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을 전하는 아진돌(AginDoll)의 일상 이야기

전체 글 3388

요양보호사 자격시험을 보다

2022년 2월 19일(토)에 대전광역시 동구 충남중학교에서 2022년도 제38회 요양보호사 자격시험을 보았다. 오전 10시에 시작해서 11:30까지 90분에 이론 35문제, 실기 45문제로 전체 80문제를 풀었다. 그동안 기출문제에서 보지 못했던 문제들이 일부 출제되었으나, 시험은 그리 어렵지 않았다. 80문제가 모두 오지선다형 객관식 문제이지만 지문도 짧고 예시 항목도 짧으나, 오답 항목의 경우 교과서에 있는 내용에서 단어 하나 정도를 뒤집어 놓은 방식의 문제라 꼼꼼히 읽지 않으면 헷갈려서 틀린다. 그동안 교육받느라 고생했는데 국가자격증을 하나 더 취득하게 되어 기분이 좋다. 시험을 마친 후 도반들과 함께 점심 식사도 못하고 헤어져서 서운하다. 회사 이사 관계로 짐을 싸러 가야 해서 양해를 구할 수밖..

대통령 선거 벽보가 붙었다.

2022년 3월 9일에 실시되는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14명의 후보자들의 벽보가 거리에 붙었다.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공직선거법에 따라 붙인 벽보이다. 대통령 후보로 등록한 후보가 14명이나 된다. 제대로 나라를 이끌 사람이 차기 대통령으로 선출되기를 기대해 본다.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각축전을 벌리고 있다.

계룡산 여명사에 다녀오다

2022년 2월 13일(일)에 동학사에서 출발하여 관음봉 고개와 연천봉 고개를 거쳐 신원사까지 산행을 한 후 버스정류장 근처에 있는 여명사(黎明寺)를 둘러보았다. 충남 공주시 계룡면 샛길 9(계룡면 양화리 65-1)에 있는 절이다. 절 입구에 세워져 있는 창건기에 따르면 청호(靑湖) 전추길이 2010년 3월 1일에 착공하여 세운 절이다. 계룡산 천왕봉과 쌀개봉이 보이는 계룡산 끝자락에 불사를 일으키고 새상의 빛이 여기로부터 시작되길 소망하여 여명사(黎明寺)라고 하였다 한다. 평지 가람으로 마당 가운데 단아한 3층석탑과 조형물들이 세워져 있고 천왕봉을 바라보며 정면에 극락전이 있고 우측에 명부전과 나한전이 있으며 뒤쪽으로 삼성각이 있다. 나한전은 요사채로 사용하는 것 같다. 극락전 좌측에는 미륵불이 모셔져..

계룡산 동학사에서 신원사로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충남 공주시 계룡산 국립공원 동학사-은선폭포-신원사 o 산행일자 : 2022년 2월 13일(일) o 교통편 : 대전 시내버스 및 공주버스 - 대전-동학사(대전 시내버스 107번) - 신원사-공주 시내버스 터미널(공주 시내버스 310번) - 공주 시내버스 터미널-현충원역(공주 시내버스 300번) o 산행시간 : - 동학사 주차장(09:35) -> 동학사(10:00) -> 은선폭포(10:56) -> 관음봉 고개(12:00) -> 연천봉 고개(12:18)/점 심식사후 출발(12:46) -> 도왕암(13:31) -> 신원사 도착(14:00) □ 산행 후기 2022년 2월 13일(일)에 지난 주에 이어 계룡산 국립공원을 동학사, 은선폭포, 관음봉 고개, 연천봉 고개를 거쳐 신원사까..

계룡산 신원사에 다녀오다

2022년 2월 6일(일) 오후에 충남 공주시 계룡면 신원사동길 1(계룡면 양화리 8)에 있는 신원사(新元寺)에 다녀왔다. 신원사는 계룡산 천왕봉 남쪽에 자리잡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마곡사의 말사이다. 지난 2015년 가을에 가본 후 오랜만에 다시 찾았다. 지인과 함께 점심을 먹고 오후 두 시 조금 못 미쳐서 신원사에 도착하였다. 대웅전을 참배하고 천도재를 지내고 있는 지장전인 영원전(靈源殿)과 모임을 하고 있는 관음전 등은 빼꼼히 들여다만 보고 중악단(中嶽壇)으로 갔다. 수리공사를 하느라 입구가 거푸집으로 어수선한 대문간을 지나 중악단 안으로 들어가니 마침 스님께서 예불 준비를 하시고 계셨다. 운 좋게도 중악단에서 신묘장구대나라니를 반복해서 독송하는 천수경 독경에 참여한 후 신왕대신 정근 ..

갑사 신흥암을 둘러보다

2022년 2월 5일 계룡산 산행을 하면서 갑사로 내려가는 길에 충남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27(계룡면 중장리 산 47-40)에 있는 신흥암(新興庵)을 둘러보았다. 신흥암은 갑사의 산내암자로 수정봉 아래에 있다. 그동안 계룡산 산행을 하면서 지나치기만 하였는데 오늘은 지인의 안내로 자세히 둘러보게 되었다. 갑사에서 금잔디 고개로 넘어가는 등산로 외에도 갑사에서 신흥암까지 차가 오라갈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을 처음 알았다. 너무 가파른 길이라 직접 차를 몰고 올라갈 생각은 안하는 것이 좋다. 예전에 비해 많은 건물들이 지어져 있었다. 현판은 없으나 불상을 모시지 않은 적멸보궁 뒤로는 자연석으로 되어 있는 사리탑인 천진보탑이 보인다. 산신각 옆으로 올라가면 천진보탑을 만난다. 천진보탑은 인공으로 만..

계룡산 국립공원 산행

□ 산행 개요 o 산 행 지 : 충남 공주시 계룡산 국립공원(천정골-남매탑-금잔디고개-갑사) o 산행일자 : 2022년 2월 5일(토) o 교통편 : 대전 시내버스 및 공주 시내버스 - 대전-동학사(대전 시내버스 107번) - 갑사-충남대(공주 시내버스 340번) o 산행시간 : - 천정골 탐방지원센터(09:35) -> 문골삼거리(10:10) -> 큰배재(10:45) -> 남매탑(10:53) -> 금잔디고개(11:25) -> 신흥암(12:00)(천진보탑 등을 둘러보고 12:25 출발) -> 갑사 도착(13:10) -> 대성암(13:29) -> 갑사 일주문(13:47) □ 산행 후기 2022년 2월 5일(토)에 오랜만에 충남 공주시 계룡산 국립공원을 천정골 탐방지원센터를 출발하여 큰배재, 남매탑, 금잔디고..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받다.

2022년 2월 4일에는 요양보호사 양성교육을 마쳤다. 지난 2021년 11월 10일부터 2022년 2월 4일까지 60일간 18시 10분부터 22시까지 60일동안 교육을 받았다. 근로자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아 대전광역시 동구 용전동에 있는 가톨릭요양교육원에서 교육을 마치고 2월 19일에 실시되는 제38회 요양보호사 자격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지인으로부터 코로나19로 인하여 요양원이나 주간보호센터 등 노인의료복지시설에 나가서 받게 되는 실습이 대체실습으로 변경되어 동영상 교육으로 실시한다는 말을 듣고 신청하게 되었다. 처음 시작할 때는 어떻게 마칠 수 있을까 걱정도 되었고, 한 시간을 일찍 출근하여 한 시간 일찍 퇴근해서 교육을 받고 밤늦게 집에 돌아와 저녁식사를 하는 생활을 하다보니 정말 힘들었다. 그래도..

연산면 돈암서원에 다녀오다.

2022년 2월 4일 설 연휴 기간에 충남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에 있는 돈암서원(遯巖書院)에 다녀왔다. 돈암서원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선생을 추모하기 위하여 사계 선생 사후에 그의 제자들과 유림들이 1634년(인조 12년)에 창건한 서원이다. 1660년(현종 원년)에 사액을 받은 사액서원이며, 대원군이 서원 훼철령을 내려 전국에 47개 서원만 남길 때도 보존되었던 서원이다. 2019년 제43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서원 9곳을 세계 유산으로 등재할 때 포함된 유서 깊은 서원이다. 1번 국도 옆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 근처를 지나갈 때마다 한번 가봐야지 하던 곳이다. 대전 인근이라 가까운 곳에 있어서 언제든지 가 볼 수 있는 서원이라는 생각으로 차일..

『세상을 바꾼 어리석은 생각들』을 읽다.

프리더 라욱스만(Frieder Lauxmann) 지음, 박원영 옮김(2008), 『세상을 바꾼 어리석은 생각들 : 다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 서울 : 말글빛냄, 1쇄발행 2008. 1. 15. 2022년 2월 4일 설 연휴 기간에 프리더 라욱스만의 『세상을 바꾼 어리석은 생각들』을 읽었다. 월평도서관에 책을 반납하러 갔다가 책 제목에 끌려 서가에서 책을 꺼냈고, 부제 ‘다른 생각이 세상을 바꾼다’에 이끌려 설날 연휴부터 사무실에 와서 책을 읽기 시작했다. 코로나19 변종인 오미크론 변이종이 기승을 부리면서 하루 확진자 수가 1만 7000명을 넘는 상황이라, 아이들한테도 내려오지 말라고 일러 놓고 책을 읽었다. 어쩌다 보니 독일 사람들의 책을 연이어 읽게 되었다. 앞서 읽었던 숀케 아렌스의 『제텔카스..

세종시 초려공원에 다녀오다

2022년 1월 31일 설날 하루 전인 그믐날에 세종특별자치시 도움1로 40(어진동 517)에 있는 초려역사공원을 찾아갔다. 가재마을 10단지 제일풍경채에듀파크 아파트 옆에 있는 작은 공원이다. 세종특별자치시를 건설하면서 훼손될 위기에 처했으나 종친들과 학계의 건의에 따라 조성된 소공원이다. 세종시에서 제작한 공원 안내 리플렛에 따르면 초려역사공원은 조선 중기의 대표적인 유학자이며 개혁사상가인 초려(草廬) 이유태(李惟泰, 1607-1684) 선생의 학문과 사상을 기리기 위해 선생의 묘소 일원에 조성한 곳이다. 2015년에 완공된 공원 안에는 초려 선생의 묘소와 갈산서원이 복원되어 있다. 초려 이유태 선생은 본관이 경주이며, 자는 태지(泰之)이고 초려(草廬)는 호이다. 본래 한미한 출신으로서 처음에는 민재..

황금실화백(2)

측백나무과(Cupressaceae) - 황금실화백(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Aurea") 2022년 1월 22일 경기도 광릉에 있는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 가는 길 옆에서 담았다. 일본 원산의 상록교목인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을 잎이 황금색을 띠도록 육종한 원예종 실화백이다. 관상수로 들여와 재배하고 있다. 20년 정도를 자라도 2m 안팎으로 자라지만 최종적으는 6m 까지 자라는 반왜성(Semi-dwarf) 상록교목이다. 잎은 난상 피침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노란색 잎이 늘어지는 형상이 특징이다. 2019년 9월 15일에 한밭수목원에서 담은 황금실화백을 포스팅 한 적이 있으나 비교하기 위하여 한 번 더 올린다.

먼나무

감탕나무과(Aquifoliaceae) - 먼나무(Ilex rotunda Thunberg.) 2022년 1월 22일 경기도 광릉에 있는 국립수목원 온실에서 담았다. 일본, 대만, 중국 및 우리나라 제주도·남부지방 해발 100-700m 지역에 자생한다. 동행했던 도반이 제주도에 여행을 갔을 때 “저 나무가 뭔나무래요?”라고 물으니 택시 운전사가 “먼나무요.”라고 답해서 장난하는 줄 알고 여러 번 똑같이 물었다는 일화를 들려 준 나무이다. 상록교목이며 높이 10m 안팎이고 가지는 털이 없으며 암갈색이고 수피는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혁질이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길이 4-11cm, 너비 304cm이며 양면에 털이 없고 중늑(中肋)이 표면에서는 들어가고 뒷면에서는 튀어나오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마르면 ..

돈나무

돈나무과(Pittosoraceae) - 돈나무(Pittosporum tobira (Thunberg.) Aiton 2022년 1월 22일 경기도 광릉에 있는 국립수목원 온실에서 담았다. 일본, 대만, 중국 및 우리나라 제주도·남부지방 해발 200-700m의 해변 산록에 분포한다. 상록관목이며 높이 2-3m이고 가지에 털이 없으며 뿌리의 껍질에서 냄새가 난다. 잎은 호생하지만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두꺼우며 표면은 짙은 녹색으로서 윤채가 있고 마르면 혁질로 되며 긴 도란형이고 길이 4-10cm, 너비 2-3cm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없으며 뒤로 말린다. 5-6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가지 끝에 취산화서가 달리고 꽃은 양성이며 꽃받침잎은 난형이고 수술과 더불어 각각 5개로서 주걱 모양이며 향기가 있다. ..

구골나무(2)

물푸레나무과(Oleacea) - 구골나무(Osmanthus heterophylla (G. Don) P.S. Green) 2022년 1월 22일 경기도 광릉에 있는 국립수목원 온실에서 담았다. 11월 경에 엽액에서 꽃이 피는 모습을 보기 전에는 물푸레나무과의 은목서(Osmanthus fragrans Lour.)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은 나무라 담았다. 대전광역시 중앙과학관 온실에 있는 구골나무는 잎이 날카로운 가시로 끝나는 치아상이 많았는데, 이곳 국립수목원 온실의 구골나무는 잎이 대부분 도란형이라 은목서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명패가 구골나무로 붙여져 있어서 구골나무라고 동정할 수밖에 없다. 전에 포스팅 한 적이 있으나 비교하기 위하여 한 번 더 올린다. 구골나무는 일본, 대만, 중국 및 우리나라의 남부..

광릉 국립수목원을 둘러보다

2022년 1월 22일(토)에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 본사 답사계획에 따라 25번째 답사지로 봉선사(奉先寺)를 답사 한 후 바로 근처에 있는 국립수목원에 다녀왔다. 국립수목원은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에 위치해 있다. 봉선사 답사를 준비하면서 미리 인터넷으로 입장권을 예약하면서 차량 번호까지 미리 입력해 놓으니 주차장에 들어갈 때도 알아서 차단기가 올라가서 편리했다. 예약한 후 휴대폰으로 받은 큐알(QR) 코드로 출입이 수월하였다. 주차장을 나올 때 주차료 무료 혜택을 보고자 주차비 무인정산기에서 직원을 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기분 좋게 둘러보았다. 국립수목원 입구에는 힐링 전나무 숲길, 러빙 연리목길 등 산책길들에 대한 안내 팸플릿이 준비되어 있으나 안내팻말을 따..

봉선사 입구 향토음식점 사랑방에서 점심을 먹다.

2022년 1월 22일(토)에 대한불교조계종 25개 교구 본사 답사계획에 따라 25번째 답사지로 경기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에 있는 봉선사(奉先寺)에 가는 길에 봉선사 입구에 있는 향토음식점 사랑방에서 점심을 먹었다. 겨울이라 꽃나무들을 볼 수는 없으나 식당 입구에 많은 화분들이 놓여 있어서 식당 주인의 마음을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버섯불고기전골로 점심을 먹었다.

용문산 사나사에 다녀오다.

2022년 1월 23일(일)에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사나사길 329(옥천면 용천리 302) 용문산 밑에 있는 사나사(舍那寺)에 다녀왔다. 사나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의 말사이며 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모시는 사찰이다. 절 입구에는 절에 대한 소개보다도 양평 의병 전투지에 대한 안내판들이 더 많다. 사나사는 1907년에는 의병과 관군의 전투지로 유명하다. 당우들은 그 때 모두 타서 폐허가 되었다고 한다. 사나사 종각 뒤에서 넓은 마당을 지나 표현이 이상하지만 덩그러니 세워져 있는 광적광전과 극락전을 바라보는 마음이 짠하다. 나라를 위해 싸우던 의병들의 봉기가 없었다면 크게 사세(寺勢)를 떨치고 있었을 사찰이 쓸쓸하게만 느껴진다. 대구의 팔공산 부인사와 전주의 모악산 귀신사 등을 갔을 때 느..