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4

해파랑길 9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 2구간(울산 구간) 9코스(일산해변-정자항) o 일 자 : 2022년 11월 6일(일) o 교통편 :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일산해변-(2.9km)-현대예술공원-(4.9km)-주전봉수대-3.5km-주전해변-7.8km-정자항 o 트레킹 시간 : 약 5시간(점심식사 포함) - 일산행정복지센터 앞 소공원에서 좌회전(10:45) -> 홈플러스 사거리(방어진순환도로) 우회전 -> 현대중공업 담장따라 진행 -> 현대예술공원(11:18) ->안산 사거리에서 우회전(11:50) -> 한국프랜지 사거리에서 좌회전(11:53) -> 동부회관 지나 장승삼거리 전방에서 오른쪽 숲길로 우회전(12:00) -> 남목체육소공원에서 봉대산(189.8m) 쪽으로 진행(12:05) -> 남목마성 사거..

옥천 경율당

2022년 10월 30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1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안남면 종미리 미산마을에서 담았다. 정면 4칸, 측면 두칸의 팔작지붕으로 지어진 서당 건물이다. 1735년(영조 11년)에 경율 전후증(全后曾)이 후학을 가르치기 위해 마을 입구에 세운 서당이다. 용마루에 있는 장식 기와에서 한자로 옹정 13년(1735년)이라는 글이 있어서 건립 연대가 확실한 건물이다. 경율 전후증 선생은 율곡 선생을 존경하여 자신의 호를 경율당이라 하고, 서당 이름도 경율당이라 지었다고 한다. 경율당 벽에 걸려 있는 짚으로 만든 물건의 이름을 몰라 궁금해서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문이 열릴 때 문고리가 벽을 때리지 않도록 하는 일종의 도어 스토퍼(Door Stopper)라고 한다. 선조들의 지혜가 놀랍다. 참고로 대청..

맨드라미

비름과(Amarantaceae) - 맨드라미(Celosia cristata Linne.) 2022년 10월 30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12구간에서 담았다. 키가 40cm 안팎으로 작고 꽃대가 무척 커서 많은 꽃들이 달려 있는 것으로 봐서 원예용으로 육종한 품종인 것 같으나 정확한 원예종 이름은 알 수 없었다. 관상용으로 심고 있는 일년초로서 높이 90cm 정도까지 자라는 일반종은 아니다. 풍성한 꽃이 인상적이다.

가시박

박과(Cucurbitaceae) - 가시박(Sicyos angulatus Linnaeus) 2022년 10월 30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12구간을 걸으며 옥천군 금강변에서 담았다. 늦은 가을에 많은 말벌이 꿀을 따고 있어서 붕붕거리는 소리가 나고 덩굴과 잎이 오이처럼 생겨서 덩굴을 들쳐 보니 도꼬마리 열매처럼 생긴 열매가 달려 있어서 궁금했다. 다음(Daum) 꽃검색을 해보니 가시박이라고 한다. 귀화식물이면서 생태교란종이며 박과(예전에는 오이과라고도 했다) 식물로 오이나 수박, 호박 등을 재배하는 농가에서 접붙이는 대목으로 사용하다 야생으로 퍼진 것으로 추측하고 있었다. 워낙 생장력이 좋아서 근처를 온통 다 점령하고 있었다. 칡넝쿨만큼이나 주변 식물들을 괴롭히고 있다. 이창복 교수의 식물도감에 따르면, 북..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2구간 푸른들비단길(청마리-안남면사무소)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2구간 푸른들비단길(청마리-안남면사무소) o 산행일자 : 2022년 10월 30일(일) o 교 통 편 : 출발-옥천 282번 시내버스(08:20 출발 합금리행) 귀가-안남초교 앞에서 옥천 시내버스(13:00 출발) o 산행 요약 : 3시간 50분 - 청마교(마티마을) 정류장 하차(09:00) -> 청마리 마티마을(12구간 시점)(09:07) -> 청마교(09:17) -> 합금 교차로/합금교(09:50) -> 가덕교(10:17) -> 지수교차로(10:42) -> 평촌삼거리(10:47) -> 음지말 삼거리(11:48) -> 미산 삼거리(11:51) -> 경율당(11:54) -> 종배 마을회관(12:15) -> 종미리 삼거리(12:22) -> 사당..

개맨드라미

비름과(Amarantaceae) -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a Linne.) 2022년 10월 23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원예용으로 재배하여 유성온천 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온천공원에 심어져 있다. 열대 지방 원산으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관상용으로 심고 야생으로 퍼져나가 자라는 일종의 귀화식물이다. 일년생초본으로 높이 40∼80cm이고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또는 좁은 난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8cm, 너비 1∼2.5cm이며 밑부분이 아래로 흘러 엽병이 있거나 없다. 7∼8월에 꽃이 피고 꽃은 연한 홍색이며 양성으로 수상화서는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리고 길이 5∼8cm, 지름 1∼2.5cm이며 피침형 또는 원주형이다. 소..

해파랑길 8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 2구간(울산 구간) 8코스(성내삼거리(염포산 입구)-일산해변(일산행정복지센터)) o 일 자 : 2022년 10월 16일(일) o 교통편 :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트레킹 시간 : 약 4시간 25분(점심식사 포함)(방어진항 둘러보기 제외) - 성내삼거리(염포산 입구)(10:50) -> 체조 후 출발(11:00) -> 염포약수터(폐쇄되어 있음)(11:15) -> 염포산 정상가는 길 삼거리(11:21) -> 울산대교 전망대(11:59) -> 화정 천내봉수대(12:31) -> 방어진배수지(12:41)/점심식사 후 출발(13:03) -> 문현삼거리에서 좌회전/길건너 주유소 쪽으로 진행(13:10) -> 문재사거리에서 길을 건너 우회전(13:14) -> 문재공원(13:15)/휴식..

털머위

국화과(Asteraceae) - 털머위(Farfugium japonicum Kitamura) 2022년 10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서 해파랑길 8코스를 걷는 중에 울산광역시 대왕암공원에서 담았다. 가을이 되어 흐드러지게 피어있는 모습이 장관이다. 우리나라 제주도, 울릉도, 남부지방, 다도해 섬 지방의 해변 숲속에 자생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상록성 다년생초본이며 높이 60cm 안팎이고 전체에 연한 갈색의 면모(綿毛)가 빽빽이 나며,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고 엽병이 있는 잎이 뿌리에서 총생한다. 잎은 신장형(腎臟形)이며 길이 4-15cm, 너비 6-30cm로서 두껍고 윤채가 있으며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9-10월에 꽃이 피고 꽃은 황색이며 화경은 길이 30-75cm 정도로서 곧..

차나무

차나무과(Ternstroemiaceae) - 차나무(Thea sinensis Linnaeus) 2022년 10월 16일에 대전한겨레산악회를 따라서 해파랑길 8코스를 걷는 중에 울산광역시 염포산에서 담았다. 귀한 차나무가 산기슭에 있는 밭의 울타리로 심어져 있었다. 그래도 많은 꽃이 피어 있고 열매도 같이 달려 있어서 멋지다. 중국 원산으로 일본과 인도에 분포하고 차 자원으로 들여와 우리나라 전라남북도와 경상남도, 제주도 등에서 재식하는 귀화식물이다. 상록관목으로 높이 1.5m 안팎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1년지(一年枝)는 갈색이고 잔털이 있으며 2년지(二年枝)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호생하고 피침상 긴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약간 둔한 톱니가 있다. 10-11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지..

제13회 유성국화전시회

2022년 10월 11일과 14일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에 있는 온천공원에서 담았다. 온천공원에서는 지난 2022년 10월 1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유성구청에서 주관하는 제13회 유성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유림공원과 온천공원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고 주 전시장은 유림공원이라 할 수 있지만, 이곳 온천공원은 접근성도 좋고 계룡스파텔 정원에서 산책도 할 수 있어서 좋다. 다양한 종류의 국화들이 전시되고 있고, 수수처럼 생긴 밀렛 퍼플과 빨간 색의 포인세티아, 핑크 물리, 억새풀, 코스모스 등도 같이 자리를 빛내주고 있다.

제13회 유성국화전시 준비과정을 옅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에는 온천공원이 있다. 온천물로 족욕도 할 수 있는 곳이고 계룡스파텔의 넓은 잔디 광장에서 산책도 할 수 있다. 이곳 온천공원에서는 지난 2022년 10월 13일부터 10월 30일까지 유성구청에서 주관하는 제13회 유성국화전시회가 열리고 있다. 유림공원과 온천공원에서 동시에 열리고 주 전시장은 유림공원이라 할 수 있지만, 이곳 유성온천역 근처에 있는 온천공원은 접근성도 좋고 볼거리도 많다. 지난 9월 24일부터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는 과정을 담아 보았다. 꽃봉오리가 맺힌 국화를 전시했었는데 지금은 꽃이 활짝 피었다. 나는 매일 출근하는 길에 국화전시회를 직접 준비하고 있는 담당 공무원을 보게 된다. 국화전시회를 준비하면서 이곳 전시회를 담당하는 어느 여성 담당자의 정성 어린 국화 ..

울산 태화루

2022년 10월 2일(일)에 해파랑길 7코스를 걷는 중에 둘러보았다. 태화강 강변 절벽 위에 세워진 정면 7칸 측면 4칸의 누각으로 임진왜란 전후에 멸실되었다가 400여 년이 지난 2014년 4월에 준공하였다고 한다. 고려시대 건축 양식을 참조하여 주심포 건물에 팔작지붕을 올린 건축 양식으로 지어져 있다. 주심포 건물의 특징인 배흘림기둥을 볼 수 있다. 공포가 기둥 위에만 설치되어 있어서 다포식 건물에 비해 화려함을 뽐내기보다는 단아한 모습을 보여 준다. 팔작지붕의 처마는 조선 말기의 건축 양식에서 보듯이 양쪽 끄트머리가 올라간 형상을 보여 주고 있다. 솟을대문으로 지어진 대문채가 있는 것도 특이하다. 대문채에는 잔치 음식 등을 준비했을 마루가 있고 계단을 통해 태화루로 통하고 있는 점은 밀양의 영남루..

물억새

벼과(Poaceae) -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 Benth.) 2022년 10월 2일 울산광역시 태화강 물억새 군락지에서 담았다. 물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1-2.5m이고 근경이 땅속으로 뻗으면서 군생한다. 잎은 길이 40-80cm, 너비 1-3cm로서 밑부분 표면에 털이 있으며 윗부분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뒷면은 다소 분백색이다. 꽃은 9월에 피며 원추화서는 길이 25-40cm로서 산방상이고 화서축은 원추화서 길이의 1/2 정도이며 마디 부근에 털이 있다. 가지는 길이 20-40cm이고 소수(小穗)는 2개씩 달린다.(인용문헌 : 이창복(2006). 원색대한식물도감 2판. 향문사).

해파랑길 7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 2구간(울산 구간) 7코스(강변 태화강전망대-성내삼거리) o 일 자 : 2022년 10월 2일(일) o 교통편 :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트레킹 시간 : 약 5시간(점심식사 및 국가정원 둘러보기 포함) - 강변 태화강 전망대(10:42) -> 삼호교(11:10) -> 다운동 물레방아(11:21) -> 만회정/태화강국가정원(11:37) -> 대나무숲 강변쉼터(11:51)/점심식사후 출발(12:17) -> 국가정원을 둘러보고 국가정원 동쪽 입구(12:40) ->태화루(12:54) -> 울산교 밑 통과(13:29) -> 내황교(14:10) -> 태화강 물억새 군락지(14:22) -> 아산로 양정1교(14:46) -> 양정2교(15:03) -> 현대차 수출차 부두(15:30)..

밀렛 퍼플 ‘제이드 프린세스’

벼과(Poaceae) - 밀렛 퍼플 ‘제이드 프린세스’(Pennisetum glaucum ‘Jade Princess’) 2022년 9월 30일과 10월 1일 사이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에서 담았다. 유성온천 국화축제를 준비하느라 유성구청에서 식재한 것을 담았다. 현재 식재된 것은 키가 크고 잎과 줄기가 진한 갈색인 밀렛 퍼플 마제스티(Millet Purple Majesty) 품종과 키가 작고 잎이 연한 녹색인 밀렛 퍼플 제이드 프린세스(Millet Purple Jade Princess) 품종이 식재되어 있다. 꽃이 많이 피면 한 번 더 꽃이 핀 사진을 올릴 예정이다. 벼과 일년생 관상식물로 아프리카 원산의 조(粟)의 변종으로 원예종이다. 조(Setaria italica (L.) P. Beauvo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