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0

『이기적 유전자』를 읽다.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이상임 옮김(2018), 『이기적 유전자』, 서울: (주)을유문화사, 초판1쇄 1993.11.15., 40주년기념판 1쇄 2018.10.20. 2023년 10월 29일에 리처드 도킨스(Richard Dawkins)의 『이기적 유전자』를 읽었다. 예전에 읽은 후 도서관에서 40주년기념판이 있는 것을 알고 다시 읽게 되었다. 이 책은 “Richard Dawkins(1989), 『The Selfish Gene : 40th Anniversary Edition, Fourth Edition』”를 번역한 책이다. 『The Selfish Gene』은 초판이 1976년에 발행된 후 1989년과 2006년에 각각 제2판과 제3판이 발행되었고 2016년에 40주년기념판으로 발행되었다. 진화생물학..

청계사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25일(수)에 회사 직원들과 함께 청계산 산행을 마치고 청계사로 내려와서 그동안 와보고 싶었던 청계사를 참배할 수 있었다. 근처에 살고 있는 고교 동창 친구가 가끔 와불 사진을 포함한 청계사 사진을 올려 주어서 꼭 와보고 싶었는데 오늘 연이 닿아 오게되었다. 청계사(淸溪寺)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인 용주사(龍珠寺)의 말사로 경기도 의왕시 청계로 75(청계동 산11)에 있다. 청계사 홈페이지 사찰 소개에 따르면, 청계사는 정확한 창건 연도는 확실히 알 수가 없다고 한다. 봉은사의 사적을 기록한 봉은본말사지(奉恩本末寺誌)에는 신라 때 창건되었다는 내용이 있으나, 구체적 근거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사찰 경내에 있는 석등과 부도 일부는 신라 때 것으로 추정되므로 신라시대의 ..

청계산 산행

□ 산행 개요 o 산행지 : 청계산(청계산입구역-원터골입구-돌문바위-매봉-망경대-석기봉-청계사-공영주차장) o 산행일자 : 2023년 10월 25일(수) o 교통편 : - 가는편: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 하차 - 오는편: 청계산 주차장에서 10번 마을버스 탑승/인덕원역 하차 o 산행시간 : 약 4시간 40분 - 청계산입구역(10:11) -> 원터골입구(10:21) -> 매봉-옥녀봉 갈림길(10:26) -> 길마재 정자(11:03) -> 헬기장(11:30) -> 돌문바위(11:40) -> 매바위(11:49) -> 청계산 매봉(582m)(11:53)/점심식사후 출발(12:15) -> 혈읍재(12:32) -> 청계산 조망대(12:52) -> 석기봉 갈림길(13:21) -> 청계사(13:55)/청계사 참배후 출발..

괭이밥

괭이밥과(Oxalidaceae) -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innaeus) 2023년 10월 23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천에서 담았다. 잎을 따먹으면 시큼한 맛이 있어서 어릴 때 자주 따 먹던 풀이다. 각처의 빈터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원뿌리가 깊이 땅속으로 들어가고 그 위에서 많은 대가 나와 옆으로 또는 위로 향해 비스듬히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길이 10~30cm이다. 잎은 호생하고 긴 잎자루 끝에 3개의 소엽이 옆으로 퍼져 있으나 광선이 없을 때는 오므라든다. 소엽은 도심장형이고 길이와 너비가 각각 1~2.5cm로서 가장자리와 뒷면의 원줄기와 더불어 털이 약간 있다. 봄부터 가을까지 잎겨드랑이에서 긴 꽃자루가 곧추 나와 그 끝에 1~8개의 꽃이 산형으로 달리며 꽃은 ..

꽃향유

꿀풀과(Lamiaceae) - 꽃향유(Elsholtzia splendens Nakai) 2023년 10월 21일 금오산 도립공원 등산을 하면서 경북 구미시 원남동 산 33-1번지 금오산 정상 바로 밑에 있는 약사암에서 담았다. 높은 곳에서 자라서 그런지 키는 그리 크지 않았으나 꽃은 화려하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가 60cm에 달하고 원줄기는 4각형이며 잎자루와 더불어 굽은 백색 털이 줄로 돋아 있다. 잎은 대생하고 난형이며 잎자루로 흐르며 길이 1~7cm, 너비 0.8~4cm로서 양면에 털이 드문드문 있고, 특히 맥 위에 많으며 뒷면에 선점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며 많은 꽃이 빽빽하게 한쪽으로 치우쳐서 수상(穗狀)으로 달리고 꽃차례(花序)는 길이 2~5cm로서 ..

금오산 마애여래입상과 오형돌탑을 둘러보다.

2023년 10월 21(토) 금오산 등산하면서 경북 구미시 남통동 산33 번지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과 오형(烏亨)돌탑을 둘러보았다. 금오산 정상을 먼저 올라갔다가 약사암을 둘러보고 약사암 화장실 옆으로 나 있는 길로 가면 만날 수 있다. 절벽의 바위면을 깎아 만든 높이 5.5m의 고려시대 마애여래입상으로, 암벽의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양쪽에 입체적으로 조각된 특이한 구도를 보여준다. 문화재청의 문화유산포탈에 소개된 자료에 의하면, 구미 금오산 마애여래입상은 금오산 정상 북쪽 아래의 자연 암벽에 조각되어 있으며, 높이는 5.5m이다. 자연 암벽 모서리의 튀어나온 부분에 좌우를 나누어 입체적으로 불상을 조각했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 입상은 크게 광배(光背), 불신(佛身), 연화 대좌(蓮華臺座..

금오산 약사암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21(토) 금오산 등산하면서 경북 구미시 원남동 산 33-1번지에 위치한 약사암(藥師庵)에 다녀왔다. 금오산 현월봉(懸月峰)이라는 표지석이 있는 정상에서 조망을 구경하고 조금 내려와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내려가면 약사암이다. 약사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직지사 홈페이지에 있는 말사 소개 자료에 따르면, 약사암은 산상(山上) 의 암벽 아래 위치한 신라 고찰이다. 이곳으로부터 조금 떨어진 암벽에는 신라시대의 마애여래입상이 있다. 약사암 중수기에 따르면 지리산의 삼불(三佛) 을 금산(金山), 즉 김천의 삼성암(三省庵) 과 성주(星州) 의 수도암(修道庵), 그리고 이곳 금오산(金烏山) 약사암에 분안(分安) 하였다고 한다. 약사암은 처음 도인 박유술(朴有述)이 석봉대(..

금오산 해운사와 도선굴에 다녀오다.

2023년 10월 21(토) 금오산 등산하면서 경북 구미시 금오산로 434-1(원남동 산94번지)에 있는 해운사(海雲寺)에 다녀왔다. 경북 구미시 원남동 금오산 중턱에 위치한 해운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본사인 직지사의 말사이다. 신라말 도선국사(827~898)이 개창하면서 대혈사(大穴寺)라 하였고, 창건 이후 수차에 걸친 중건과 중수가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된 채 오랫동안 복구되지 못하다가 1925년 철화 스님이 사찰을 복원하면서 사명을 해운사(海雲寺) 라 하였다고 한다. 현 건물은 1978년부터 1984년에 걸친 현 주지 성화 화상에 의하여 중수되었는데, 이때는 고(故) 박정희(朴正熙) 대통령이 금오산과 해운사를 둘러보고 해운사 중수를 위한 특별헌금을 희사하여 대웅전, 삼성각 등이 복원되었고,..

구미 채미정을 둘러보다.

2023년 10월 21(토) 구미시 금오산에 올라가기 전에 경북 구미시 금오산로 366 (남통동 249)에 있는 구미 채미정(龜尾 採薇亭)을 둘러보았다. 채미정은 금오저수지를 지나 금오산 등산로로 진입하는 입구에 있다. 금오산로 366이라는 도로명 표지가 붙어 있는 다리를 지나 흥기문(興起門)으로 들어서면 우측에 채미정 정자가 있다. 이 건물은 야은(冶隱) 길재(吉再, 1353~1419) 선생의 충절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하여 조선 영조 44년(1768)에 건립한 정자이다. 야은 선생은 고려시대인 1386년에 진사시에 급제하고 성균관 박사를 거쳐 고려시대 문서와 기록을 맡아보던 종칠품 벼승인 문하주서(門下注書)에 올랐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 왕조가 들어서면서 두 왕조를 섬길 수 없다 하여 벼슬을 마다하고 ..

금오산 도립공원에 다녀오다.

□ 산행 개요 o 산행지 : 경북 구미시 금오산 도립공원(제3금오교-금오저수지-채미정-관리소-도선굴-대혜폭포-현월봉 정상-약사암-마애여래입상-오형돌탑-대혜폭포-금오저수지-구미역) o 산행일자 : 2023년 10월 21일(토) o 교통편 : 구미역 후면 광장에서 도보로 이동하여 금오천 도착을 추천) - 가는편: 구미역 도착 후 구미 340번 시내버스/푸르지오캐슬B단지 정류장 하차 - 오는편: 구미역 출발 o 산행시간 : 8시간 35분 - 금오천 입구/푸르지오캐슬B단지 옆 제3금오교(10:07) -> 금오저수지 둑방(10:30) -> 채미정 입구(10:56) -> 탐방안내소(11:17) -> 케이블카 타는곳(11:20) -> 금오산성 대혜문 -> 해운사(11:48 도착; 12:10 출발) -> 도선굴(12:..

박미옥 지음, 『형사 박미옥』을 읽다.

박미옥 지음(2023), 『형사 박미옥』, 경기도 파주시 (주)문학동네, 초판 발행 2023. 5. 3. 2023년 10월 19일에 『형사 박미옥』을 읽었다. 본인의 실명을 걸고 책을 발행한 저자의 자신감과 책 속에 스며있는 저자의 따뜻한 인간미가 철철 넘치는 책이다. 박미옥 형사는 경북 영덕에서 태어나 순경 공채 시험에 합격하여 경찰이 되신 후 형사가 되어 탈옥수 신창원을 검거하는 데 기여하여 경위가 되셨다고 한다. 여성 최초의 여성 강력반장과 강력계장 등을 역임하고 2021년 서귀포경찰서 형사과장을 끝으로 명예퇴직을 하신 후 지금은 제주도에서 살고 계시는 분이다. 책 전체가 저자의 이야기인 책의 말미에 특별히 ‘작가의 말’이 에필로그로 수록되어 있다. 박미옥 형사는 본인을 위로하고 스스로에게 되묻는 ..

유림공원 국화 분재 특별전

2023년 10월 19일 점심 식사 후에 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림공원에 가서 국화 분재 특별전을 구경하였다. 유성구와 유성국화분재연구회에서 주관하는 특별전시장이 마련되어 있다. 천막을 치고 파란 하늘색 가림막을 배경으로 국화 분재들이 전시되어 있다. 국화를 바위나 고목에 붙여 키운 국화 분재들이다. 아하! 국화도 이렇게 키울 수가 있구나라고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보통은 국화 줄기가 겨울이 되면 말라서 죽게 되는데 여기에 전시되고 있는 국화들은 하나같이 나무처럼 목질화된 줄기에 꽃을 피우고 있다. 어떻게 이렇게 키웠을까 궁금하다. 이처럼 멋진 작품을 키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정성을 쏟았을까라는 생각을 하면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온갖 정성을 드려 국화를 키우시고 우리에게 즐거움을..

솔새

벼과(Poaceae) - 솔새(Themeda triandra var. japonica Makin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1960년대에 우리나라 대부분의 산들이 민둥산이던 시절에 산림녹화를 위해 방학 숙제로 풀씨를 모아야 할 때 가장 인기 있던 풀이다.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70~100cm이고 뿌리에서 많은 잎과 줄기가 총생한다. 잎은 뿌리에서 돋은 잎과 줄기에 달린 잎의 두 가지가 있으며, 길이 30~50cm, 너비 3~8mm로서 가장자리가 뒤로 말리고 뒷면은 분백색이며 밑부분에 긴 털이 있다. 잎혀는 얇고 길이 1~3mm로서 길게 갈라지고 잎집에 퍼진 털이 있다..

산박하

꿀풀과(Lamiaceae) - 산박하(Isodon inflexus (Thynb.) Kudo)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산지에서 흔히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40~100cm이고 가지가 많으며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백색 털이 있다. 잎은 대생하고 삼각형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갑자기 좁아져서 잎자루로 흘러 날개같이 되며 길이 3~6cm, 너비 2~4cm로서 양면 맥 위에 드문드문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고 큰 꽃차례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꽃받침잎은 좁은 삼각형이다..

만수국아재비(청하향초)

국화과(Asteraceae) - 만수국아재비(Tagetes minuta Linnaeus)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경북 울진군 북면에서 담았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르면, “지난날 경북 영일군에서 이것의 이름을 무엇으로 하는 것이 좋겠느냐기에 청하를 따라 많이 자라고 향기로움을 지니고 있으므로 청하향초라고 하면 좋겠다고 하여 이 이름이 정해졌다. 그 후 꽃이 만수국과 비슷하다고 하여 만수국아재비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고 한다. 현재는 주로 경북 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외래종이며, 잎과 꽃봉오리는 천수국 또는 만수국으로 불리는 메리골드를 닮았으나, 꽃은 아주 작은 꽃들이 산방상으로 달린다. 향기가 많아 ..

구절초

국화과(Asteraceae) -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에서 담았다. 붉은 꽃이 예뻐서 올린다. 구절초는 높이가 50cm 내외에 달하는 다년초로서 지하경이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하고 산구절초와 비슷하지만 잎이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가장자리가 1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측열편은 흔히 4개로서 장타원형이고 가장자리가 다소 갈라지거나 톱니가 있다. 꽃은 9~10월에 피고 두화는 지름이 8cm에 달한다. 꽃은 원줄기와 가지 끝에 달리고 보통 백색이지만 붉은빛이 도는 것도 있다.(참고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

개쑥부쟁이

국화과(Asteraceae) - 개쑥부쟁이(Aster ciliosus Kitamura) 2023년 10월 15일(일)에 대전 한겨레산악회를 따라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의 첫 코스인 28코스를 걸으며 갈령재에서 담았다. 건조한 곳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5~50cm이고 세로줄과 털이 있다. 밑부분의 잎은 꽃이 필 때 쓰러지며 난형 또는 난상 타원형이고 길이 5~6cm, 너비 2.5~3.5cm로서 밑으로 흐르고 가장자리에 톱니와 더불어 털이 있으며 잎자루가 있다. 줄기에 달린 잎은 좁고 긴 타원형이며 다닥다닥 달리고 끝이 둔하며 길이 6~8cm, 너비 10~20mm로서 밑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져서 잎자루처럼 되고 양면이 모두 거칠며 윗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가지의 잎은 길이 10..

해파랑길 28코스(나곡해수욕장-호산버스정류장)와 29코스 일부(호산버스정류장-임원항)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7구간(삼척~동해 구간) 28코스(나곡해수욕장 - 호산버스정류장)와 29코스 일부(호산버스정류장-임원항) o 일 자: 2023년 10월 15일(일) o 교통편: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코스 개요 - 28코스: 부구삼거리↔3.2km↔나곡교↔2.8km↔고포항↔6.1km↔호산버스정류장 - 29코스: 호산버스정류장↔8.6km↔임원항 o 28코스 요약 - 나곡교(11:11) -> 나곡IC입구에서 우회전(11:19) -> 이보혁 휼민유애비(11:40) -> 나곡6리 삼거리에서 직진(11:42) -> 도화동산(11:52) -> 경북-강원도 경계(12:08) -> 자유수호의탑(12:09) -> 정수 레미콘(12:13) 갈령재 임도 시작점(12:14) -> 임도와 능선길 갈림길(12:2..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는 유성온천 소공원

2023년 10월 14일에 국화전시회를 준비하고 있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 소공원의 모습이다. 유성구 유림공원과 유성온천 소공원에서 열리는 국화전시회이다. 미리 보는 국화전시회이다. 많은 국화 화분들이 자리를 잡고 있다. 오늘(2023년 10월 14일)은 2023년 실버페스티벌이 열리는 날이다. 여러 부스들이 설치되어 있고, 13시 30분부터 14시까지는 미스트롯 가수 강혜연이 출연한다고 한다.

아스타(Aster)

국화과(Asteraceae) - 아스타(Aster) 2023년 10월 1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로 소공원에서 담았다. 유성온천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느라 화단에 식재하고 있는 아스타를 담았다. 아스타(Aster)는 다년생 초본으로 쑥부쟁이 등 국화과 참취속(Aster) 식물을 총칭하는 이름이지만, 다양한 꾳 색깔을 갖는 겹꽃으로 육종한 여러 가지 품종을 원예가에서 재배하고 있다. 정확한 종명은 찾지 못했다. 우리의 국화와 함께 가을의 정원을 수 놓는 예쁜 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