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4

밀렛 퍼플 마제스티(화초수수, 진주조(珍珠粟))

벼과(Poaceae) - 밀렛 퍼플 마제스티(진주조)(Pennisetum glaucum ‘Purple Majesty’) 2022년 9월 30일과 10월 1일 사이에 대전광역시 유성구 유성온천에서 담았다. 10월 8일부터 시작되는 유성온천 국화 축제를 준비하느라 유성구청에서 식재한 것을 담았다. 인터넷 상으로는 밀렛 퍼플 마제스티(Millet Purple Majesty) 품종과 밀렛 퍼플 바론(Millet Purple Baron)이라는 키가 비슷한 두 품종과 키가 작고 잎이 연한 녹색인 밀렛 퍼플 제이드 프린세스(Millet Purple Jade Princess)이 소개되고 있다. 현재 식재된 것을 보면 제이드 프린세스는 구분이 쉽지만 마제스티와 바론은 식별하기 어렵다. 여기서는 키가 크고 바론에 비해 분..

구미공단 낙동강변

2022년 9월 27일에 구미공단으로 출장 가는 길에 담았다. 지난 2019년 8월에도 구미공업단지 조성기념비를 소개한 적이 있다. 예전엔 모래사장이 보이던 낙동강변은 구미보에서 물을 가두고 있어서 물이 꽉 차있다. 지금은 강 건너 공업단지가 더 커지고 구미공업단지의 중심지가 되었다고 한다. 구미공업단지 조성비는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로 금오산 기슭의 쓸모없는 낙동강변 350만평을 전자공업단지를 조성한 것을 기념하여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1973년 9월 30일자의 박정희 대통령의 친필이 있다.

나도송이풀

현삼과(Scrophulariaceae) - 나도송이풀(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erg) Kanitz) 2022년 9월 25일 대청호오백리길 11구간에서 담았다. 2010년에 금남정맥(물한이재-양정고개) 산행중에 만난 적이 있었다. 그 때도 꽃과 잎이 예뻐서 야생화이지만 원예종으로 재배해도 좋을 듯한 품종이라고 포스팅 한적이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반기생식물이며 높이 30-60cm로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잎과 더불어 부드러운 섬모가 빽빽히 난다. 잎은 대생하고 엽병이 있으며 세모진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길이 3-5cm, 너비 2-3.5 cm이고 우상으로 길게 갈라지며, 열편은 불규칙하게 갈라지고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8-9월에 꽃이 피고 꽃은..

옥천군 청마리 제신탑

2022년 9월 25일(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제11구간을 마치고 종점인 청마리에 있는 청마리 제신탑을 둘러 보았다. 안내판에 따르면 충청북도 민속문화재 제1호라고 한다. 마한시대부터 마을 경계 표시의 수문신(守門神)으로서 풍수상으로 액막이 구실을 하였다고 한다. 돌로 정교하게 쌓아 놓은 탑과 바로 옆에 세워져 있는 솟대가 이채롭다. 경상도에서는 이 솟대를 진또배기라고 하던데, 이곳에는 짐대라고 표기되어 있다.

폐교가 된 옥천군 청마초교를 둘러보다

2022년 9월 25일(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제11구간을 마치고 종점인 청마리에 있는 폐교 청마초교를 둘러보았다. 1941년에 설립된 학교라고 한다. 운동장에 있는 커다란 플라타너스가 인상적이다. 지금은 옻배움터로 쓰이고 있는 학교 건물은 무척 작아 보인다. 예전에 있던 건물들이 헐린 것인지는 알 수 없었다. 예전의 정문이었을 곳에는 제신탑과 솟대가 서 있고 몇 점의 동상들이 그대로 남아 있다. 그중에는 1968년 12월 9일 밤에 울진 삼척에 나타난 공비에게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라고 외치다 공비에게 죽임을 당한 이승복(1959~1968) 어린이의 동상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아마 현재 60대 이후에나 기억하고 있을 이승복 소년의 동상을 보니 감회가 새롭고 옛날 생각이 많이 났다.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1-1구간 지양느티나무길(말티고개 삼거리-석탄리 안터선사공원)(역순)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1-1구간 지양느티나무길(말티고개 삼거리-석탄리 안터선사공원)(역순) o 산행일자 : 2022년 9월 25일(일) o 교 통 편 : 출발-11구간 걷기를 마치고 청마리 종점에서 출발 귀가-안터선사공원에서 35번 옥천 시내버스(13:55분 출발) o 산행 요약 : 2시간 5분 - 청마리/11구간 종점(11:25) -> 말티고개 삼거리(12:17) -> 지양리 현동마을(12:59) -> 석탄2리 주민쉼터(13:17) -> 충북 옥천군 동이면 석탄리 안터선사공원(13:30) □ 산행 후기 2022년 9월 25일(일)에 대청호 오백리길 제11-1구간 지양느티나무길을 다녀왔다. 안터선사공원에서 11구간과 만나는 말티고개 삼거리까지 구간이다. 나는 11..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11구간 말티고개길(석탄리 안터선사공원-청마리 구 청마초교(폐교))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1차 대청호 오백리길 걷기 제11구간 말티고개길(석탄리 안터선사공원-청마리 구 청마초교(폐교)) o 산행일자 : 2022년 9월 25일(일) o 교 통 편 : 출발-옥천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37번 옥천 시내버스(07:40 출발)/안터마을 하차) 귀가-청마리에서 대청호 오백리길 제11-1구간을 걸어서 안터마을 도착/35번 옥천 시내버스 o 산행 요약 : 3시간 7분 - 충북 옥천군 동이면 석탄리 안터선사공원(08:00) -> 지양리 삼거리(08:08) -> 가리내농원 입구(08:32) -> 한반도 전망대(08:52) -> 생명강교회/생명강전원마을 삼거리(09:08) -> 산악기상관측소(09:55) -> 말티고개 마루(10:28) -> 말티고개 삼거리(10:41) -> 청마리..

추명국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추명국(Anemone hupehensis var Japnica ‘Pamina’) 2022년 9월 18일 해파랑길 6코스를 걸으며 울산광역시 남구 선암동에 있는 선암호수공원에서 담았다. 지난 2020년 9월 27일에 직지사 약사전 앞에서 처음 보았을 때 너무나 예뻐서 내 블로그에 올린 적이 있다. 가을을 알리는 꽃으로 서리를 기다린다는 의미의 대상화(Anemone hupehensis var. japonica Bowles et Stearn)로 포스팅 했으나, 이번에 자세히 알아보니 추명국은 일본 아네모네(Japanese Anemone)라는 이름의 원예종임을 확실히 알 수 있었다. 김태정 교수의 식물도감이나 이창목 교수의 식물도감에서 소개하고 있는 것은 대상화라는 ..

해파랑길 6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 2구간(울산 구간) 6코스(구 덕하역-강변 태화강전망대) o 일 자 : 2022년 9월 18일(일) o 교통편 : 대전 한겨레산악회 버스 o 트레킹 시간 : - 구 덕하역(폐역)(10:30) -> 두왕사거리(10:45) -> SK합성수지앞 좌측 숲길 입구(10:49) -> 함월산(138m) 등산로 입구(10:52) -> 산불감시초소(11:12) -> 도로 위 육교(11:23) -> 선암호수공원 제2연꽃지(11:30) -> 선암호수공원 장미터널(11:49) -> 선암호수공원 물의 정원(11:56)/점심식사후 출발(12:21) -> 신선정(12:37) -> 울산해양경찰서(13:04) -> 솔마루다리 위로 통과(13:08) -> 울산대공원 쉼터(13:35) -> 다래덩굴 육교(..

속리산 국립공원(법주사-문장대-천왕봉-법주사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속리산 국립공원(법주사-문장대-신선대-천왕봉-법주사) o 산행일자 : 2022년 9월 11일(일) o 교통편 : 자차 - 대전 - 속리산IC - 법주사 소형주차장 - 보은IC o 산행시간 : - 법주사 소형주차장(09:00) -> 속리산 세조길 입구(09:14) -> 세심정(09:51) -> 보현재(10:26) -> 두꺼비 바위(11:25) -> 문장대(11:48)/점심식사후 출발(12:40) -> 신선대 매점/화장실(13:20) -> 법주사 삼거리(14:37) -> 천왕봉(15:06) -> 법주사 삼거리(15:29) -> 상환석문(16:03) -> 상환암(16:16)/참배 후 출발(16:45) -> 세심정(17:20) -> 법주사 소형주차장(18:04) □ 산행 후기 2..

속리산 상환암에 다녀오다.

2022년 9월 11일(일) 추석 연휴 둘째 날에 속리산 천왕봉을 거쳐 세심정으로 내려오는 길에 상환암(上歡庵)에 들렸다. 상환석문을 지나 내려오다 왼쪽으로 쪽문이 보여 들어갔더니 멀리 멋진 절벽이 보이고 비탈진 곳에 있는 상환암을 둘러 보게 되었다. 속리산 상환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5교구 본사인 법주사의 말사이다. 산수화를 보듯이 반대편 절벽에는 적송들이 멋지게 자라고 있고 수직 절벽의 경관이 빼어난 곳에 새롭게 지은 당우들이 있어서 최근에 창건한 암자로 오해하였다. 『보은군지』에 따르면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제33대 왕인 성덕왕(재위기간 702~737년) 9년(서기 720년)에 창건되었다고 하니 무척 오래된 암자이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상환암 소개 글에 따르면, 6·25 때 전소되었던 것을 19..

속리산 세조길을 걷다.

2022년 9월 11일(일) 추석 연휴 둘째 날에 속리산 등산을 위해 속리산 국립공원 법주사탐방지원센터에서 세심정까지 새롭게 단장된 속리산 세조길을 걸었다. 속리산 세조길은 법주사에서 세심정 간 탐방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속리산국립공원사무소와 법주사, 충청북도, 보은군이 함께 2016년도 개통하여 인기를 얻고 있는 탐방로이다. 세심정까지 올라가는 포장도로 대신 산책로를 통해 걷는 즐거움이 있다. 법주사 위의 저수지 옆길을 걷는 길에는 많은 가족들이 함께 걷고 있었다. 속리산 국립공원 홈페이지에 따르면, 속리산 세조길은 보은군 사내리 법주사탐방지원센터에서 시작하여 복천암까지 이르는 편도 4km의 탐방로로 울창한 숲에서 산림욕을 할 수 있는 명품길이다. 법주사탐방지원센터에서 자연관찰로, 법주사 삼거리, ..

속리산 레이크힐스(Lake & Hills) 호텔

2022년 9월 11일(일) 추석 연휴 둘째 날에 속리산 국립공원에 가는 길에 담았다. 속리산 법주사 입구인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05에 있는 호텔이다. 1977년에 속리산 법주사로 신혼여행을 와서 일박했던 곳이라 옛날 생각을 하면서 담아 보았다. 보은에서 시외버스를 타고 왔던 기억이 난다. 법주사 소형주차장의 1일 주차비가 5,000원인데, 호텔 전용 주차장도 1일 주차비가 5,000원이다. 호텔 이용객에게는 무료라고 하니 식당을 이용하는 방법도 여행의 팁일 수 있겠다. 주말에 보리밥 뷔페를 12,000원에 제공하고 있었고 다른 메뉴들도 인근 식당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듯하다. 인근의 경희식당에서 일 인분에 3만원 하는 한정식을 먹어보는 것도 큰 추억이 된다. 조금 비싸긴 해도 예전부..

서원리 소나무(정이품송의 정부인 소나무)

2022년 9월 11일(일) 추석 연휴 둘째 날에 속리산 국립공원에 가는 길에 담았다. 충북 보은군 장안면 서원리 49-4에 있는 서원리 소나무를 담았다. 속리산 법주사를 가기 위해 대전에서 출발하면 차량 내비게이션이 보은 IC로 나가라고 안내한다. 약 1km 정도 멀지만 속리산 IC로 나가면 선병국가옥과 보은 우당고택도 볼 수 있고 충북 알프스 시발점 입구도 지난다. 이번에는 일부러 속리산 IC로 나가서 서원리 소나무를 담았다. 서원리 소나무는 1988년에 천연기념물 제352호로 지정된 소나무로 높이는 15m이고, 가슴 높이의 줄기 둘레는 4.7m이며, 수령은 속리산 정이품송과 같이 600여 년으로 추정된다. 이 소나무는 지상 70㎝ 높이에서 두 개로 갈라져 있다. 정이품송이 곧추 자란 데 비하여 밑에..

한가위 보름달

2022년 9월 10일 추석날 저녁에 대전에서 담았다. 매스콤이 전하는 바로는 해와 지구, 달이 정확히 일렬로 늘어서면서 100년 만에 둥글고 가장 밝은 보름달이 괸측된다고 해서 하늘을 올려다보며 보름달을 담아 보았다. 대전 도심에서 구름 사이에 있는 달을 담았는데 구름이 달 뒤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많은 사람이 보름달을 보고 소원을 빈다지만, 나는 그저 쳐다만 보았다. 말이 꼭 필요하겠는가?

아왜나무를 만나다.

2022년 9월 4일 해파랑길 5코스를 걸으면서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에서 담았다. 인동과의 아왜나무(Viburnum awabuki K. Koch)는 제주도에서 자라는 상록교목으로 우리나라 남해안에서도 자란다. 여수를 방문했을 때 본적이 있었는데, 오늘은 울산에서도 재배종으로 심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서 반가웠다. 잎이 무성하여 해안방풍림으로 심기도 하고 불이 붙으면 나무에서 진액이 흘러나와 불이 붙기 어려운 점이 있어서 방화림으로도 심는 나무이다. 꽃은 6월에 피므로 지금은 꽃이 모두 진 상태였다. 울주군 청량읍 수자인 아파트 주변에 조경용으로 심어져 있었다.

동해선 덕하역에 다녀오다.

2022년 9월 4일(일)에 해파랑길 5코스를 마치고 화장실에 가느라 둘러보았다. 부산 부전역에서 출발하여 태화강역까지 운행하는 동해선 2단계 구간이 지난 2021년 12월에 새롭게 개통되면서 신설된 역이다. 해파랑길 부산광역시 구간과 울산광역시 구간을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편리한 동해선이다. 부산역에서 부산 지하철 1호선을 타고 교대역에서 환승하면 동해선을 이용할 수 있다. 해운대를 갈 수 있는 해운대역, 해동용궁사를 갈 때 내렸던 오시리아역, 일광해수욕장을 갈 수 있는 일광역 등이 보인다. 부산까지 KTX열차를 이용하여 도착한 후 동해선 전동열차를 이용하면 해파랑길을 걷는 것이 훨씬 수월해 보인다.

해파랑길 5코스를 다녀오다.

□ 트레킹 개요 o 해파랑길 : 2구간(울산 구간) 5코스(진하해변-구 덕하역) o 일 자 : 2022년 9월 4일(일) o 교통편 : 대전 한겨레산악회 전세버스 o 트레킹 시간 : - 진하해변 팔각정(11:00) -> 진하파출소(11:17) -> 회야강을 따라 직진 -> 철길 전 쉼터(12:10)/점심식사후 출발(12:33) -> 철길 밑/남창천 다리(12:37) -> 상화2교 지나 좌회전(12:47) -> 무궁화타운 아파트에서 좌회전(13:13) -> 회야강 다리 건너 우회전(13:26) -> 목교(나무다리)/정자(13:35) -> 망양삼거리에서 우회전(14:12) -> 동천1교 건너 다리 밑을 통과(14:33) -> 철길 지나 삼거리에서 우회전(14:37) -> 남구예비군훈련장 버스정류장(15:02..

대전 한밭수목원 야경

2022년 9월 3일(토) 저녁 식사후에 오랫만에 대전 한밭수목원 동원을 산책하였다. 저녁 21시까지 개방한다고 해서 평송수련원 옆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동원에서 야경을 몇장 담았다. 엑스포가 열렸던 곳에 신세계 백화점이 들어서면서 새로운 렌드마크가 생긴 셈이다. 한빛탑은 아직도 위용을 자랑하고 있다. 애행성인 너구리가 산책길을 가로질러 건너고 있다. 이런 도심의 수목원에서 어떤 먹이로 살아가는지 궁금하지만 생태계가 살아있다는 증표라 보기에 좋았다.

강릉 등명락가사에 다녀오다.

2022년 8월 29일에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괘방산길 16에 있는 등명락가사에 다녀왔다. 등명락가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인 월정사(月精寺)의 말사이다. 월정사 홈페이지의 말사 안내에는 낙가사(洛伽寺)로 소개되어 있다. 일주문 밑에는 대한민국정동이라고 쓰여있는 돌탑이 있고 위에는 정동을 지칭하는 나경 그림이 그려져 있다. 일주문에서 포장도로를 따라 올라가면 오른쪽에는 관일루를 통해 들어가는 약사전 영역이 있고, 왼쪽에는 불이문을 지나 숙소로 사용되는 누각을 통해 진입하는 대웅전 영역이 있다. 약사전이 있는 곳은 전면에 관일루가 있고 누각 밑으로 진입하면 약사전 건물이 정면으로 보이는 가람 배치로 등명사지 오층석탑이 정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1탑 1금당 구조의 전형적인 가람 배치를 하고 있다. 대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