方書院)의 학생과 대학의 철학과 학생 및 대학원생이었다고 한다. 유교, 도교, 불교 등 동양학 분야의 해박한 지식으로 명쾌하게 강의해 주시는 남회근 선생의 저서들을 읽으면 얻는 바가 정말 많다. 2024년에 들어와 읽기 시작하여 제32품과 총결론까지 일독하였다. 서두에서 남회근 선생은 “『금강경』은 동양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천 여년 이래 ..

해파랑길 36코스를 율곡로를 따라 걷고 등명낙가사를 둘러보다.

2024년 1월 21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6코스를 해파랑길을 벗어나 율곡로를 따라 등명낙가사까지 걸었다. 당초 계획으로는 35코스를 금진항에서 출발하여 바다부채길을 따라 걸은 후, 정동진역에서 괘방산을 거쳐 안인해변에 도착하는 36코스를 걸을 계획이었으나, 바다부채길이 폐쇄되어 35코스 산길을 걷다 보니 시간이 부족하여 포기하게 되었다. 35코스 종점이며 36코스 입구인 괘방산 등산로 입구에 도착하니 벌써 14:00가 되어 눈길로 괘방산을 넘으면 산악회 약속시간을 맞추지 못할 것 같아 포기하게 되었다. 지난 2022년 8월에 다녀갔던 등명낙가사를 둘러보기로 하였다. 율곡로를 따라 등명낙가사로 가는 길에 강릉 함정전시관 등을 지나며 북한 잠수함을 담아 보았다. ..

해파랑길 35코스(한국여성수련원-금진항-정동진역)에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8구간(강릉 구간) 35코스(한국여성수련원-금진항-정동진역) o 일 자: 2024년 1월 21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35코스: 한국여성수련원↔3.5km↔금진항↔2.1km↔심곡항↔5.2km↔정동진역 o 코스 요약: 금진항에서 정동진항까지 8.3km - (한국여성수련원에서 금진항까지는 지난 34코스 트레킹 때 걸었기에 금일 트레킹은 금진항에서 출발) 금진항(11:32) -> 합궁골(11:45) -> 심곡항 삼거리(12:05) -> 심곡리 마을회관(12:06) -> 포장도로(헌화로)/심곡리 입구 표지석(12:18) -> 헌화로 고개를 넘자마자 왼쪽 산길로 좌회전(12:20) -> 정동진 1.1km 이정표(13:09) -> 정동진항(13:40..

철원역사문화공원에 다녀오다.

2024년 1월14일 한밭문화원 2024년도 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강원도 철원군 철원읍 금강산로 262(철원읍 사요리 366-1)에 있는 철원역사문화공원에 다녀왔다. 6·25 한국전쟁의 흔적이 생생하게 남아 있는 철원 노동당사 앞 쪽 공간에 조성된 공원으로 철원역사문화전시관을 비롯하여 1930년대 철원읍 시가지 모습을 재현해 놓고 있다. 6·25 한국전쟁 전까지 5년여 동안 북한 지역이었던 철원을 방문할 때마다 넓은 철원평야에 놀라고, 아직도 중간중간에 남아 있는 지뢰매설지역의 철조망을 보면서 놀란다. 한국전쟁 말기 휴전협정이 한창일 때 한탄강 주변으로 펼쳐진 넓은 곡창지대인 이곳 철원평야를 차지하기 위해 많은 분이 전쟁에서 산화하셨다. 머리가 저절로 숙여지는 고장이다. 바로 뒤에는 그 유명한 백마고..

철원 도피안사에 다녀오다.

2024년 1월 14일(일)에 한밭문화원 2024년도 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강원도 철원군 도피동길 23(동송읍 관우리 423)에 있는 도피안사에 다녀왔다. 도파안사(到彼岸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3교구 본사인 신흥사의 말사이다. 철원 쪽에 갈 때마다 국보인 철조비로자나좌상을 보러 가보고 싶었는데, 차일피일 미루다 이번 기회에 가게 되었다. 1985년까지는 민통선 지역이라 민간인 출입이 안되어 갈 수 없던 절이다. 강원도 철원군 화개산에 자리잡은 도피안사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경문왕 5년(865년)에 도선대사가 창건하였다. 기록에 의하면 도선대사가 철조비로자나불을 만들어 철원의 안양사(安養寺)에 모시려고 했으나, 운반 도중에 불상이 없어져서 찾아보니 도피안사 자리에 앉아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이곳에 ..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잔도)에 다녀오다.

2024년 1월 14일(일)에 한밭문화원 2024년도 1월 문화탐방에 참여하여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군탄리 산 174-3에 있는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에 다녀왔다. 철원군 문화관광 홈페이지의 소개글에 따르면, 2020년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등재된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에 위치한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은 총 연장 3.6km, 폭 1.5m로 한탄강의 대표적인 주상절리 협곡과 다채로운 바위로 가득한 순담계곡에서 절벽을 따라, 절벽과 허공 사이를 따라 걷는 잔도로 아찔한 스릴과 아름다운 풍경을 동시에 경험하는 “느낌있는 길!”이다. 예전부터 가보고 싶었던 곳인데 마침 한밭문화원에서 문화탐방지로 잡아 주셔서 다녀올 수 있었다. 한탄강 잔도로 잘 알려진 철원 한탄강 주상절리길은 드르니 매표소와 순담 매표소에서 ..

묵호등대와 논골담길 벽화마을에 다녀오다.

2024년 1월 7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4코스를 걷는 중에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해맞이길 289(묵호진동 2-541)에 있는 묵호등대해양문화공간에 다녀왔다. 1968년 정소영 감독의 영화 ‘미워도 다시 한 번’ 촬영지를 기념하기 위해 조성된 문화공간이다. 이곳에는 하얀 등대인 묵호등대와 묵호등대 전망대, 도째비골 스카이밸리 스카이워크 등이 있고, 올라가는 길에 조성된 논골벽화마을이 있다. 도째비는 도깨비의 사투리이다. 묵호항 수변공원 건너편에서 시작하는 등대오름길을 따라 올라가면 묵호등대와 전망대 등이 있다. 묵호등대가 있는 작은 동산에는 많은 집들이 들어서 있고, 등대오름길, 논골1길, 논골2길, 노골3길로 조성되어 있는 동네길에는 많은 벽화들이 그려져..

해파랑길 34코스(묵호역-한국여성수련원) 및 35코스 일부(한국여성수련원-금진항)에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34코스(묵호역-한국여성수련원)과 8구간(강릉 구간) 35코스 일부(한국여성수련원-금진항)를 다녀오다. o 일 자: 2024년 1월 7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34코스: 묵호역/오복수퍼↔1.3km↔묵호항 수변공원↔3.8km↔대진항↔2.9km↔망상해변↔6.7km↔한국여성수련원(금회에는 수변공원에서 출발) - 35코스: 한국여성수련원↔3.5km↔금진항 o 코스 요약 - 34코스: 묵호역 삼거리/오복수퍼 -> 묵호항 수변공원(11:21) -> 등대오름길입구(등대슈퍼&펜션 옆 골목)(11:24) -> 묵호등대 해양문화공간/묵호등대 전망대/묵호등대(11:31) -> 도째비골 해랑전망대(11:54) -> 까막바위/문어상(1..

진 트웬지(2017), 『#i세대』를 읽다.

진 트웬지(Jean Twenge)(2017), 김현정 옮김(2018), 『#i세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자란 요즘 세대 이야기』, 서울시: 매경출판(주), 초판1쇄 2018. 7. 16. Jean M. Twenge, 『i GEN』, Atria Books, 2017. 2023년 12월 31일 진 트웬지(Jean Twenge)의 『i GEN』을 번역한 『#i세대 스마트폰을 손에 쥐고 자란 요즘 세대 이야기』를 읽었다. 원서의 서명은 간단한데 번역본의 서명은 해시태그(#)가 앞에 붙고 기다란 부제가 붙어 있다. 저자는 1995년 이후에 태어나 휴대폰과 함께 자랐으며 인터넷이 존재하기 이전의 세상은 기억조차 못하는 세대를 i 세대로 정의하고 있다. 1965년부터 1979년까지 사이에 태어난 X 세대가 부모인 세..

수운교 천단과 법회당을 둘러보다.

2023년 12월 27일(수) 회사에서 월례회의를 마친 후 오후에 금병산 산행을 마치고 내려와서 도솔천 현판이 걸려 있는 수운교 천단과 수운교 법회당 등을 둘러보았다. 도솔천 천단 건물은 교주 이상룡이 설계하고 경복궁을 중수한 도편수 최원식 선생이 맡아서 1929년에 건축한 건물이다. 전면 3칸 측면 2칸 팔작지붕 다포식 건물이다. 외 9포 내 12포의 다포식 건물로 화려하고 웅장하여 볼 때마다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수운교(水雲敎)는 동학을 일으킨 수운 최제우를 교조로 하여 하느님을 숭배하는 동학 종교의 하나로 유불선(儒佛仙) 합일 종교이다. 한때 교세가 왕성하여 서울에 본부를 두었으나 교조 문제로 천도교와 의견 차이가 생겨난 후 1925년에 이곳 충남 대덕군 탄동면 추목리(현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